분류 전체보기 8671

개미취의 효능

개미취의 효능 개미취 식물명 : 개미취 자원 : 들개미취, 애기개미취 학명 : Aster tataricus L.f. 분류군 : 국화과 일어 : シオン 영문 : Tartarian Aster 개화기 : 7 월 8 월 9 월 10 월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며 잘 자란 것은 길이 65cm, 나비 1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의 날개로 되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큰 것은 길이 20-31cm, 나비 6-10cm로서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흔히 엽병으로 흘러 날개 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9-20cm이며 위로 가면서 작아지고 엽병도 거의 없어진다. 열매 : 수과는 길이 3mm정도로서 털이..

건강.산야초 2022.03.16

개망초의 효능.먹는법

개망초의 효능 개망초는 국화과의 망초속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이다. 전세계에 약 25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순수토종과 외국에서 귀화된 종류가 여러종 있는데, 민망초, 개망초, 실망초, 망초, 주걱개망초, 구름국화, 흰구름국화, 과꽃 등이 자라고 있다.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 각처의 밭, 들판, 길가, 산비탈에 자라는 2년생 초본 귀화식물이다. 키는 30~100센티미터이고 전체에 털이 많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잎자루가 길며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잎 양면은 털이 난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대부분 실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연모(緣毛)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꽃은 5~11월에 가지와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모여 산방꽃차례처럼 피며, 흰색..

건강.산야초 2022.03.15

점나도나물의 효능보나물종류

점나도나물의 효능 가지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자라고 검은 자줏빛이 돌며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잎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끝이 좁으며 잔 털이 있다. 꽃 꽃은 5∼7월에 피고 흰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꽃이 진 다음 작은꽃줄기 끝이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길이 4.5mm 정도이다. 꽃잎도 5개로서 꽃받침 길이와 비슷하며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 열매는 연한 노란빛을 띤 갈색의 삭과로서 원통형이며 수평으로 달리고 길이 9mm 정도이다. 종자는 갈색이고 사마귀 같은 작은 돌기가 있다. 이용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가축의 먹이로도 쓰인다. 비한신열, 부녀유종, 소아풍한해수 치료의 약..

건강.산야초 2022.03.14

질경이의 효능

질경이 아시죠? 너무 흔해서 귀한줄 모르는 먹을게 마땅치 않던 어린시절 어머니께서 봄에 질경이 잎을 채취해서 삶아 물에 담가두었다가 그때 그때 물기를 빼고 들기름과 조선간장만 넣고 볶아서 반찬으로 해주셨지요. 그 기가막힌 맛을 어찌알리오...... 질경이로 짱아찌를 담궈 먹어도 맛있습니다. 약간 그늘진곳에 자라는 질경이들은 강하면서도 부드럽기 때문에 깨끗히 손질하여 슬쩍 데쳐내 짱아찌를 담그면 식감이 좋습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토양의 오염입니다. 제초제를 뿌려도 살아나는 것들이 질경이 쑥, 민들레,냉이들입니다. 가능하면 직접 채취해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토양의 오염이 식물과 동물의 오염으로 이어지고, 그것을 먹는 사람의 몸도 오염되는 현실에서 오염되지 않는 먹거리를 구분하는것도 중요한 일입니다. 오염..

건강.산야초 2022.03.12

둥굴레의 효능

둥굴레의 효능 둥굴레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뛰어난 효과가 많아 "신선초"라고 불리며, 한방에서는 "옥죽"이라는 약초로 음을 보하는 보약의 한 종류라고 합니다. 둥굴레는 습한 성질이어서 기관지, 폐, 인후가 건조하여 생기는 마른기침을 억제해주고, 음기를 보충하여 노인성 해수를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진액을 생성하게 하여 입안의 갈증을 해소하고 공복감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어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둥굴레 차의 효능 1 ) 혈액순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면 손발이 저리거나 수족냉증, 또는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데 둥굴레 차에는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서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고 고혈압, 심장질환, 고지혈증 같은 각종 성..

건강.산야초 2022.03.11

속새의 효능

속새의 효능 ●속새의 성분과 효능 ♣속새의 성분 속새의 성분은 palustrine, thymine, ferulicacid, dimethylsulfone 등이 들어 있으며 인산염 등이 들어 있다. ♣한국 본초 도감에 따르면 속새과의 상록성 여러해살이 풀인 속새의 지상부이다. 생약명으로 목적이라고 하며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평하다. 소산풍열, 명목퇴옹의 효능이 있어 풍열로 인하여 눈이 충혈되거나 눈꼽이 끼고 눈동자에 백태가 끼며​ 시력이 떨어지는 증상 및 외감성으로 인하여 인후가 붓고 아픈 증상에 쓰인다. 화독으로 인한 종기를 다스린다. 지혈 작용이 있어 대변 출혈, 치질 출혈 등에 오이풀뿌리를 가미하여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혈압강하 작용, 소염작용, 수렴작용, 이뇨작용, 심장기능 강화작용, 관상 동맥 ..

건강.산야초 2022.03.08

큰꿩의비름 / 경천초(景天草) 효능

1.큰꿩의 비름(경천) 꽃: 이름의 유래는 꿩의비름속에 속하는 식물 중에서 개체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의미에서 "큰"을 붙여 "큰꿩의비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2.큰꿩의 비름 명패: 큰꿩의비름은 생약명으로 경천(景天)이라 하며 다른 이명으로는 구화(救火),미인초(美人草)라고 한다. 전국에 분포하며 산의 양지에 자생을 한다. 약효는 전초에 분포하며 8~9월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하여 쓴다. 성미는 차며 쓰다. 독성은 없다. 3.큰꿩의 비름 꽃: 연한 부분을 나물로 한다. 꿩의비름, 큰꿩의비름의 全草(전초)를 景天(경천)이라 하며 약용한다. 약효는 청열(淸熱), 해독, 지혈(止血)의 효능이 있다. 단독(丹毒), 유풍(遊風), 번열(煩熱), 경광(驚狂), 객혈(喀血), 토혈(吐血), 정창, 風疹), 칠창(..

건강.산야초 2022.03.07

풋마늘의효능

봄철 입맛 살리는 제철 식재료 ◆풋마늘◆ 봄에 먹는 제철 식재료 풋마늘 입니다.꼭 대파같이 생겼지요? 풋마늘은 마늘 통이 굵어지기 전의 어린잎을 수확해 먹는 작물이에요. 그래서 잎마늘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덜 여문 채소를 먹는 거지만 영양은 일반 마늘에 버금가요~ 풋마늘은요... 한방에서는 기(氣)를 보충하는 데 좋다고 해요. 기운을 잘 통하게 해서 식욕을 올려주고 원기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암과 혈관 질환에 효과가 좋은 설파이드 함량도 풍부하구요. 또 면역력을 높여주는 비타민A,B1,B2,C와 미네랄 등도 골고루 들어 있어요. - 염증 제거와 살균작용에 좋은 풋마늘- 연하고 부드러운 맛의 풋마늘은 이름 봄, 잠깐 동안 맛볼 수 있는 풋마늘은 3~4월이 제철이에요. 이 시기가 지나고 마늘대가 나오면 잎이..

건강.산야초 2022.03.07

간질환 등에 좋은 지칭개(이호채)의 효능

지칭개[Hemistepa lyrata : Hemistepa carthamoides (Buch. Ham.) O. Ktze.]는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60~8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속이 비어있다. 뿌리잎은 방석 모양으로 겨울을 지내며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줄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으로 잎몸이 우상으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이 다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기부는 좁아지고 뒷면에 흰색의 털이 밀생한다. 중앙부의 잎은 잎자루가 없고 장타원형으로 우상으로 갈라진다. 위쪽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된다. 5~7월 줄기가 곧게 솟아 가지 끝마다 연한 분홍색의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두상화는 통꽃만 달리고 총포는 둥글며 8줄로 배열한다. 장타원형의 열매..

건강.산야초 2022.03.05

매화나무의 효능

매화나무의 효능 ▶ 항균작용, 항진균 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청량성 수렴약, 설사멎이약, 열내림약, 기침약, 가래약, 배아픔, 구토, 피로회복, 해열, 해독, 회충, 타박상, 이질, 장티푸스, 역리, 소화불량, 식중독, 콜레라, 폐결색, 만성장카타르, 개에게 물린데, 유황독 제거, 신경통, 살균, 기침, 가래, 간기능활성화, 담즙분비 촉진하는 초록빛 6월 보약 매실 매화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키는 3~5미터이며 잎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길게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가는 톱니가 있다. 꽃눈이 있는 가지의 잎은 매끈하고 잎눈이 있는 가지의 잎은 가슬가슬하므로 곧 구별이 된다. 꽃은 이른봄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보통 잎겨드랑이에 1~3 송이가 달리며 꽃 빛은 백색, 담홍색, 홍색 등 ..

건강.산야초 202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