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671

지칭개의 효능 및 부작용

지칭개 고마채(苦馬菜), 나미채 잎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꽃이 필 때 말라 없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는데 밑 부분에 달린 잎은 길이 7~21cm의 거꾸로 된 댓잎피침형으로서 밑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 중에 삼각형 모양인 끝의 조각이 가장 크며 다시 3개로 갈라진다. 옆에 달린 조각은 7~8쌍이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크기가 작다. 줄기 중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는 긴 타원형이고 깃꼴로 깊게 갈라지는데 위로 올라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면서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 또는 선형이 된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솜 같은 털이 촘촘히 나 있어 희게 보인다. 꽃 5~7월에 자주색으로 피는데 대롱꽃으로만 이루어진 지름 2~3cm의 두상화가 줄기 끝과 가지 끝에 1개씩 달린..

건강.산야초 2023.09.06

황금과도 바꿀 수 없는 명약 ‘삼칠(三七)’효능

“인삼은 보기(補氣)제일이고, 삼칠은 보혈(補血)제일이다”라는 구절이 중국 청나라 의학자 조학민이 저술한 ‘본초강목습유’에 나온다. 인삼은 기를 보하는 데 으뜸인 약물이고, 삼칠은 혈을 보하는 데 으뜸이라는 것이다. 명나라 때 뛰어난 의약학자 이시진은 그의 명저 ‘본초강목’에서 이 삼칠을 “다른 이름으로 금불환(金不換)이라고 부른다”고 기록했다. 말 그대로 황금과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한 약초라는 뜻이다. 아직 우리에게 생소한 삼칠은 대체 어떤 약초이기에 영약으로 이름난 인삼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명성을 얻은 걸까. 삼칠은 오가피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따지고 보면 인삼과 한집안 식구라고 할 수 있다. 잎사귀 생김새나 열매도 인삼과 흡사하고 맛도 비슷하다. 하지만 인삼과 달리 따뜻한 중국 남방지역..

건강.산야초 2023.09.01

쇠뜨기 차 효능,암이나 신장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쇠뜨기 ⓒ WIKIMEDIA COMMONS (Fabelfroh) | cc-by-sa 개요 양치식물들로 이루어진 속새과(―科 Equiset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학명은 Equisetum arvense L.이다. 소가 잘 뜯어 먹어 '쇠뜨기'라고 부르며, 포자낭이 달리기 전의 어린 생식줄기를 뱀밥이라 한다. 형태 키는 20~40cm 정도 자란다.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 흑갈색의 땅속줄기에서 모가 진 땅위줄기가 나온다. 땅위줄기의 두 종류 중 하나는 포자를 만드는 생식줄기이며, 다른 하나는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영양줄기이다. 영양줄기는 마디마다 많은 가지들이 모여 달려 마치 우산을 펴놓은 것처럼 보인다. 생식줄기는 영양줄기가 나오기 전인 4월 무렵에 나오는데, 마디마다 비늘 같은 잎들이 돌려날 뿐 가지..

건강.산야초 202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