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름은 바나나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는 작은 열매이고 토종 바나나 등으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산기슭 부분이나 계곡에 자라는데, 토양이 좋고 물이 많은 지역에서 다른 나무를 감아 올라가면서 자라는 나무입니다. 가을산의 바나나라고 부리는 열매는 9월에서 10월에 길쭉한 열매가 아래로 매달려 열립니다. 으름나무의 열매는 다래, 머루와 함께 산에서 나는 아주 귀한 열매로 하얀 젤리처럼 생겼고, 작고 까만 씨앗들이 있습니다. 맛은 단맛이 나고 성질은 차가우며 독성은 없다고 합니다. 철분과 단백질, 니아신, 비타민C, 당질, 엽산, 지질, 칼륨, 인, 칼슘, 식이섬유 등의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줄기와 뿌리, 열매까지 약재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 으름 효능
1. 혈관건강
으름에 함유된 올레인, 리놀레인, 팔미틴 등은 혈관에서 노폐물을 배출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등 혈관질환을 예방합니다. 또한 칼륨이 함유되어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하고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각종 심혈관 질환을 예방합니다.
2. 항염 효과
으름은 강력한 항염증 작용을 통해 염증을 제거하고 외부로 방출되어 겨울철 발생하기 쉬운 호흡기 질환 및 각종 염증성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민간에서 으름은 말린 과일은 염증, 바다 섬의 통증, 이뇨, 생리통에 사용됩니다.
3. 이뇨 효과
으름덩굴은 콩팥 기능을 좋게 하며 콩팥은 여관에서 재흡수를 억제하기 때문에 별다른 부작용이 없으므로 소변을 잘 나오게 합니다
4. 항암 효과
으름에는 사포닌, 헤데라게닌, 리놀레인, 파르미틴, 올레아놀산이 함유되어 있어 암세포의 죽음을 유도하고 종양세포의 증식을 억제합니다.
5. 장 건강
으름은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미래의 독소와 노폐물을 흡수하고 외부로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며 장 건강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식품입니다. 또한 식이섬유는 장의 움직임을 활성화하여 장의 트러블과 독소 배출을 개선하고 숙변 제거에 탁월하여 변비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6. 피부건강
으름에 함유된 비타민 C 성분은 피부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합성에 도움을 주어 피부의 탄력과 피부미용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비타민 C는 피부의 기미와 기미를 제거하고 독소를 피부로부터 씻어내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건강한 피부관리에 효과적입니다.
7. 면역력 강화
으름은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염증을 완화하고 감기를 예방하며 외부 바이러스나 질병으로부터 면역력을 높입니다. 또한 으름에 함유된 사포닌, 헤세라게닌, 올레아놀산, 리놀레인, 팔미틴 등의 성분은 대사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면역력을 높이고 피로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8. 고혈압 치료에 도움
으름은 항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전 같은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이 성분은 항암작용을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리고 올리자는 모발을 유지하며 심장 질환을 예방하고 암 예방 노화 지연 혈관질환 이용해도 됩니다
9. 모유 분비 촉진
으름은 우유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모유 수유가 잘 되지 않는 엄마에게 효과적이며 유방 염증성 질환인 유선염에도 도움을 줍니다. 으름은 생리불순, 월경통 등 각종 부인과 질환에도 효과가 있으며, 비뇨기계 염증 및 급성 기관지 감염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10. 시력 개선에 도움
안토시아닌 성분은 도와주고 망막 세포 생성을 도와주며 시력저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항산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세포 노화를 막아주는 역할도 합니다
11. 변비 개선에 도움
으름덩굴에는 과피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식이섬유는 우리 몸의 콜레스테롤을 체외로 배출하는 효능이 있으며 성인병 예방에도 좋고 장내 유익균을 늘려주어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C 덩어리
으름덩굴에는 비타민C가 귤의 2배 정도의 양이 들어있다고 합니다. 비타민C는 우리 피부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생선을 도와 피부 탄력 미용효과에 좋은 성분인데요 이 뿐만 아니라 항산화 작용도 있어 체내의 쌓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으름입니다.
씨앗의 효능
머리를 맑게 하여 앞일을 미리 알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하여 ‘예지자’라는 이름도 생김 이는 암세포에 대하여 90% 이상의 억제 효과가 있으며 씨앗에 들어있는 기름에 올레인, 리놀레인, 팔미틴 등의 성분이 혈압을 낮추고 염증을 없애며, 갖가지 균을 없애는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뿌리의 효능
거풍, 이뇨, 활혈, 류마티스에 의한 관절염, 소변곤란, 위장 장애, 헤르니아, 경폐, 타박상 치료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특히 이질균과 폐결핵균에 잘 듣는 것으로 전해오는 약재이다.
열매를 말리면
‘동의보감’에 의하면 온몸의 12 경락을 잘 통하게 한다고 하여 ‘통초’라고도 하며, 맺힌 것을 풀어주는 성분이 있다고도 전해짐 단, 허하여 땀을 많이 흘리거나, 설사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금하는 것이 좋음
#으름꽃차의 효능
으름꽃은 덖음으로 해서 꽃차로 마시면 기와 혈의 순환장애에 좋으며, 체해서 속이 답답할 때 입안의 염증에 도움이 됩니다.
※ 으름 부작용 및 주의점
으름은 본질적으로 차갑기 때문에 추위를 잘 타거나 땀이 많이 나는 경우, 많이 섭취하면 설사나 복통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과잉 섭취를 피하거나 으름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추천드립니다. 으름은 임신 중 일 때 유산할 수도 있으니 많은 양을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맥박이 약하거나 소화가 잘 안 되는 경우, 야뇨증, 빈뇨증이 있는 경우 소량으로 사용하거나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효능 >
감기 예방 피부 미용 효과 암 예방 빈혈 예방 고혈압 예방 동맥 경화 예방 뇌졸중 예방 심근 경색 예방
< 영양 성분 100g 당 >
칼로리
|
수분 | 단백질 | 지질 | 회분 | 탄수화물 |
158kcal | 72.20g | 2g | 12.9g | 1g | 11.9g |
당류 | 식이섬유 | 아미노산 | 지방산 | 칼슘 | 철 |
- | - | - | - | 6.00mg | 3.4mg |
마스네슘 | 인 | 칼륨 | 나트륨 | 아연 | 구리 |
- | 269mg | - | - | - | - |
망간 | 셀레늄 | 몰리브덴 | 요오드 | 레티놀 | 베타카로틴 |
- | - | - | - | 0.00㎍ | 39.00㎍ |
비타민B1 | 비타민B2 | 니아신 | 엽산 | 비타민B12 | 비타민C |
0.06mg | 0.04mg | 5.7mg | - | - | 31mg |
비타민D | 비타민E | 비타민K | 콜레스테롤 | ||
- | - | - | - |
으름덩굴 줄기의 효능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으름덩굴과의 낙엽덩굴식물
● 학 명:Akebia quinata
● 개화시기:4월~5월
● 다른이름:목통(木通), 통초(通草), 임하부인(林下婦人)
● 생 약 명 :목통(木通)ㆍ수액
● 한 약 명 :목통(木通)
콩팥염,심장병, 신경통, 관절염,부종을 다스리는 으름덩굴 목통
으름덩굴은 전국의 산기슭 밭둑등에서 자라며 주로 남쪽지역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중,북부 지방보다 기후가 따뜻한 남쪽지방에 흔하게 자란다.
그러나 권혁조원장님의 경험으로는 30년전 부터 강원도 인제군 해발 600 미터 고도의 여러지역에 으름덩굴을 심어본 결과 모두 잘 자라고 스스로 번식하는 것으로 보아서 추운지방에서 자라지 않는것은 아니다.
또한 권혁조원장님께서는 으름덩굴 3포기를 20여전 집앞에 심어서 현재는 커다란 으름덩굴 파고라를 만들어서 쉼터로 이용하고 계신다.
으름덩굴의 줄기는 5~10m정도로 자라는 덩굴식물로 지주목을 감고 자라며 타원형 꼴의 쪽잎 다섯 개가 펼쳐진 모양이다. 꽃은 5월에 연한 보랏빛으로 핀다.
새순이 일찍 나오며 열매는 작은 바나나처럼 생겼다. 열매가 익으면 가운데가 벌어지고 짙은 단향이 나고 맛이 몹시 달아서 토종 바나나라고 부른다.
이른봄에 새순을 따서 덕어서 차로 마시기도 하며, 열매를 한약명으로 임하부인(林下婦人)이라고 부른다.
으름덩굴의 열매를 임하부인이라고도 부르는 것은 으름이 익으면 껍질이 벌어지는데, 그 모양이 여성의 음부와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통 증손경옥고 만들기122년 전통 증손경옥고 만들기
● 인삼대신 산양산삼을 넣고 산마ㆍ천마ㆍ산수유ㆍ토종꿀ㆍ복령ㆍ생지황ㆍ백하수오등 자연약재 총 10가지가 더 첨가되어 산중에서 자연 숙성시켜 122년 전통방식 그대로 만드는 증손경옥고 입니다.
또한 한자로 줄기를 목통이라고 부르고 열매를 예지자 또는 팔월찰이라고 부른다.
부종을 다스리는 으름덩굴
으름덩굴은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데 특히 콩팥염,심장병, 신경통, 관절염으로 인한 부종, 임산부의 부종에 으름덩굴을 달여서 복용하면 잘 낫는다.
덜익은 으름열매는 동물의 신장인 콩팥과 비슷하게 생겨서 신장기능을 이롭게 해주는 효능이 있다.
콩팥이나 세뇨관, 방광결석에 으름덩굴을 달여서 먹고 산모가 젖이 나오지 않거나 부족할 때에는 붉은팥 또는 잉어와 함께 고아 먹으면 젖이 많아지면서 통증이 적어진다.
또한 부종에는 으름덩굴 12g 붉은팥 100g에 물 500ml를 붓고 절반으로 달여서 1일분량으로 4~5회 나누어 복용한다.
열매는 가을에 익는데 많은량의 검정씨앗이 들어있고 열매를 싸고 있는 하얀속살을 먹는데 단맛과 함께 특유의 향이 있다.
으름덩굴 열매가 익으면서 짙은 향이 나면 새나 짐승들이 열매를 먹기위해서 몰려든다.
으름덩굴씨앗 예지자
으름덩굴 씨앗은 머리를 맑게 하고 미래를 알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고 하여 예지자라고 부른다.
또한 으름씨앗은 암세포를 90% 이상 저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으름씨앗을 오랜도록 먹으면 초인적인 정신력이 생기면서 건강해져서 예로부터 도인이나 예언자들이 즐겨 먹었다. 그래서 씨앗을 예지자(預知子)라고 부른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데 토끼,노루,직바귀,꿩과 같은 짐승들이 즐겨먹고 배설물을 통해서 멀리까지 번식한다.
으름덩굴 열매가 익으면 벌어지면서 달콤한 냄새를 풍기는데 새와부터 새와 짐승들이 모여든다.
씨앗은 산삼의 씨앗과 마찬가지로 동물의 소화관을 통해서 배설되면 그 일부가 발아한다.
새들은 으름덩굴을 먼곳까지 번식하도록 도와주고 배고픔을 견디는 식량으로 먹는다.
한방에서 으름덩굴 씨앗을 연복자(燕覆子)또는 예지자(預智子)라고 부른다.
예지자는 머리를 맑게 해주고 앞일을 미리 알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켜주고, 항암과 항균 작용에 한다.
씨앗기름에는 올레인, 리놀레인, 팔미틴 등의 성분은 혈압을 낮추고 염증을 없애며 갖가지 균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
동의학사전>에는 이렇게 적혀있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약간 차다고도 한다). 심포경, 소장경, 방광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오줌을 잘 누게 하며 달거리를 잘 통하게 하고 젖이 잘 나오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이뇨작용, 강심작용, 혈압을 높이는 작용, 염증을 없애는 작용, 위액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 등이 밝혀졌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몸이 붓는 증상과 소변을 잘 못 볼 때, 임증, 젖이 잘 나오지 않는 데, 생리가 안 나올 때,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데, 부스럼 등에 쓴다.
하루 4~12g을 달임약, 가루약, 알약 으로 먹는다.
풍을 없애고 기를 원활하게 하며 간과 신장을 튼튼히 하고 피와 맥을 활성화시켜 주며 통증을 없애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동맥경화, 위에 열이 있을 때 ,가슴에 열이 나고 답답할 때,요통, 심한 생리통, 소변보기 힘들거나 색깔이 붉을 때 사용한다.
또한 몸이 부었을 때, 유방이나 목이 붓고 아플 때, 생리가 멈췄을 때 ,관절이 아플때에는 으름에는 열매와 뿌리를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독이 없고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苦寒]
목통(木通)’으로 불리는 으름덩굴은 아래쪽을 시원하게 뚫어 주는 성질을 갖고 있다.
으름덩굴은 ‘신장(腎臟)청소부’이다.
으름잎사귀와 덩굴에는 혈액 속의 독소를 제거하는 성분이 있고 도라지와 함께 사용하면 더욱 좋다.
또한 두릅과 함께 달여서 음용수로 마시면 체중감량에도 도움이 된다.
방광염에는 질경이20g, 으름덩굴 20g을 한데넣고 달여서 마시면 잘 낫는다.
만성맹장염에는 으름덩굴, 금은화 각20g에 물2L를 붓고 절반으로 달여서 1일분량으로 여러날 마시면 낫는다.
만성부종에는 으름덩굴, 옥수수수염 각20g 질경이씨앗5g에 물2L를 붓고 절반으로 달여서 1일분량으로 마시면 좋다.
한약명으로 목통이라고 부르는 으름덩굴
목통은 방광의 습열로 인한 신우신염, 방광염, 요도염으로 복수가 찰 때, 심화로 입안에 발진이 날 때, 가슴앓이, 소변이 붉을 때, 마비동통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이뇨작용], [진균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목통을 일본에서 화목통(和木通)이라 부른다. 중국 북부에서 생산되는 동북마두령(Aristolochia mandschuriensis Kom.)은 관목통(關木通)으로 부르는데 이 약재는 'aristolochic acid'라는 독성이 의심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사용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으름덩굴인 목통은 독이 없고 유익하기만 하다.
실험에서 이뇨 작용 · 강심(强心) 작용 · 혈압 상승 작용 · 소염 작용 · 위액분비 억제 작용 등이 확인되었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붓는 데, 배뇨장애, 임증(淋證), 젖의 분비가 부족한 증, 무월경,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한 데, 부스럼 등에 쓴다.
어린잎을 살짝 쪄서 말려서 차 대신 마시면 소변이 잘 나오고 부은 것을 내리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봄철에 으름덩굴의 껍질을 벗겨서 말려 두었다가 눈병이 생겼을 때 삶아서 그 물을 눈에 넣으면 눈병이 잘 낫는다.
강력한 항암작용이 있다
《 중국 항암본초》에는
췌장암, 구강암, 임파선 종양에 으름덩굴씨앗, 질경이씨앗, 반묘,활석 등으로 만든 알약을 복용하고 효험을 본 사례가 여럿있다.
또한 방광암으로 피오줌을 눌 때에는 으름덩굴, 쇠무릎지기, 생지황, 천문동, 맥문동, 오미자, 황백, 감초를 각 3g을 달여서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심포경, 소장경, 방광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오줌을 잘 누게 하며 달거리를 잘 통하게 하고 젖이 잘 나오게 한다.
으름의 씨앗에는 기름이 많이 들어 있다. 이 씨로 기름을 짜서 식용유로 쓰기도 하고 호롱불을 켜는 데에도 썼다.
씨앗 한 말에서 한 되 반쯤의 기름이 나온다. 각종암으로 인한 통증과 암세포 성장억제에 으름씨앗 기름효과가 크다.
1일3회 매식후 밥수저 반수저내지 한수저를 먹는다. 으름덩굴을 이용한 치료법
심부전증
당귀 3g, 천산룡(穿山龍 : 단풍마), 2g, 으름덩굴 1.5g을 함께 가루 내어 따뜻한 물 한 잔에 풀어서 하루 세 번 밥 먹는 중간에 먹는다.
혈압과 부종이 내리고 가슴부위의 통증이 차츰 없어진다. 당귀는 심경을 다스리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으름덩굴은 혈맥을 잘 통하게 하면서 몸 안에 있는 나쁜 물기를 밖으로 내보낸다.
천산룡은 염증을 치료하는 동시에 혈관이 경화되는 것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이 치료법은 울혈성 심부전에 효과가 좋다.
방광염
활석, 동규자, 으름덩굴을 각 같은 양으로 가루 내어 하루에 12g을 밥먹기 30분 전에 나누어 먹는다. 변비나 소변을 보기 몹시 힘든 사람은 하루에 36g을 달여서 3번에 나누어 밥먹기 전에 먹는다.
10일 동안 치료하여 잘 낫지 않을 때에는 10일 동안 더 먹는다. 대개 10일 안에 통증이 없어지고 소변을 보는 횟수가 줄어들며 정상으로 회복된다.
신장결석
으름덩굴, 율무 각 30g을 물로 달여 설탕을 약간 타서 하루 2~3번에 나누어 먹는다.
금전초 40-80g, 계내금, 으름덩굴 쇠무릎지기, 부소맥 ,질경이 각 12g, 활석 20g, 감초 12~20g, 호박 6g을 한 첩으로 하여 날마다 2첩을 달여 먹는다.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 지황을 20~40g을 더 넣고 소변에 고름이 섞여 나오면 금은화 20g을 더 넣는다. 95% 이상 효력이 있다.
신우신염 방광염
띠뿌리, 질경이씨앗, 해금사 각 20g, 붉은팥 15g, 으름덩굴 9g을 물로 달여 하루 3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증상에 따라 익지인, 금전초 등을 넣는다.
다양한 소변불리 증상에 사용하는 목통탕
동규자(冬葵子) 150g, 목통(木通) · 석위(石韋: 솜털을 없앤 것) · 구맥(瞿麥) 각 80g.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습열사(濕熱邪)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 쓴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서 활석(滑石)가루 40g을 섞어 3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목통(木通) · 동규자(冬葵子) 각 20g, 등심초(燈心草) 10g.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서 얼굴빛이 누렇고 윤기가 없으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거칠게 가루 내어 한 번에 20g씩 물에 달여서 아무 때나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활석(滑石) 120g, 목통(木通) · 대황(大黃: 생것) 각 80g, 화마인(火麻仁) 40g.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임신 중에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아랫배가 불러오르고 그득하며 마음이 불안한 데 쓴다. 위의 약을 거칠게 가루 내어 한 번에 16g씩 물에 달여서 빈속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목통(木通) · 석위(石韋: 솜털을 없앤 것) 각 40g, 진피(陳皮: 끓는 물에 담갔다가 안쪽 면의 흰 부분을 긁어 버린 뒤 덖은 것) · 적복령(赤茯苓: 검은 껍질을 없앤 것) · 백작약(白芍藥) · 상백피(桑白皮) · 인삼(人參) 각 30g.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임신부가 자림(子淋)으로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아픈 데 쓴다. 위의 약을 거칠게 가루 내어 한 번에 12g씩 생강 1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출.한의학대사전.토종약초외 다수)
- 약초연구가 권혁조ㆍ글 -
※본문 인용시 약초연구가 권혁조 흔적을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씨 효능 (0) | 2022.05.10 |
---|---|
쇠무릎의 효능 (0) | 2022.05.09 |
도라지.잎.나물효능 (0) | 2022.05.04 |
더덕 . 줄기 잎.나물의효능 (0) | 2022.05.03 |
오가피순 나물.장아찌.먹는방법 및 보관방법. (0) | 2022.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