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다지 ᆢ정력자ᆢ
씨를 완화. 이뇨. 당뇨, 강심. 거담작용 등의 약으로 쓴다.
두루미냉이라 하여, 성질이 차고, 맛은 맵고 쓴맛이 나며,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 씨에는 0.15%의
사포닌, 시니그린, 기름 34%가 있는데, 기름에는 아라킨산의 글리세드와 레시틴이 들어있고, 달래, 냉이와 함께
봄을 대표하는 식품으로, 배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인 꽃다지는 들판이나 길섶, 밭의 양지에 흔히 자라고,
씨(정력자: ??子)에 들어있는 설사를 일으키는 성분이 변비를 없애주고, 산야초 들은 약하든 강하든 다 이뇨작용을 하므로
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기침을 그치게 하고 흥분을 가라앉히는 작용을 하여,
한방에서는 기침과 천식이 있는 심장질환, 몸의 수분대사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호흡곤란과 변비, 부종, 복수
증세가 있을 때 복용하고, 늑막염, 백일해, 출혈 증상을 낫게 하는데, 활용법은 이러한 증상이 생기면
하루 4~10g의 꽃다지 씨를 약간 볶아서 뭉근히 달여서 복용하거나, 뿌리를 빻은 가루를 꿀에 이겨 환으로 만들어
복용하고, 약리 실험에서도 강심작용이 인정되었으며, 신체 건장하면서 기침을 자주 하고 가래를 많이 뱉어 내는 사람이
나물을 해 먹으면 감기를 예방하고 호흡기를 튼튼하게 하며,
꽃다지의 여린 풀은 잎이 피기 전 뿌리째 캐서 나물이나 국을 끓여 먹고, 씨는 약으로 사용하는데,
씨앗 말린 것을 볶아서 가루로 만들어 쓰거나 알약으로 만들어 먹기도 하며,
말린 씨를 1회에 2-4g씩 달여 먹기도 하는데, 먹으면 좋은 체질은 소양인, 태음인이며,
주의 사항은 몸이 약한 사람이나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 특히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은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모든 산야초는 각종 부기를 가라앉히는 역할을 하며 풍부한 섬유질이 뚱뚱하게 오른 살을 빠지게 하는 작용을 하는데,
꽃다지는 맛이 담백하고 쓴맛이 없으므로 가볍게 데쳐 한 번 헹구기만 하면 되고,
봄이 지나 웃자랐더라도 나물 무침하며, 참기름을 넉넉히 넣은 양념과 버무려 생채로 먹어도 되고, 비빔밥에 섞어
먹어도 좋으며, 김에 생잎을 늘어놓아 김밥 만들 듯이 둘둘 말아서 그대로 양념장에 찍어 먹기도 하고,
생식이나 녹즙을 내어 마시기도 하며, 식용을 위해 잎을 뜯어 낸 뒤의 뿌리는 버리지 말고 소주에 담가 숙성시켜서
반 컵씩 마셔줘도 좋다고 한다.
꽃다지나물
꽃다지 하면 너무 흔해서 봄나물로 인정을 못 받는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는 식물입니다.
사람의 심리는 귀한 나물일수록 우리 몸에 좋은 성분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냉이, 달래 돌나물 등은 관심이 많은 편입니다.
봄나물 중에 제일 흔하면서 우리 건강에 좋은 꽃다지 효능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꽃다지 나물은 양귀비목 겨자과에 두해살이 풀이며 새순이 가을에 올라와 겨울을 나고 봄에 꽃을 피우는 것입니다.
꽃다지는 달래, 냉이 돌나물 등과 함께 봄을 대표하는 나물입니다.
쓴맛이 나면서 맵고 성질은 차갑고 4~6월 노란색의 꽃이 피며, 식물 전체에 별처럼 생긴 털이 나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꽃다지나물은 이른 봄 채취하여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매운맛과 떫은맛을 우려낸 다음 나물로 무치거나 국을 끓여 먹어도 됩니다.
꽃다지나물 먹는법 끓는 물에 데쳐서 찬물에 우려낸 후 양념에 참기름을 넣어서 버무려 나물무침을 만들면 먹거나 비빔밥을 만들어 먹어도 맛이 좋아요.
생식도 가능하며 녹즙을 만들어 먹거나, 김에 잎을 돌돌 말아 양념장을 찍어 먹어도 됩니다.
된장을 넣어서 국을 끓여 먹기도 합니다.
기침을 자주 하거나 가래가 있을 경우 평상시 나물로 자주 섭취해 주면 호흡기가 튼튼해지면서 감기를 예방해 줍니다.
꽃다지는 들녘에 흔하게 있는 나물이라 우리 토종식물인 줄 알았는데 외국에서 들어온 귀하 식물이라고 하네요.
꽃다지는 사람이 기거하는 마을 근처에 흔하게 자라기 때문에 어느 때나 나물로 해먹기가 편리한 봄나물입니다.
꽃다지는 맛은 냉이처럼 맛있지는 않아도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우리 몸에 좋은 영양성분이 풍부하므로, 도시 근처에서도 쉽게 발견되는 나물입니다.
꽃다지는 다 성장하여 들판에 꽃이 피기 시작하면 냉이꽃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어요,
시골에서 살고 있는 본인도 냉이꽃인 줄 알았어요.
꽃이 다닥다닥 붙어서 피기 때문에 꽃다지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사실 시골에서는 이름 모르는 잡초에 불과합니다.
봄나물 꽃다지 효능 항산 작용을 하여 항바이러스, 진해거담, 이뇨 등의 효능이 뛰어나며, 기침, 천식, 기관지염, 당뇨 등에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 꽃다지(정력자)의 효능
꽃다지는 양귀비목 겨자과의 두해살이풀로서 초가을에 싹튼묘가 겨울을 지낸 다음 꽃 피고 씨를 맺으면 죽여 버린다.
줄기는 곧게 서서 약간의 가지를 치면서 15cm 정도의 높이로 자라나는데
온몸에는 잔털이 밀생한다. 겨울을 난 잎은 주걱 꼴로서 둥글게 배열되어 땅을 덮는다.
줄기에 생겨나는 잎은 길쭉한 타원골로 서로 어긋나게 자리 잡고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약간의 톱니가 있다. 잎은, 약간 두터우며 역시 잔털로 덮여있다.
줄기와 가지 끝에 이삭 모양으로 뭉친 꽃망울이 아래로부터 차례로 피어 올라간다. 4매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꽃의 지름은 4mm 안팎이고 빛깔은 노랗다.
4~6월에 꽃이 핀다. 밭가나 들판, 길가에 주로 자란다.
원래 외국에서 들어온 귀화 식물인데 전국 각지에 널리 펴져 있다.
이 풀은 인가 주변에 흔히 자라며, 어떤 병이 든 사람이 꽃다지를 나물감으로 무쳐서 오래 식용하면서 그 병이 저절로 나아 버리자
"무슨 병에 약이, 되는구나" 하고 알려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런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민간약으로서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다.
결국 나물로 맛있게 먹은 것이 바로 약초 구실을 하게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물감으로만 여길 뿐 한의학적인
약재의 효용 면에서는 별로 연구된 실적이 없다.
♡ 정력자(亭歷子)의 효능
꽃다지는 어린 순을 채국, 깨무침, 국으로 식용하며, 성질은 차고(寒) 맛은 매우며 쓰고(辛苦) 독이 없다.
한방에서 여름철에 열매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정력자(亭歷子)라고 하여 설사, 부종, 완하, 천식, 음식으로 인한 한열(寒熱-오한과 발열), 이뇨, 적취(積聚-몸 안에 쌓인 기로 인하여 덩어리가 생겨서 아픈 병), 결기(結氣-기가 뭉침) 등에 달여서 복용한다.
폐에서 기가 밑으로 가는 길이 막혀서 밑으로 가지 못하여 폐에 기가 모여 있어, 이것이 위로 역행하여 나오는 기침을 멎게 하는 작용이 있고, 폐에 모여 있는 기를 아래로 내리면서 소변 등을 잘 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폐의 기운을 내리면 수분 대사가 잘 되어 담도 사라지고 기침도 멎게 되는데 정력자는 이런 작용으로 기침, 가래, 수종에 그 효능을 나타낸다.
몸 안의 수분을 잘 통하게 하면서 담을 없애고 기침 등을 멈추는데 그 효능이 탁월하다. 동의 치료에서 약한 이뇨약으로 부기에, 기침 멎이 약으로 기침, 숨가쁨에 쓴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달여 선병, 꽃돋이 등 피부병에 쓰며 냉이처럼 지혈약으로도 쓴다.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꽃다지, 재쑥의 종자를 정력자라 하며 약용한다.
따라서 아직 한약 처방전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씨가 여문 여름에 풀 전체를 뜯어다가 말린 다음 탁탁 두들겨 씨를 털어내 약재로 사용하는데, 나물감으로만 취급되는 가운데 가끔씩 약효가 나타났던 사례를 여기에 소개한다.
* 꽃다지 씨와 다닥냉이 씨는 심장질환으로 인한 호흡곤란에 약용하고 있으며 효과가 있다고 한다.
*다닥 냉이씨도 꽃다지와 거의 같은 목적으로 사용한다.
*꽃다지 씨는 설사를 나게 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로써 확실히 변비가 없어지게 된다.
*또 온몸이 부어오르는 증세를 가라앉힌다.
모든 산야초는 각종의 부기를 가라앉히는 역할을 하며 풍부한 섬유질이 뚱뚱하게 오른 살을 빠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꽃다지 씨는 기침과 가래를 가시게 하며 오즘을 잘 나오게 하는데, 산야초들은 약하든 강하든 다 이뇨작용을 한다.
*꽃다지 씨는 담음(먹은 물이 위장에서 출렁대고 가슴이 답답한 병)으로 가슴이 그득하고 숨이 찬 데에, 배에 물이 고이는 데에 약용한다.
삼출성 늑막염, 백일해, 출혈 증상을 낫게 한다.
♡ 활용방법
몸에 이러한 나쁜 증상이 생기면 하루 4~10g의 꽃다지 씨를 약간 볶아서 뭉글하게 달여서 복용하거나 뿌리를 빻은 가루를 꿀에 이겨 환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부스럼 같은 피부 질병에는 달인 물로 자주 씻어 준다.
1. 맛이 담백하고 쓴맛이 없으므로 가볍게 데쳐 한 번 헹구기만 하면 된다.
봄이나 웃자랐더라도 나물 무침하며 참기름을 넉넉히 넣은 양념과 버무려 생채로 먹어도 되고 비빔밥에 섞어 먹어도 좋다.
2. 김에 생잎을 늘어놓아 김밥 만들 듯이 둘둘 말아서 그대로 양념장에 찍어 먹는다.
3. 생식으로도 좋고 녹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4 식용을 위해 잎을 뜯어내고 난 뒤, 뿌리는 버리지 말고 소주에 담가 숙성시켜서 반 컵씩 마셔주어도 좋다.
☆ 채집시기/산지 : 여름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가공 : 생용으로 사용하거나 약한 불로 볶아서 사용한다.
☆ 주의점
풍한으로 인하여 기침이 심한 사람이나 음기가 부족하여 생긴 종기나 부종증의 증상에는 복용을 금한다.
♡ 활용 사례
1. 신장염(콩팥염)
꽃다지씨, 냉이뿌리를 각각 같은 양을 보드랍게 가루 내어 꿀에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1회에 3~4g씩 하루에 3번 식후에 먹는다.
2. 황달
꽃다지씨, 용담초,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더위지기(인진) 8g.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3. 거담(祛痰)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기관지염: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4. 당뇨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 다닥냉이 씨의 뛰어난 강심작용 효과
약리실험을 해 본 결과 다닥냉이 씨를 알코올에 우려낸 것에 강심작용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꽃다지 씨도 마찬가지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응용 동의 치료에서 약한 이뇨약으로 부기에, 기침 멎이 약으로 기침, 숨 가쁨에 쓴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달여 선병, 꽃돋이 등 피부병에 쓰며 냉이처럼 지혈약으로도 쓴다.
♡ 방제명:정력대추사폐탕
꽃다지씨 12g, 대추 12g. 물 200ml에 대추를 넣고 끓여서 약 100ml로 한 다음 꽃다지 씨를 넣고 50ml로 졸여서 한번에 마신다. 부패성 기관지염, 숨가쁨 등에 쓴다.
♡ 부종에 꽃다지씨(정력자)사용법
약간 볶아서 가루내어 대춧살로 반죽해서 한 알의 질량이 0.5g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10알씩 하루 2-3번 끼니 뒤에 먹는다.
이뇨작용이 있어 몸이 부은 것, 복수, 삼출성 늑막염 등과 오줌을 누지 못하는 데 쓴다.
[출처] 꽃다지(정력자)의 효능|작성자 자연인 정재용
꽃다지나물 효능은 아직 영구가 없는 편이며, 같은 십자화과 식물 냉이와 비슷한 효능이 있을 것 같아요.
꽃다지 부작용 맛은 쓴맛, 매운맛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성질은 차기 때문에 몸이 차거나 소화력이 약한 사람은 데쳐서 먹어야 하고 다른 나물과 같이 섞어서 무쳐먹는 게 효능이 좋아요.
꽃다지나물은 섬유질이 풍부하여 다이어트시 활용을 하면 포만감을 주는데 최고의 봄나물입니다.
꽃다지의 풍부한 영양성분과 식이섬유는 장운동을 도와주고 배변활동을 도와 변비 개선과 예방을 해줍니다.
이뇨작용이 뛰어나 소변을 잘나가게 하여 몸의 순환을 도와줍니다.
설사를 멎게 하고 변비를 개선해 주며, 몸이 붓는 부종에도 효능이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꽃다지 씨앗을 약재로 사용을 하며, 정력자(亭歷子)라 하여 오한, 발열, 심장질환으로 호흡이 곤란할 때. 이뇨 등에 사용을 하였습니다.
꽃다지처럼 십자화과 식물들은 열을 내려주며 혈액순환을 도와주고, 이뇨작용과 통증을 완화하여, 목이 아픈 증상과 감기, 류머티스성 관절염, 황달 등에 사용을 하였습니다.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로에베라의 효능 (0) | 2022.02.28 |
---|---|
벌나무.산청목의효능 (0) | 2022.02.26 |
은행나무.열매.잎.줄기의효능 (0) | 2022.02.23 |
산머루.넝쿨.뿌리의효능 (0) | 2022.02.22 |
대체육의효능 건강식단만들기 (0)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