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초나무와 초피나무 구별법
산초열매
초피(제피)열매
*산초나무와 초피[제피]나무의 구별법
봄철 흔히들 산초나무의 어린잎을 채취하여
짱아치도 박고 김치에도 넣고 추어탕에도 넣어 먹는다고 하는데,
이것은 산초가 아니라 초피[제피]나무가 맞습니다.
산초나무는 약용이며 잎은 뜹뜨름해서 안 좋습니다.
혹시 우리 회원님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여 올려봅니다.
(산초나무는 가시가 어긋나며, 작은 잎에 잔 톱니가 있고 투명한 유점이 있는 것이 차이점)
*산초나무
* 산초나무 : (학명 - Zanthoxylum schinifolium) [운향과(芸香科 Rut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분지나무, 분디나무라고도 함)]
※ 가시가 호생(어긋나게 달림)
개화기 : 늦여름과 가을사이
열 매 : 줄기의 끝에만 달린다. 하늘을 향한다.
효 능 : 열매를 약용[기름을 짜서 위장병이나 기관지천식에 복용, 외부 종기(淙腫)의 치료제]
어린열매가 항암력·식품 활용가치 높아
건강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는 산초(사진)열매가 수확시기에 따라 효능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경남도농업기술원은 지난해 산초열매 수확시기별 생리활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8월 상순에 수확한 어린 산초열매가 효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국내 전역에서 자생하는 산초나무의 열매는 기름과 장아찌 재료로 이용되는 약재이자 향신료로,
추어탕에 들어가는 초피(혹은 제피)열매와 자주 혼동하는 식물.
기름은 민간요법에서 소염, 식욕증진, 위장병, 기관지 천식 치료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어린 산초열매로는 장아찌 등을 담그기도 한다.
경남도농기원에 따르면 8월 상순에 수확한 어린 산초열매는 10월에 완전히 익은 열매에 비해
식중독균과 같은 유해균을 억제하는 항균활성 효능과 자궁경부암, 췌장암, 대장암 등
각종 암에 대한 항암활성이 더 높았고,
맛과 향이 우수해 식품으로서의 활용 가치도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또 산초열매는 껍질이 벌어지기 전인 10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이
껍질이 벌어지는 10월 중순 이후 수확하는 것보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40% 이상 높게 나타났다.
도농기원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산초기름은 10월에 완전히 익은 열매를 수확해 짜게 되는데
여기에는 올레인산과 리놀산 등 인체에 유용한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돼 있다”며
“최근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으로 산초나무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 산초랑 개 산초랑 두 가지 산초가 있는데 초보자는 잘 구분을 못합니다.
산초는 잎사귀가 좀 거칠면서 입에 넣으면 톡쏘는 자극과 함께 향이 강하고
개 산초는 잎사귀가 민민하며 입에 넣어 보면 톡 쏘지 않고 비릿합니다.
- 산초 닮은 넘 이름이 (능대)라 하네요.
- 개 산초는 이름만 산초일 뿐 맛이나 향 모두가 초피의 형제 입니다.
사실 일반인들은 구분조차도 어려운 일이지요.
* 초피나무
* 초피나무 : [제피(경상도), 젠피(전라도), 조피(이북), 지피, 남추, 진초 등으로 불린다]
※ 가시가 대생(마주 달림)
개화기 : 봄
열매 : 산초나무와는 달리 줄기의 중간에도 달리고 끝부분에도 달린다.
땅 밑으로 향한다.
효능 : 건위, 온중, 제습, 정장, 해어, 제독, 구충, 진통, 마취 등
초피(재피). 산초. 개산초나무 구별하기
1.개산초
개산초(운향과)
(Zanthoxylum macropdum S. et. Z.)
가시가 많으면서 열매를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한 산초나무, 개 산초, 초피나무를
구별해 보겠습니다.
식물의 특성상 대개 열매나 꽃의 값어치가 높은 식물일수록 앙칼진 가시를 갖게 마련인데
이 세 나무들은 정말 가시가 날카로우면서, 가시에 많은 분류키가 있는 셈이랍니다.
우선, 산초나무는 전국 각지에 퍼져 자라기 때문에 아무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랍니다.
반면, 초피나무는 중부이남 지방에서,
개 산초는 남부 지방에서 각각 자라는데 꽃이나 열매가 피는 계절에 맞춰 아랫녘 산지를 내려가서 볼 수 있는 식물이랍니다.
그리 아름답거나 원예종으로 키울만한 정도가 아니라서 직접 산지를 둘러보지 않고는 찾을 수 없는 종들이랍니다.
줄기에 붙은 가시가
호생(어긋나기)하는 것은 산초나무이고,
대생(마주나기)하는 것은 개 산초와 초피나무인데,
이 중 개 산초는 유독 엽병과 엽축에 넓은 날개가 어덕더덕 붙어 있어서 쉽게 구별이 된답니다.
산초나무는 열매껍질이 녹갈색으로 익지만,
개 산초와 초피나무는 적갈색으로 익고 속에 들어있는 반들반들한 종자는 모두 흑색이랍니다.
산초와 개 산초는 잎 가장자리에 아주 작은 잔 톱니가 있지만,
초피나무는 물결 모양의 톱니가 크게 발달되어 있답니다.
생육환경
- 내한성이 약하나 때로 중부지방에서도 월동하고,양지를 좋아하지만 음지에서도 잘 자란다.
내건성이 약하여 비옥적윤한 토양을 좋아하며 바닷가에서도 잘 자란다.
- 동해안 쪽으로는 경북 울진군소재 성류굴의 암벽에 까지 자란다.
번식방법
- 실생으로 번식한다.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모래와 섞어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 일부 종자는 2년 후에 발아하기도 한다.
이용방안
- 관상용 또는 생울타리용으로 식재한다.
- 과실은 竹葉椒(죽엽초), 근(根)은 竹葉椒根(죽엽초근), 엽(葉)은 竹葉椒葉(죽엽초엽)이라하며
약용한다.
2.개산초
이명 : [개산초나무] [겨울사리좀피나무] [사철초피나무]
학명 : Zanthoxylum planispinum Siebold & Zucc.
분류군 : Rutaceae(운향과)
일명 : フユサンショウ(Fuyu - zansho)
영명 : Bambooleaf Prick-lyash
漢名 : 花椒(꽃 화, 산초나무 초)
- 개화기 : 6월
- 꽃 색 :
- 잎 : 잎은 호생하고 3-7개의 소엽으로 된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3-12cm, 너비 1-2.5cm로서 정소엽이 가장 크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기부에 융모가 있거나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투명한 선점과 더불어 잔 톱니가 있다.
엽병과 엽축에 넓은 날개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3cm이다.
엽병의 기부나 새 가지의 기부 근처에 길이 1-2㎝나 되는
한 쌍의 가시가 있다.
- 열 매 : 심피는 붉은 색이 돌며 길이 5mm정도로서 선점이 있고
열매는 공모양의 표면에 작은 돌기가 있는 삭과로 9-10월에 적갈색으로 익어서
주옥같은 종의(種衣)를 뒤집어 쓴 흑색의 종자가 옆으로 튀어나온다.
- 꽃 : 화서는 총상 또는 복총상화서이고 액생하며 길이 3-4cm로서 연한 황색의 소화가 달리고
꽃은 암수딴그루로 6월에 개화한다.
- 줄 기 : 소지에 털이 없으며 탁엽이 변한 길이 1-2㎝정도인 한쌍의 편평한 가시가 있다.
- 원산지 : 한국
- 분 포 : 남부 지방, 난대림의 해발 50-600m 사이에 자생한다.(전남, 경상남북도, 제주도 등지)
▶ 일본과 대만, 중국에도 분포한다.
- 형 태 : 상록 활엽 관목
- 크 기 : 높이 3-4m 정도로 자란다.
- 생육 환경 : 내한성이 약하나 때로 중부지방에서도 월동하고,
양지를 좋아하지만 음지에서도 잘 자란다.
내건성이 약하여 비옥적윤한 토양을 좋아하며 바닷가에서도 잘 자란다.
▶ 동해안 쪽으로는 경북 울진군소재 성류굴의 암벽에 까지 자란다.
- 광 선 : 양생
- 내한성 : 약함
- 토양 : 비옥
- 수분 : 보통
- 꽃/번식방법 : 실생으로 번식한다.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모래와 섞어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 일부 종자는 2년 후에 발아하기도 한다.
- 결실기 : 9월
- 이용방안
▶ 관상용 또는 생울타리용으로 식재한다.
▶ 과실은 竹葉椒(죽엽초), 근(根)은 竹葉椒根(죽엽초근), 엽(葉)은 竹葉椒葉(죽엽초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 왕초피나무와 基源(기원)을 같이 한다.
⑴ 竹葉椒(죽엽초)
① 성분 : 과실에는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경(莖)에는 magnoflorine 0.02%,
xanthoplanine 0.01%가 함유되어 있다.
② 약효 : 溫中(온중), 散寒(산한), 살충의 효능이 있다.
회충으로 인한 복통, 齒痛(치통), 濕瘡(습창), 胸腹冷痛(흉복냉통)을 치료한다.
6-9g을 달여서 또는 粉末(분말)로 1.5-3g을 복용한다.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⑵ 竹葉椒根(죽엽초근)
① 연중 수시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 근(根)에는 alkaloid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은 magnoflorine 0.17%,
xanthoplanine 0.0075%, skimmianine 0.0015%, dictamnine 0.001%,
γ-fagarine 등이다.
③ 약효 : 祛風(거풍), 散寒(산한),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두통, 感冒(감모), 咳嗽(해수), 吐瀉(토사), 류머티성 관절염, 타박상, 齒痛(치통)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 15-30g을 달이거나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 하거나 粉末(분말)로 살포한다.
⑶ 竹葉椒葉(죽엽초엽)
①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약효 : 腹脹痛(복창통), 腫毒(종독),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皮膚搔痒(피부소양)을 치료한다.
신선한 근(根) 30g을 달여 술과 조합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거나 짓 찧어서 술과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1. 2번은 모두 개산초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럼 간단한 구별점은
1. 개산초. 초피(재피)는 가시가 대생(마주나고) 산초는 호생(어긋나기)한다는 것입니다.
2. 개산초의 특징은 엽병과 엽축에 넓은 날개가 있다는 것입니다.
(붉나무를 생각해보시면 쉽습니다.)
3. 개 제피는 산초나무의 방언입니다.(국어사전 참고)
[명사] [방언]
1 ‘산초04(酸草)’의 방언(제주).
2 ‘산초나무’의 방언(제주).
<참고>-가시와 잎모양
초피나무
산초나무
1. 산초나무 꽃
2. 산초나무 열매
3. 산초나무 열매
4. 개산초
5. 개산초 열매
6. 개산초 열매 접사
7. 초피나무
8. 초피나무 열매
9. 초피나무 열매
10. 초피나무 열매
11. 초피나무 잎
12. 초피나무 줄기와 가시
산초와 초피의 구별
1. 산초와 초피를 쉽게 구분하는 법은 "산호초대"를 외우면 됩니다.
산초는 가시가 호생(어긋나기)하고 초피는 가시가 대생(마주나기)하니까요.
따라서 가시만 잘 보면 산초와 초피는 구분이 쉬울 듯.
2. 초피의 잎은 소엽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산초 잎은 소엽에 잔거치가 있는 것이 다르다.
3. 추어탕에 쓰이는 재피라는 것은 초피의 열매를 감싸고 있는 껍질을 말려 가루 낸 것이다.
4. 열매
- 산초 : 줄기의 끝에만 달린다.
하늘을 향한다.
- 초피 : 산초나무와는 달리 줄기의 중간에도 달리고 끝부분에도 달린다.
땅 밑으로 향한다.
산초나무
산초나무 가시(어긋나게 달린다)
산초나무 잎과 열매
산초나무 열매
초피나무
초피나무 잎과 가시(마주 난다)
초피나무 열매
초피나무 잎
산초나무 잎 초피나무 잎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기, 볶아 먹으면 폴리페놀 함량 2.7배 (0) | 2020.01.11 |
---|---|
산수유와 생강나무 비교 (0) | 2020.01.11 |
오가피 종류 (0) | 2020.01.11 |
때죽나무와 쪽동백 (0) | 2020.01.11 |
느티나무, 느릅나무, 시무나무 소사나무 비교 (0) | 202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