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늘 효능
활용및 식용법은 다양 합니다. 식용이나 효소 재료로 훌륭한 재료 입니다
하지만 워낙 고가여서 효소를 담금 한다는것이 조금 어려운데 이때
요리를 위해 다듬거나 웃자란 것들로 효소를 담금 하시면 된답니다
따라서 요리로 이용하는 법을 올려 봅니다*
1:김치
일반 겉절이 담금 하듯이 하여서 냉장저장 하여 복용
2:절임(짱아지)
-1: 간장 절임
집간장을 활용하여 저염 약초 간장에 담금후 냉장저장하여 복용
-2: 고추장 된장
고추장과 된장에 밖아두었다가 숙성후 복용
3:산마늘 대
김치,절임등을 하기 위해 다듬을때 나오는 꼭지부분을 모아서 마늘쫑 담금 하듯이 활용하여 복용
4:씨앗
씨앗은 기름이나 볶아서 사용
5:줄기
채취 시기가 지나서 조금 억세진 줄기와 잎을 튀김으로 복용명이나물(산마늘)은 3월부터 6월에 이르기까지
잎이 피고 꽃이 지고 씨앗이 맺힐 때까지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식용부위로는 파와 비슷하게 생긴 인경과 잎, 꽃 그리고 씨앗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날것으로 먹거나 무침, 초절임, 튀김, 볶음 등 다양하게 먹을 수 있으며, 또
한 염장이나 장아찌, 묵나물 등 저장식품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시중에 널리 알려진 식품으로는 간장절임과 김치절임이 있습니다.
명이나물(산마늘)의 효능
명이나물(산마늘)의 비늘줄기는 피침형으로 외피가 그물 같은 섬유로 덮여 있으며 갈색이 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주로 소화기 질환 등을 다스린다. 명이나물(산마늘)은 자양강장에 좋고 맛이 좋은 산채로 최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효과와 인체 내 비타민 B흡수를 촉진하고 항혈전작용물질의 발견으로 기능성식품, 의약원료로서 주목되고 있다.
약효는 비늘줄기(알뿌리)에 있고 8~9월에 채취하여 섬유망 제거 후 햇볕에 건조하여 쓴다. 성미는 따뜻하며 맵다. 독성은 없다. 온중(溫中), 건위(健胃), 해독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 심복통(心腹痛), 옹종(癰腫), 독충교상(毒蟲咬傷), 장기악독을 치료한다. 그 종자는 설정(泄精)을 치료한다.
주의 : 약초식물은 유사한 종류가 매우 많고, 사용량, 혼합비율, 개인적 체질에 따르는 효과 등 이 다르므로 사용시에는 반드시 인가된 전문가 상담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명이나물(산마늘)은 잎의 생김새가 은방울꽃과 흡사하지만 보다 넓고 크며 부드럽다. 은방울꽃은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독초에 속하므로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 자생 산마늘을 함부로 채취하다가 은방울꽃을 잘못 채취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강장보호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건위(健胃) :비늘줄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구충(驅蟲) :비늘줄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한다.
독충해독(毒蟲解毒) :비늘줄기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소화불량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심복통(心腹通)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옹종(癰腫) :비늘줄기를 달여서 그 물로 3~4회 환부를 닦는다.
토사 곽란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풍(風)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복용한다.
풍습(風濕)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해독(解毒)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해수(咳嗽)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명이나물(산마늘) 죽 :알뿌리 30g과 맵쌀 60g을 함께 섞어 죽을 쑤어 먹는다. 보통 죽을 끓이는 방법과 같다. 중년기와 노년기의 폐결핵 치료에 효과가 있고 고혈압 동맥경화가 있는 경우에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 위가 자극될 수 있으므로 위가 나쁜 노인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산마늘주 :자양강장에 좋은 효과를 볼수 있다. 알뿌리를 토막내 3배량의 소주에 담근다. 가끔 휘저어 주면서 냉암소에서 2~3개월 숙성시킨다. 하루 한번씩 취침 전에 20~40CC정도씩 마신다.
명이나물(산마늘)의 효능
산마늘에서는 섬유질이 많아 장의 운동을 자극해서 장안에 있는 독성을 배출하고 콜레스테롤을 정상화 시키고 대장암 발생률을 낮출 뿐 아니라 변비를 없애준다. 비타민A가 많아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감기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며 호흡기 튼튼하게 하고 시력을 강화시킨다.
독특한 냄새를 내는 알라린(Alliin)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다.
이 알라린은 유황성분이 많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비타민B1을 활성화하고 일부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또 강장작용(强壯作用)을 하는 스코류지닌 성분이 들어 있다.
명이나물(산마늘)이 우리나라 성인의 대표적인 사망 원인인 심장마비 관상동맥 질환·뇌졸중 등을 일으키는 콜레스테롤을 크게 낮춰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산림청 임업연구원 천연물화학연구실과 서울대 수의대 독성학연구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산마늘이 콜레스테롤 생합성 과정에 작용하는 효소의 활성을 70% 이상 방지해 콜레스테롤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결핍증에 이용하거나 위장병 특히 위염, 신경쇠약, 심장병 등에 효과가 있다.
자양강장, 이뇨, 정장, 피로회복, 감기, 건위, 소화 등에 약효가 있다.
약으로 사용하는 방법
명이나물(산마늘)은 소도지제(消道之劑)로써 소화기 질환인 위염, 변비, 위통, 복통 등 치료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신경계 질환에도 널리 사용되므로 건망증, 불면증에 이용되며 체력이 약해져서 신경쇠약이 있을 때도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사용된다. 부인병 영역에도 월경불순, 월경통, 분만후통증, 자궁염에도 보조식품으로 사용된다. 혈액은 정혈(靜血)시켜주는 작용으로는 만성병으로 고생하는 고혈압, 동맥경화증에 치료효과를 증진시켜 준다.
이상 설명한 영역 외에 강장, 흥분작용에 있어서 조루증,유정(遺精), 정충감소등 남성의 스테미너 부족에도 효능이 있다.
문헌의 기록을 보면 약효는 다음과 같다.
동의보감
소산(小蒜)이라 하여 매운맛이 있고 비장과 신장을 돕고, 몸을 따뜻하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킨다. 토사곽란을 멈추며 배속의 기생충을 없애고, 뱀에 물린데 효과가 있다.
중국 중약대사전
산산(山蒜)이라 하며 몸을 따뜻하게 하고 몸속의 덩어리를 없앤다. 나쁜 피를 정혈시키고 통증을 멈추게 한다. 소화를 잘 되게 하며, 복부의 어혈을 다스리고, 식체 포만을 내리게 한다. 종기의 염증 치료에 도움을 주며, 타박상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본초습유(本草拾遺)
몸속의 더운 열기를 하복부로 내려 발산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본초도경(本草圖經)
복부의 혈을 다스리고 뭉쳐진 부인병의 어혈을 다스린다.
귀주민간방 약 집(貴州民間方 藥集)
위를 튼튼하게 하며 소화를 촉진한다. 식욕을 증진시키고 식후 명치 아픔 및 포만한 것을 다스린다.
우리나라 민간요법
구충, 이뇨, 강장, 소화, 해독, 건위, 등의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복용법
내복 시에는 400cc 물에 30g의 산마늘을 넣어 중불에 20∼30분 정도 끓여 복용한다.
즙으로는 강판에 산마늘 30g을 갈고 일반 생야채 녹즙과 같이 복용하면 효능을 배가 시킨다.
식용방법
명이나물(산마늘)은 3월부터 6월에 이르기까지 잎이 피고 꽃이 지고 씨앗이 맺힐 때까지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식용부위로는 파와 비슷하게 생긴 인경과 잎, 꽃 그리고 씨앗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날것으로 먹거나 무침, 초절임, 튀김, 볶음 등 다양하게 먹을 수 있으며, 또한 염장이나 장아찌, 묵나물 등 저장식품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시중에 널리 알려진 식품으로는 간장절임과 김치절임이 있다.
자료출처 : 산야초 세상
산과 들에 파릇한 봄나물이 나오는 시기가 됐다. 봄나물은 종류에 따라 각기 좋은 영양분을 갖고 있으므로 골라 먹는 재미도 쏠쏠하다. 특히 여성과 남성에게 좋은 건강효과를 주는 봄나물 4가지를 골라봤다.
◆여성은 쑥과 취나물
![](https://blog.kakaocdn.net/dn/GG513/btrx2RCOuOi/QM3QQ0Dyz1xIDBtNPRzXWk/img.jpg)
단군신화를 보면 곰이 쑥을 먹고 웅녀(熊女)가 됐다는 말이 있다. 쑥이 여성과 밀접함을 보여주는 속설이다. 실제 쑥은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어 여성들에게 특히 좋다. 쑥은 부인과 치료에도 많이 사용되는데, 대부분 자궁질환이 몸이 차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취나물 역시 골다공증에 걸리기 쉬운 중년 여성에게 좋다. 취나물에는 100g당 124㎎의 칼슘이 들어있어 뼈 골밀도가 낮은 환자나 성장기 아이들에게 좋다.
◆남성은 부추와 두릅
![](https://blog.kakaocdn.net/dn/bFbloa/btrx2SPkkPn/0rKU35yA6CgSLtW4ukjas1/img.jpg)
부추의 정력증강 효과는 유명하다. 비결은 부추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황화알릴에 있다. 황화알릴은 비타민 B1과 결합해 알리티아민이 되는데, 이는 천연 피로회복제로 정력을 증진시켜준다. 그러나 부추의 이런 성분은 공기 중에 잘 날아가고 물에 잘 녹기 때문에 빨리 먹는 것이 좋고 씻는 시간을 짧게 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탈모를 걱정하는 남성은 두릅을 먹으면 도움이 된다. 두릅에는 비타민C와 철분이 풍부해 탈모를 예방할수있다.
![](https://blog.kakaocdn.net/dn/TAfMi/btrx1Il8wf9/kDlkbILGdp3aXnhavcaA4K/img.png)
산마늘의 효능
1. 산마늘에서는 섬유질이 많아 장의 운동을 자극해서 장안에있는 독성을 배출하고 콜레스테롤을 정상화 시키고
대장암 발생률을 낮출뿐 아니라 변비를 없애 준다.
2. 비타민A가 많아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감기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며 호흡기를 튼튼하게 하고 시력을 강화시킨다.
3. 독특한 냄새를 내는 알라린(Alliin)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다.
4. 이 알라린은 유황성분이 많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비타민B1을 활성화하고 일부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강장작용(强壯作用)을 하는 스코류 지닌 성분이 들어 있다.
5. 산마늘이 우리나라 성인의 대표적인 사망원인인 심장마비,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등을 일으키는
콜레스테롤을 크게 낮춰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6. 산림청 임업연구원 천연물화학연구실과 서울대 수의대 독성학연구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산마늘이
콜레스테롤 생합성 과정에 작용하는 효소의 활성을 70% 이상 방지해 콜레스테롤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비타민 결핍증에 이용하거나 위장병 특히 위염, 신경쇠약,심장병 등에 효과가 있다.
8. 자양강장, 이뇨, 정장, 피로회복, 감기, 건위, 소화 등에 약효가 있다.
9. 성분(생채 100g당) 열량:20㎉ / 탄수화물당질;3.6g / 인:2.2mg / 비타민:B0.06mg / 수분;91.9g섬유질:0.7g/
철:6.2mg /베타카로틴:677㎍ 단백질: 2.4g / 회분:1.2g / 비타민A:113R.E. 나이아신;0.2mg 지질:0.2g /
무기질/칼슘9mg / 비타민B:0.05mg / 칼슘8mg
♤ 약으로 사용하는 방법
1. 산마늘은 소도지제(消道之劑)로써 소화기질환인위염, 변비, 위통, 복통,등 치료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있다.
2. 신경계 질환에도 널리 사용되므로 건망증, 불면증에 이용되며 체력이
약해져서 신경쇠약이 있을때도 다른 약재와 배합하여 사용된다.
3. 부인병 영역에도 월경불순, 월경통, 분만후통증, 자궁염,에도 보조식품으로 사용된다.
4. 혈액은 정혈(靜血)시켜주는 작용으로는 만성병으로 고생하는 고혈압,동맥경화증에 치료효과를 증진시켜 준다.
5. 이상 설명한 영역 외에 강장, 흥분작용에 있어서 조루증, 유정(遺精),
정충감소,.등 남성의 스테미너 부족에도 효능이 있다.
♣ 문헌의 기록을보면 약효
☞ 동의보감
소산(小蒜)이라 하여 매운맛이있고 비장과신장을 돕고, 몸을 따뜻하게하고 소화를 촉진시킨다.
토사곽란을 멈추며 배속의 기생충을 없애고, 뱀에 물린데 효과가 있다.
☞ 중국 중약대사전
1. 산산(山蒜)이라 하며 몸을 따뜻하게하고 몸속의 덩어리를 없앤다.
2. 나쁜피를 정혈시키고 통증을 멈추게 한다.
3. 소화를 잘되게하며, 복부의 어혈을 다스리고, 식체포만을 내리게 한다.
4. 종기의 염증치료에 도움을주며, 타박상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 본초습유(本草拾遺)몸속의 더운열기를 하복부로내려 발산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 본초도경(本草圖經)복부의 혈을 다스리고 뭉쳐진 부인병의 어혈을 다스린다.
♤ 우리나라 민간요법
1. 구충,이뇨,강장,소화,해독,건위,등의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2. 내복시에는 400cc물에 30g의 산마늘을 넣어 중불에 20∼30분 정도 끓여 복용한다.
3. 즙으로는 강판에 산마늘30g을갈고 일반생야채 녹즙과같이 복용하면 효능을 배가 시킨다.
☞ 산마늘죽
알뿌리30g과 맵쌀60g을 함께섞어 죽을쑤어 먹는다.
보통죽을끓이는 방법과같다.
중년기와 노년기의폐결핵 치료에 효과가있고 고혈압 동맥경화가 있는
경우에 개선효과를 볼수 있다고 하나, 위가 자극될수 있으므로 위가나쁜 노인은 먹지 않는게 좋다.
♤ 산마늘주 담그는법
산마늘주의 효험은 자양강장에 좋은 효과를 볼수 있다.
1. 알뿌리를 토막내 3배량의 소주에 담근다.
2. 가끔 휘저어주면서 냉암소에 2~3개월 숙성시킨다.
3. 하루한번씩 취침전에 20~40CC정도씩 마신다.
♤ 산마늘주의 효능
1. 강장보호
비늘줄기 4~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이상 복용한다.
2. 건위(健胃)
비늘줄기3~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이상 복용한다.
3.구충(驅蟲)
비늘줄기3~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한다.
4.독충해독(毒蟲解毒)
비늘줄기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4~5회 복용한다.
5. 소화불량
비늘줄기4~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정도 복용한다.
6. 심복통(心腹通)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 1일 2~3회씩 1주일이상 복용한다.
7. 옹종(癰腫)
비늘줄기를 달여서 그물로 3~4회 환부를 닦는다.
8. 토사 곽란
비늘줄기4~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여서4~5회 복용한다.
9. 풍(風)
비늘줄기4~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또는 산제로하여 1일 2~3회씩 복용한다.
10. 풍습(風濕
비늘줄기4~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또는 산제로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11.해수(咳嗽)
비늘줄기4~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또는 산제로하여 1일 2~3회씩 1주일정도 복용한다.
12. 해독(解毒):
비늘줄기4~5g을 1회분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또는 산제로하여4~5회 복용한다.
♤ 산마늘의 부작용
산마늘은 특별한 부작용은 없지만 가장 큰 부작용은 생채를 많이 드시면 입속
에서 하루종일 마늘냄새를 맡게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ctn3u5/btrxZCNXB6l/sbacXLWCjqjLXLrehpFHa1/img.jpg)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피.알밤의 효능 (0) | 2022.04.04 |
---|---|
맥문동 효능 (0) | 2022.04.01 |
방가지똥의 효능 (0) | 2022.03.30 |
갯기름.방풍나물효능 (0) | 2022.03.29 |
여성청결제 질경이의효능 (0) | 2022.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