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산야초

갯기름.방풍나물효능

Jinsunmi5066 2022. 3. 29. 07:42

방풍나물효능

 

 

방풍나물

학명 Ledebouriella seseloides  분포지역 제주, 중부·북부 지방 자생지역 건조한 모래흙으로 된 풀밭

번식 실생·분주 약효 부위 뿌리 생약명 방풍(防風) 1m 정도 미나릿과

생활사 여러해살이풀(또는 세해살이풀) 채취기간 10월~이듬해 4월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따뜻하며, 쓰고 맵다. 독성여부 약간 있다. 1회 사용량 4~6g

주의사항 약간의 독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동속약초 갯방풍·갯기름나물·기름나물의 뿌리

우리가 알고 있는 방풍 나물과 약재로 사용된 방풍은 같은 미나리과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식물이다.

방풍은 미나리과 방풍의 뿌리이며 중국의 동북, 내몽고, 하북, 산동, 하남, 섬서, 산서, 호남 등지에 분포한다.

방풍 나물은 2종류가 있다.

그 중 하나는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로 갯기름 나물로 불리고 있으며 그 뿌리를 식방풍이라고 한다.

주로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 해안에서 자란다.

다른 하나는 미나리과에 속한 갯방풍이 있으며 갯방풍의 뿌리는 해방풍이라고 한다.

대만에서는 빈방풍, 중국에서는 산호채라 쓰고 이명으로는 북사삼, 해사삼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대만 북쪽, 일본, 중국, 만주, 사할린 등에 분포하며 바닷가 해안에서 주로 자란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방풍, 식방풍, 해방풍은 모두 항염증 효과가 있어서 모두 염증성 질환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약재가 가지고 있는 성질이 서로 달라 주의해야 한다.

방풍은 맛이 쓰고 따뜻한 성질이며 발한, 해열, 진통 등의 효능이 있어 감기, 두통, 어지럼증, 관절통, 파상풍

을 치료한다.

식방풍은 맛이 맵고 차가운 성질이며 열을 내리고 기침을 멈추는 효능과 이뇨,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진 식방풍은 호흡기의 염증으로 인한 기침, 요로감염, 피부의 염증 등을 치료한다.

해방풍은 맛이 달고 담백하며 서늘한 성질이고 인체의 수분과 에너지를 보충하며 폐를 맑게 하는 효능과

가래를 제거하고 기침을 멈추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수분과 에너지를 보충하는 효능을 가진 해방풍은 폐의 염증으로 인한 마른 기침, 몸이 허약하고 오래된

기침, 목안이 건조한 증상, 갈증 등을 치료한다.

사상의학에서 방풍을 비롯한 식방풍, 해방풍은 에너지가 쉽게 항진돼 염증성 질환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소양인에게 적합하다.

방풍나물효능

1.거풍승습(祛風勝濕)의 효능. 풍(風)을 없애고 습(濕)을 없애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2.지통(止痛)의 효능. 통증(痛症)을 없애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3.지경(止痙)의 효능. 힘줄이 땅기는 등 경련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4.해표거풍(解表祛風)의 효능.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고 독(毒)을 없애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5.화혈맥(和血脈)의 효능. 피가 흐르는 줄기가 운행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6.골절산통(骨節酸痛)의 효능. 뼈마디가 시리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7.두통(頭痛)의 효능. 머리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8.목현(目眩)의 효능. 눈앞이 캄캄하고 꽃 같은 헛것이 어른거리는 증상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9.사지련급(四肢攣急)의 효능.

수족의 근맥(筋脈)이 땅기고 비틀어져서 구부리고 펴기가 어려운 병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10.외감풍한(外感風寒)의 효능. 외부에서 침입한 풍한사(風寒邪)를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11.파상풍(破傷風)의 효능. 상처로 풍독사가 들어가 경련을 일으키는 병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12.풍한습비(風寒濕痺)의 효능.

풍(風), 한(寒), 습(濕)의 3기(氣)가 겹쳐 발생한 비증(痺證)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13.항강(項强)의 효능. 목덜미가 뻣뻣해 옆으로 돌리지 못하는 병증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방풍의 활용방법

1. 방풍나물무침

특유의 향과 아삭한 맛 덕분에 쌈 채소로 인기가 높은 방풍은 나물로 무쳐먹어도 굉장히 좋습니다.방풍나물, 파, 고추장,

매실액, 깨소금, 마늘과 참기름 약간을 준비해주세요. 방풍나물을 데쳐서 위의 양념재료를 함께 버무려 드시면 됩니다.

2. 방풍뿌리차

피부가 건조하고 피부병이 있으며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분들은 방풍뿌리를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습니다.

방풍뿌리를 잘게썬 뒤 말립니다.그 뒤 볶은 다음 가루를 내어 따뜻한 물에 타서 먹거나 끓여서 먹으면 좋습니다.

3. 방풍장아찌

방풍나물을 살짝 데쳐 깨끗히 손질하여 물기를 빼줍니다.양조간장, 물, 양파, 청고추, 다시마, 대파, 국멸치를 준비해 팔

팔 끓인 뒤 건더기를 건져 식혀준 뒤, 식힌 육수를 방풍나물에 부어 냉장보관하시면 됩니다.

방풍나물 보관법

방풍나물을 사용하고 남았을 때는 냉장 보관해야 한다.

물에 적신 키친타월이나 신문지로 방풍나물을 감싼 후 비닐 팩에 넣어 보관한다.

이때 비닐 팩에 숨을 불어넣어 밀봉하면 수분의 손실을 막고 오랜 기간 싱싱하게 보관할 수 있다. 삶은 뒤 물기를 꼭 짜

서 냉동 보관해도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방풍 부작용

방풍은 소양인의 약재이므로 몸에 열이 없는 사람이나 소음인체질에게는 잘 맞지 않습니다.

소음인 체질의 특징은 평소 손발이 차거나, 소화가 잘 안 되어 선천적으로 비장과 위장이 다소 약하여 배타과 같은 위장

장애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방풍(갯방풍)은 방풍 防風으로 사용하면 안되는 위품(僞品, 가짜)

방풍은 발한해표 發汗解表, 거풍제습약 祛風除濕藥의 하나로서 해표거풍 解表祛風· 승습지통 勝濕止痛·

지사지혈 止瀉止血의 효능으로, 미온 微溫하되 조 燥하지 않고 맛이 감완 甘緩하여 성질이 준열 峻烈하지 않으며

성질이 비교적 부드러워 풍약 風藥 중에 윤제 潤劑라 불리우는 풍병요약 風病要藥이다.

이름 자체도‘풍 風을 예방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완만한 발한 發汗으로 진액 津液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약재라는 뜻이다.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에 최초로 기록되어 아주 오랫동안의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으나,

그 기원 및 효능 구분에 있어 현재까지도 논란이 지속되어오고 있는 대표적인 한약재이다.

약용 부위인 뿌리는 2년생 이상된 기원식물에서 봄과 가을에 꽃대가 나오지 않은 것을 채취하여

말려서 사용한다.

현재 우리나라 약재시장에서

방풍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어지고 있는 종류로는

원방풍 元防風이라 부르는 중국방풍,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 해안 바위틈에 자생하며

많이 재배되고 있는 갯기름나물인 식방풍 植防風,

그리고 현재까지도 일부 원방풍 元防風으로

잘못 유통되어지고 있는 해방풍 海防風 3종이 있다.

1.방풍류 防風類의 기원

각국 공정서(KP, CP, JP, THP, DKP)에서

방풍(防風.Saposhnikovia divaricata)의 뿌리를

정품 正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KHP에서는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의 뿌리를

식방풍 植防風이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갯방풍 Glehnia littoralis을

해방풍 海防風 혹은 원방풍 元防風 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어져 왔는데, 이는 한약명 북사삼 北沙蔘 으로서

보음약 補陰藥에 속하므로 효능이 다르다.

중국에서는 갯기름나물을 빈해전호 濱海前胡로,

갯방풍을 북사삼 北沙蔘이라 구분하고 있다.

산출지역을 보면,

방풍(防風. Saposhnikovia divaricata)은

중국의 東北(黑龍江, 吉林, 遼寧, 만주),

華北(河北, 山西,河南) 등에서 산출되며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일부 시험재배되어지고 있다.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은

한국의 중남부 및 중국의 華東(山東, 江蘇, 浙江), 華南(臺灣, 福建) 등의

해안가의 바위틈에 자생 혹은 대량으로 재배되어지고 있다.

갯방풍 Glehnia littoralis은 한국의 남부 및

중국의 華東(山東, 江蘇, 浙江), 華南(臺灣, 廣東, 福建)

등지의 바닷가 모래밭에 자생한다.

이외에 많은 종의 식물뿌리가

방풍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한약재 사용량은 극히 제한적이어서

이를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

2.약효상의차이

이를 종합하여 세분하면

① 기미氣味 및 효능에 근거하면,

방풍은 각국 공정서(KP, CP,JP, THP, DKP)에서

규정하고 있듯이,

중국 방풍 防風(원방풍 元防風)인

Saposhnikovia divaricata의 뿌리를

정품 正品으로 해야한다.

②우리나라(KHP)에서

식방풍 植防風이라는 이름으로 대체되어지고 있는

갯기름나물(植防風) Peucedanum japonicum은

분류상 청열약 淸熱藥에 해당되어지는 약물로서,

한약재로서의 방풍 防風 효능과 차이점을 갖고 있다.

식방풍 植防風의 속명 屬名인 Peucedanum이

식물분류상 한약재 전호 前胡의 속명 屬名과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상한론 傷寒論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면,

원방풍 元防風이 발산풍한 發散風寒의 효능을 가진

태양병 太陽病약물이라면,

식방풍 植防風은 청열 淸熱의 효능을 가진

양명병 陽明病약물로 설명될수 있겠다.

다시 말하면

식방풍 植防風은 원방풍 元防風 적응증의

다음 단계에 해당되는 약물로서,

한의학에서 말하는 방풍 防風의 효능과는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방풍 植防風은

오한 惡寒보다는 발열 發熱이 주요 증상인

감기에 구갈 口渴과 해수 咳嗽를 동반하는데에

적응증이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③이미 공식화되었지만,

임상에서 쉽게 변화되고 있지 않는

갯방풍(海防風) Glehnia littoralis의

방풍 防風 오용은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감기의 경우에 굳이 사용되어져야 한다면,

원래의 한약명인 북사삼 北沙蔘의 의미대로

감기 후기의 폐위음허증 肺胃陰虛症에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방풍(元防風) Saposhnikovia divaricata

①전형 全形상태

표피 表皮가 담갈색 淡褐色이며,

윗부분(根莖)은 촘촘히 돌림마디 모양의

세로주름( 蚓頭)이 있다.

②절단상태

가장자리(皮部)는 회갈색으로 열극 裂隙이 있으며,

목부 木部는 황색이고 방사상무늬(국화문 菊花紋)가 있으며,

중앙에는 황갈색의 원형무늬가있다.

2)갯기름나물(植防風)Peucedanum japonicum

①전형全形상태

표피 表皮가 회황색 灰黃色이며,

많은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가있다.

②절단상태

가장자리(皮部)는 회갈색으로 열극 裂隙이 없으

며, 목부 木部는 황갈색으로 치밀하다.

3)僞品:갯방풍(海防風)Glehnia littoralis

①전형상태

표피 表皮가 담황백색 淡黃白色이며,

윗부분(根莖)은 종황색 棕黃色의 근경 根莖 잔기 殘基가 있고,

가는 세로주름과 세로홈이 있으며, 종황색 棕黃色의 점모양의

세근 細根흔적이 뚜렷하다.

②절단상태

가장자리(皮部)는 회황색 灰黃色으로

때로 열극 裂隙이있으며,

갈색 褐色의 분비도가 흩어져 있고,

목부 木部는 담황색 淡黃色으로 치밀하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출처: https://worldherb.tistory.com/2690 [약초세상-솔직담백한 약초 & 식품 이야기]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마늘(명이나물) 효능  (0) 2022.03.31
방가지똥의 효능  (0) 2022.03.30
여성청결제 질경이의효능  (0) 2022.03.28
제비꽃 효능, 먹는 방법  (0) 2022.03.26
원추리효능  (0) 2022.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