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칭개[Hemistepa lyrata : Hemistepa carthamoides (Buch. Ham.) O. Ktze.]는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60~8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속이 비어있다. 뿌리잎은 방석 모양으로 겨울을 지내며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줄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으로 잎몸이 우상으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이 다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기부는 좁아지고 뒷면에 흰색의 털이 밀생한다. 중앙부의 잎은 잎자루가 없고 장타원형으로 우상으로 갈라진다. 위쪽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된다. 5~7월 줄기가 곧게 솟아 가지 끝마다 연한 분홍색의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두상화는 통꽃만 달리고 총포는 둥글며 8줄로 배열한다. 장타원형의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암갈색으로 익는다. 떨어지기 쉬운 관모가 있다. 길가의 거친땅이나 풀밭, 못가에서 자라는 2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지칭개의 여러 가지 이름은 니호채[泥胡菜: (救荒本草)], 고마채[苦馬菜, 우삽비:牛揷鼻: 질문본초(質問本草)], 석회채[石灰菜: 강소야생식용식물(江蘇野生食用植物)], 나미채[糯米菜, 묘골두:猫骨頭: 귀주초약(貴州草藥)], 지칭개나물, 즈츰개, 지칭개 등으로 부른다.
☆ 지칭개를 채취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린다.
☆ 지칭개의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1, <질문본초>: "성질은 차다."
2, <귀주초약>: "성질은 서늘하며 맛은 조금 쓰다."
3, <하남중초약수책>: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 지칭개는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치루, 조그마한 종기, 외상 출혈, 골절을 치료한다.
1, <질문본초>: "달인 물로 대장(大腸)치루를 씻는다."
2, <귀주초약>: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어혈을 제거하며 새살이 돋아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용법과 용량]
내복: 12~19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 찧어서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 지칭개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이호채(泥胡菜)
[기원] 이 약은 국화과에 속한 2년생 초본식물인 지칭개 Hemistepta lyrata Bunge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매우며, 약성은 차다.
[효능주치]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산결(消腫散結)하므로 치루, 옹종정창(癰腫컭瘡), 유옹(乳癰), 임파선염, 풍진소양(風疹瘙痒), 외상출혈, 골절상 등을 치료한다.
[임상응용]
1. 여러종류의 종기에 포공영(蒲公英)과 같이 달여서 복용한다.
2. 유방염에도 포공영과 같이 찧어서 환부에 붙여 염증을 제거시킨다.
3. 목주위 임파선염에도 짓찧어 소금을 넣고 환부에 붙인다.
4. 골절상에도 짓찧어 붙인다.
5. 치통, 치은염에 물로 달여서 입안을 양치한다.
[용량] 8∼15g.]
☆ 지치개에 대해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지칭개 국화과[Hemistepta lyrata Bunge]
두해살이풀. 높이 60~80cm. 꽃은 5~7월에 피며, 꽃통은 자줏빛이고 길이 13~14mm 이다. 열매는 수과, 긴 타원형, 길이 2.5mm 가량이며 관모는 2줄이다.
분포/ 전국의 밭과 들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필리핀, 인도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이호채(泥胡菜)라고 하며, 청열, 해독, 거어, 소종의 효능이 있고, 치루, 옹종창독, 외상출혈, 골절을 치료한다.
약리작용/ 에탄올 추출물은 L1210, HL60세포 등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사용법/ 전초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 지칭개의 효늠
지칭개[Hemistepa lyrata : Hemistepa carthamoides (Buch. Ham.) O. Ktze.]는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60~8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속이 비어있다. 뿌리잎은 방석 모양으로 겨울을 지내며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줄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으로 잎몸이 우상으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이 다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기부는 좁아지고 뒷면에 흰색의 털이 밀생한다. 중앙부의 잎은 잎자루가 없고 장타원형으로 우상으로 갈라진다. 위쪽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된다. 5~7월 줄기가 곧게 솟아 가지 끝마다 연한 분홍색의 꽃이 위를 향해 달린다. 두상화는 통꽃만 달리고 총포는 둥글며 8줄로 배열한다. 장타원형의 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고 암갈색으로 익는다. 떨어지기 쉬운 관모가 있다. 길가의 거친땅이나 풀밭, 못가에서 자라는 2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지칭개의 여러 가지 이름은 니호채[泥胡菜: (救荒本草)], 고마채[苦馬菜, 우삽비:牛揷鼻: 질문본초(質問本草)], 석회채[石灰菜: 강소야생식용식물(江蘇野生食用植物)], 나미채[糯米菜, 묘골두:猫骨頭: 귀주초약(貴州草藥)], 지칭개나물, 즈츰개, 지칭개 등으로 부른다.
☆ 지칭개를 채취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린다.
☆ 지칭개의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1, <질문본초>: "성질은 차다."
2, <귀주초약>: "성질은 서늘하며 맛은 조금 쓰다."
3, <하남중초약수책>: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 지칭개는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치루, 조그마한 종기, 외상 출혈, 골절을 치료한다.
1, <질문본초>: "달인 물로 대장(大腸)치루를 씻는다."
2, <귀주초약>: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어혈을 제거하며 새살이 돋아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용법과 용량]
내복: 12~19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외용: 찧어서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 지칭개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이호채(泥胡菜)
[기원] 이 약은 국화과에 속한 2년생 초본식물인 지칭개 Hemistepta lyrata Bunge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매우며, 약성은 차다.
[효능주치]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산결(消腫散結)하므로 치루, 옹종정창(癰腫컭瘡), 유옹(乳癰), 임파선염, 풍진소양(風疹瘙痒), 외상출혈, 골절상 등을 치료한다.
[임상응용]
1. 여러종류의 종기에 포공영(蒲公英)과 같이 달여서 복용한다.
2. 유방염에도 포공영과 같이 찧어서 환부에 붙여 염증을 제거시킨다.
3. 목주위 임파선염에도 짓찧어 소금을 넣고 환부에 붙인다.
4. 골절상에도 짓찧어 붙인다.
5. 치통, 치은염에 물로 달여서 입안을 양치한다.
[용량] 8∼15g.]
☆ 지치개에 대해 배기환의 <한국의 약용식물>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지칭개 국화과[Hemistepta lyrata Bunge]
두해살이풀. 높이 60~80cm. 꽃은 5~7월에 피며, 꽃통은 자줏빛이고 길이 13~14mm 이다. 열매는 수과, 긴 타원형, 길이 2.5mm 가량이며 관모는 2줄이다.
분포/ 전국의 밭과 들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필리핀, 인도에 분포한다. 약효/ 전초를 이호채(泥胡菜)라고 하며, 청열, 해독, 거어, 소종의 효능이 있고, 치루, 옹종창독, 외상출혈, 골절을 치료한다.
약리작용/ 에탄올 추출물은 L1210, HL60세포 등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사용법/ 전초 15g에 물 700ml를 넣고 달인액을 반으로 나누어 아침 저녁으로 복용한다.]
♤ 지칭개의 효늠
요즘 들에 나가보면 여기 저기에 지칭개가 많이 자라고 있습니다. 항암작용, 간질환 등에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인 지칭개의 자세한 효능과 특징
지칭개 주요 특징입니다.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로 5~6월에 자주색으로 꽃이 피며 수분을 좋아하는 식물입니다. 간에 지친 심신을 풀어준다고 해서 지칭개라고 하며, 상처난 곳에 잎과 뿌리를 짓찧어 바르던 데서 지칭개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성질은 서늘하고 차며, 맛은 쓰고 독은 없습니다. 주요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실리마린 , 사포닌, 테라마이신, 헤미스텝신B(항암물질) 등의 유효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지칭개의 한약명은 이호채(泥胡菜)라고 하며 지상부와 뿌리를 약으로 사용합니다.
지상부의 맛은 아주 쓰고 뿌리의 맛은 약간 쓴 편입니다. 뿌리에 사포닌 성분이 많이 들어 있고 겨울철에 뿌리를 채취하면 사포닌 성분이 더 풍부하게 들어 있다고 합니다.
아래는 지칭개 모습을 담은 사진입니다.
항암효과(결장암, 전립선암, 신장암, 폐암 등) 암세포 성장 억제(위암, 간암, 유방암, 갑상선암 효능)
항균· 소염작용 탁월, 세균성 감염증 치료신장염·방광염·결장염·임파선염 치료
고혈압, 동맥경화 개선, 혈액순환 개선, 혈전제거, 콜레스테롤 감소, 혈당강하 당뇨효능
신장기능, 이뇨작용 탁월, 정력강화알콜과 지방간 해독, 간기능 향상간경화 효능 탁월(실리마린 성분)
열감기 해열작용, 두통, 기침, 천식, 인후염 효능 폐장속 미세혈관 청소, 치통·잇몸염증 치료
근육· 뼈 강화, 골다공증 개선 장건강 기능 개선, 신장· 방광 결석 제거
몸속 각종 종기 제거, 유방염·유선염 제거눈충혈 방지, 결막염 효능, 축농증 개선
(나물)봄철 어린순은 소금을 간한 물에 살짝 데쳐 찬물에 2시간 이상 담궈 쓴 맛을 충분히우려내고 나물로 이용합니다.
(차)지칭개를 약용으로 사용할 때는 연중 수시로 뿌리까지 전초를 채취하여 햇빛에 말려 사용합니다. 건조한 지칭개
20g, 감초 3쪽, 대추3개에 물 1리터를 넣고 달여 꾸준히 먹으면 됩니다. 또한 여름철에 꽃차를 만들어 마시면 암예방에
(상처치료)상처난 곳에 지칭개를 짓찧어 바르면 상처부위가 소독되고 아물게 되며, 다친 곳의 피를 멈추게 한다
(지칭개 꽃술)조금 덜핀 꽃으로 하고 정력주라 부릅니다. 용기에 건조한 지칭개 50% 정도를 넣고 20도 정도의 소주와
3개월 후 걸러내고 술을 아침, 저녁으로 음용하면 정력에 좋은 술이 된다고 하니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몸이 차가운 사람이 과용하면 설사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논이나 밭에서 채취할 때 간혹 풀약이나 잡초 제거약을 뿌린 경우가 있으니 특별히 주의를 요합니다.
항암작용, 간질환 등에 좋은 지칭개의 다양한 효능과 특징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모두 모두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지칭개는 암세포성장억제 각종종기 유방염 임파선염, 항암작용(결장암, 신장암, 전립선암, 폐암, 흑세포종 등), 암세포성장억제작용, 청열, 해독, 거어, 소종, 치루, 옹종창독, 외상출혈, 화농성 유선염, 칼에 베인 상처로 인한 출혈, 정저, 각종 부스럼, 여러종류의 종기, 유방염, 목주위 임파선염, 골절상, 치통, 치은염을 다스린다고 한다.
1, 각종 부스럼의 치료
지칭개, 민들레 각 37.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하남중초약수책(河南中草藥手冊)]
2, 정저(疔疽)
지칭개, 저마근(苧麻根), 절이근(折耳根) 각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바른다. [귀주초약(貴州草藥)]
3, 화농성 유선염
지칭개, 민들레 각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바른다. [귀주초약(貴州草藥)]
4, 칼에 베인 상처로 인한 출혈의 치료
지칭개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상처에 바른다. [귀주초약(貴州草藥)]
5, 골절
지칭개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골절 부위를 싸맨다. [귀주초약(貴州草藥)]
지칭개는 시골에서 봄철에 올라오는 연한 전초를 채취하여 물에 삶아 쓴맛을 우려내어 나물로 해서 먹거나 장아찌를 담궈 먹기도 한다.
또한 민간요법으로 지칭개꽃이 만개했을 때 솜처럼 생긴 것을 채취하여 피가나는 상처에 바르면 지혈작용과 함께 상처가 잘 아물게 하는 데 사용한다. 또한 최근에 민간에서 암환우들이 각종암에 전초를 물로 달여먹고 놀라운 효험을 보고 있는 항암식물이기도 하다.
지칭개의 항암작용에 대해서 <한국특허정보원> 자료에 의하면 아래와 같다.
[지칭개 (Hemistepta lyrata B.)로부터 신규 항암물질인 헤미스텝신 B (Hemistepsin B)가 분리되었다. 항암물질 헤미스텝신 B는 암세포 접착 저해 활성, 인체 암세포주인 UACC62 흑세포종 (melanoma), HCT15 결장암 (colon adenocarcinoma), UO-31 신장암 (renal carcinoma), PC-3 전립선암 (prostate adenocarcinoma) 및 A-549 폐암 (lung carcinoma)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 앤지오제네시스 저해 활성, 일산화질소의 방출 저해 활성이 있다.]
♤ 지칭개 활용방법
지칭개는 보통 나물로 많이 먹는데, 지칭개로 나물을 만드는 방법은 지칭개의 뿌리를 제거한 후 마른 잎을 골라낸 다음에 쓴맛이 빠질 수 있도록 찬물에 6시간 정도 담가 두었다가 다른 봄나물을 무칠 때와 같은 방법으로 나물을 만들어 먹으면 된다.
지칭개의 뿌리를 이용할 경우에는 흙을 털어내신 후에 물로 세척한 뒤 생으로 먹거나 김치나 장아찌로 만들어서 먹기도 하고, 삶아서 무쳐 먹어도 아주 맛있다고 하니 정말 좋은 건강식품인 것 같다. 또한 지칭 개는 차로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지칭개의 꽃을 차로 복용하데 이 방법은 차를 좋아하시는 사람들이 사용하시면 좋다.
♤ 지칭개 부작용
지칭개는 별다른 부작용을 없습니다. 하지만 체질에 따라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 지칭개를 복용한 뒤에 부작용이 나타났다는 보고는 아직 없지만 지칭개를 복용할 때 한 번에 너무 많이 먹지 말고 적당량을 꼭 먹어아 하며 처음 먹을때는 조금 먹어 본 뒤에 몸의 상태를 보고 먹는 것이 좋다.
~ 다음이나 네이버 블러그와 카페에서 검색한 자료입니다.
지칭개의 효능
1. 간 기능 보호
다량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알코올, 지방간을 해독하여 간 기능을 향상시킵니다.
실리마린 성분이 간경화에 탁월합니다.
2. 소염, 소독 작용
상처 난 곳에 짓찧어 으깨어 발라 지칭개라고 이름이 생겼다고도 합니다.
소독, 소염 작용으로 외상으로 인한 출혈이나 골절상에 지칭개의 잎과 뿌리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3. 청혈, 이뇨작용
피를 맑게 하며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하는 이뇨 작용이 좋아 고혈압, 동맥경화를 개선합니다.
4. 결석 제거
실리마린 성분이 담석, 요석을 분쇄하며 배출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5. 항암효과
항산화 물질이 유해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암세포 성장을 억제합니다.
지칭개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각종 부스럼의 치료
지칭개, 민들레 각 37.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하남중초약수책(河南中草藥手冊)]
2, 정저(疔疽)
지칭개, 저마근(苧麻根), 절이근(折耳根) 각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바른다.[귀주초약(貴州草藥)]
3, 화농성 유선염
지칭개, 민들레 각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바른다.[귀주초약(貴州草藥)]
4, 칼에 베인 상처로 인한 출혈의 치료
지칭개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상처에 바른다.[귀주초약(貴州草藥)]
5, 골절
지칭개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골절 부위를 싸맨다.[귀주초약(貴州草藥)]
![](https://blog.kakaocdn.net/dn/ezECPf/btrvbgL28bW/d2avCBXmhYcXRijbCZXQCk/img.jpg)
지칭개 부작용
지칭개는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이 찬 분들보다는 몸이 따뜻한 분들에게 잘 맞는 약초입니다.
또한 특별한 부작용은 없지만 체질에 따라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니 조금씩 양을 늘려 섭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LT5E/btru5sm87cS/0WbwUQ53aDJzmVWNryHZD1/img.jpg)
지칭개의 효능
1. 간 기능 보호
다량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알코올, 지방간을 해독하여 간 기능을 향상시킵니다.
실리마린 성분이 간경화에 탁월합니다.
2. 소염, 소독 작용
상처 난 곳에 짓찧어 으깨어 발라 지칭개라고 이름이 생겼다고도 합니다.
소독, 소염 작용으로 외상으로 인한 출혈이나 골절상에 지칭개의 잎과 뿌리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3. 청혈, 이뇨작용
피를 맑게 하며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하는 이뇨 작용이 좋아 고혈압, 동맥경화를 개선합니다.
4. 결석 제거
실리마린 성분이 담석, 요석을 분쇄하며 배출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5. 항암효과
항산화 물질이 유해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암세포 성장을 억제합니다.
지칭개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각종 부스럼의 치료
지칭개, 민들레 각 37.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하남중초약수책(河南中草藥手冊)]
2, 정저(疔疽)
지칭개, 저마근(苧麻根), 절이근(折耳根) 각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바른다.
[귀주초약(貴州草藥)]
3, 화농성 유선염
지칭개, 민들레 각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바른다.
[귀주초약(貴州草藥)]
4, 칼에 베인 상처로 인한 출혈의 치료
지칭개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상처에 바른다.
[귀주초약(貴州草藥)]
5, 골절
지칭개 적당량을 보드랍게 찧어서 골절 부위를 싸맨다.
[귀주초약(貴州草藥)]
![](https://blog.kakaocdn.net/dn/ezECPf/btrvbgL28bW/d2avCBXmhYcXRijbCZXQCk/img.jpg)
지칭개 부작용
지칭개는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이 찬 분들보다는 몸이 따뜻한 분들에게 잘 맞는 약초입니다.
또한 특별한 부작용은 없지만 체질에 따라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니 조금씩 양을 늘려 섭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LT5E/btru5sm87cS/0WbwUQ53aDJzmVWNryHZD1/img.jpg)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꿩의비름 / 경천초(景天草) 효능 (0) | 2022.03.07 |
---|---|
풋마늘의효능 (0) | 2022.03.07 |
매화나무의 효능 (0) | 2022.03.03 |
두충나무와 차의 효능 (0) | 2022.03.02 |
꿀풀.하고초의 효능 (0) |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