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산야초

두충나무와 차의 효능

Jinsunmi5066 2022. 3. 2. 07:37

두충나무

두충은 두충과의 갈잎큰키나무이다. 높이는 20미터까지 자라고 잎은 길이가 5~16cm이고 어긋나며 타원형으로 끝이 뽀족하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을 찢으면 많은 가는 실을 볼 수 있다. 어린잎은 앞면에 보드라운 털이 성글게 나 있고 잎의 뒷면에 털이 조금 빽빽하게 있으나 오래된 잎은 앞면이 반들반들하고 뒷면은 잎맥 부위에 털이 성글게 나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흑회색이며 작은가지는 반들반들하고 황갈색이거나 조금 연한 황갈색이며 조각 모양이 고겡이가 있다. 오래되지 않은 나무의 껍질은 매끈하면서 회색 무늬가 얼룩지기도 하나 오래묵으면 흑갈색으로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껍질, 가지, 잎에 모두 콜로이드가 들어 있다. 두충나무는 숫나무는 꽃이 피고 암나무는 씨가 달리는데 암, 수나무가 함께 있어야 결실을 맺는다고 한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화피는 없으며, 수꽃은 꽃자루에 수술 4~10개가 있고, 암꽃은 햇가지 밑에서 짧은 꽃자루에 달리고 암술머리는 2갈래이고, 열매는 납작한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고, 자르면 고무 같은 점액질의 실이 나온다. 열매는 시과로서 난형의 긴 타원형이고 평평하며 끝이 오목하고 그 안에 씨 한 개가 들어 있다. 개화기는 4~5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두충은 중국이 원산지로서 중국 산지(양자강 중류 및 남부 각 성 분포)의 숲 속 또는 물이 흐르는 큰 계곡에 야생으로 자라고 있다. 중국에서도 야생이 수요에 못미쳐 재배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대부분 야산이나 빈터 및 묵밭에 전국적으로 재배를 하고 있다. 중국약학대사전에 의하면 두충나무의 종류가 20여종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두충나무의 쓰이는곳
고혈압, 저혈압, 중풍, 생리불순, 위궤양, 원발성좌골신경통, 골다공증, 간경화, 간장염, 기관지천식, 신장염, 전신마비, 척수디스크, 신경성골수염, 결핵성골수염, 담석증, 신석증, 간질, 변비, 독극물중독, 두통, 성장촉진, 요통, 당뇨병, 간장질환, 신장병, 신경통, 위장병, 디스크, 관절염, 간신허약, 보신강장, 노화방지, 견근골, 피부청결(기미, 주근깨, 검버섯), 부부생활이 과도해서 허리가 아픈데, 중병을 앓고 난뒤 몸이 허약해서 식은땀만 줄줄 흘리는데, 늑막염, 안태, 항노화, 진정 진통 항균 작용, 면역력 조절, 항알레르기, 비만증, 자궁수축작용, 혈청콜레스테롤치 강하, 관상동맥 혈류량증가, 항암(간암, 위암, 골육류, 간신부족의 암), 하지근육경련에 효험

두충나무의 유래
두충나무 이름의 유래는 옛날에 성이 두(杜)씨이고 이름이 중(仲)이라는 사람이 이 나무의 껍질과 잎을 차로 달여 먹고 도(道)를 통했다고 해서 그 사람의 성과 이름을 따서 나무의 이름을 두중(杜仲)이라고 붙였다고 전해진다.
두충의 어린잎을 면아[檰芽: 본초도경(本草圖經)]라고 해서 함께 약용한다.


두충의 다른 이름
두중[杜仲: 사선:思仙: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목면[木綿, 사중:思仲: 명의별록(名醫別錄)], 면[檰: 본초도경(本草圖經)], 석사선[石思仙: 본초연의보유(本草衍義補遺)], 사연피[絲連皮, 사란수피:絲欄樹皮: 중약지(中藥誌)], 차사피[扯絲皮: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사면피[絲棉皮: 소의, 중초약수책(蘇醫, 中草藥手冊)], 면화[棉花, 면:檰, 옥사피:玉絲皮, 난은사:亂銀絲, 귀선목:鬼仙木: 화한약고(和漢藥考)], 두충나무, 두충, 들중나무, 면수피 등으로 부른다.

[채취]
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국부의 껍질을 벗기는 방법을 쓴다. 4월 상순부터 6월 중순 사이에 수령이 15~20년 되는 나무를 골라서 약재의 규격에 따라 껍질을 벗기어 거친 껍질을 깍아내고 햇볕에 말린다. 통풍이 잘 되는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중약대사전]

[약재]
말린 나무 껍질은 평평한 판자 모양이거나 둘둘 만 판자 모양으로 크기와 두께가 일정하지 않는데 대략 두께가 3~10mm, 길이가 40~100cm이다. 겉표면은 회갈색이고 거칠며, 세로로 틈이간 불규칙한 홈 및 사방형(사방형)의 옆으로 갈라진 껍질눈이 있고 이따금 연한 회색의 이끼 같은 얼룩 무늬가 보인다. 그러나 상품은 대부분 거친 껍질 부분이 깍여져 있으므로 겉표면이 연한 갈색이고 비교적 매끈매끈하다. 속표면은 반들반들하고 어두운 자줏빛이다. 질이 바삭바삭하여 쉽게 끊어지고 잘라 낸 면에 하얀 실 같은 것이 서로 얽혀 있는데 매우 촘촘하게 있고 약간 신축성이 있다. 냄새는 약하고 맛이 조금 쓴데 씹으면 끈끈한 물질 같은 것이 남는다. 껍질이 두껍고 크며, 거친 껍질이 깨끗이 깍여 없고 겉면이 황갈색이며, 속표면은 흑갈색인데 광택이 있고 끊을 때 흰 실이 많은 것이 좋다. 껍질이 얇고 잘라 낸 면의 실이 적거나 혹은 두껍고 거친 껍질이 있는 것은 질이 조금 못하다.
중국의 주산지는 사천(四川), 섬서(陝西), 호북(湖北), 하남(河南), 귀주(貴州), 운남(雲南) 등지이다. 이외에 강서(江西), 감숙(甘肅), 호남(湖南), 광서(廣西) 등지에서도 난다. [중약대사전]


[성분]
<나무껍질>
나무껍질에는 gutta percha 6~10%가 들어 있고 뿌리껍질에는 10~12%가 들어 있다. gutta percha는 ethylalcohol에 쉽게 녹고 물에는 녹기 어려운 경성(硬性)의 식물 gum이다. 이밖에, 또 glycoside 0.142mg%, alkaloid 0.066mg%, pectin 6.5mg%, fat 2.9mg%, resin 1.76mg%, 유기산 0.25mg%, ketose(가수분해 전 2.15mg%, 가수분해 후 3.5mg%), 비타민 C 20.7mg%, aldose, chlorogenic acid가 들어 있다. 종자에 들어 있는 지방유를 구성하는 fatty acid는 linolenic acid 67.385, linoleic acid 9.97%, oleic acid 15.81%, stearic acid 2.15%, palmitic acid 4.68%로 조성되어 있다. 열매 속의 guttapercha 함량은 27%에 달하고 에틸 알콜와 acetone 등의 유기 용제(溶劑)에 쉽게 녹는다. [중약대사전]
<갓 돋아난 어린잎>
잎에는 gutta percha 약 3%, 알칼로이드 0.028%, glycoside 0.072%, pectin 7.3%, 지방 2.2%, resin 1,48%, 유기산 1,49%, ketose 3.6%(가수 분해 전), 5.2%(가수 분해 후), aldose 0.95, 비타민 C 48mg% 및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탄닌이 들어 있다.
glycoside 중에는 aucubin이 들어 있고, resin 중에는 phytosterol이 들어 있으며, 유기산 중에는 mal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등이 들어 있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1, 혈압 강하 작용: 수피의 추출물 및 달임제제는 동물에 대항 지속적인 혈압 강하 작용이 있다. 그 엑스(extract) 5ml(생약 1~2g)를 마취한 개에게 정맥 주사하면 현저한 혈압 강하 작용이 나타나며 2~3시간 지속되는데 '신속한 내약성'현상이 나타난다. 3마리의 신성(腎性) 고혈압 개에게 달임제제를 매일 5~8g/kg씩 4주일 동안 위에 주입하면 수축압이 최대로 8~22mmHg(4~10%)까지 낮아졌다. 이 때문에 치료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 두중의 포제(炮製)와 제형(劑型)은 혈압 강하 작용에 대하여 상당한 영향이 있는 바 달임제제는 팅크제보다 강하고 볶은 두중은 신선한 두중보다 강하다. 두중은 고양이에게도 혈압 강하 작용이 있은 지속시간이 짧고 '신속한 내약성'현상은 명확하지 않다. cholesterol 동맥경화 rabbit에 대한 혈압 강하 작용은 정상적인 rabbit에 대한 작용보다 현저하나 '신속한 내약성'이 나타난다. 아직 유효 성분이 분명하지 않으므로 혈압 강하 작용의 원리도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급성 혈압 강하는 미주신경과 그다지 관련이 없고 아트로핀(atropine)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는 것이 이미 증명되었다. rabit의 적출 심장에 대하여 소량의 두중은 먼저 흥분시키고 후에 억제시킨다. 심장에 대한 억제 작용은 pH와 관계가 있으며(pH 4~5), pH를 조정하면 rat와 rabbit의 적출 심장에 대하여 모두 흥분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두중은 정상적인 rabbit의 귀혈관을 직접 확장시키지만 같은 농도에서 실험성 콜레스테롤 동맥경화 rabbit의 귀혈관에 대하여 오히려 신장 혈관에 대하여 낮은 농도에서는 확장 작용이 나타나고 높은 농도에서는 반대로 된다. 동맥경화 rabbit의 심장 혈관에 대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수축 작용을 나타낸다. 혈압 강하 작용이 심장 및 혈관과 직접적 관련성이 크지 않는 것을 보아 혈압 강하 작용은 중추성이라고 보여진다.

2, 이뇨 작용: 두중의 여러 가지 제제는 마취한 개에 대하여 이뇨 작용이 있고, 신속한 내약성도 나타나지 않는다. 정상적인 rat와 mouse에 대해서도 이뇨 작용이 있다. 두중에는 칼륨이 0.4% 들어 있으므로 이뇨 작용이 칼륨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3, 기타 작용: 임상에서 쓰고 있는 두중 침제(浸劑)는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낮추고 현운(眩暈), 불면 등의 증상을 개선시킨다. 대량(20~25g/kg/일)의 두중 달임제제를 개의 위에 주입하면 안정되고 잠만 자고 싶어하며 외부의 자극을 잘 받지 않는다. mouse에게 대량으로 투약하면 중추신경계통이 억제 된다. 두중은 rat와 rabbit의 적출 자궁에 대하여 피튜이트린(pituitrin)이 일으키는 흥분 작용을 억제시키며 자궁을 이완시킨다. 그러나 고양이의 적출 자궁에 대해서는 오히려 흥분 작용을 나타낸다. 두중의 달임제제는 in vitro에서 결핵균에 대하여 일정한 억제 작용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두중의 알코올 추출물은 rat의 장도(腸道) 속의 콜레스테롤 흡수를 감소시킨다.

[독성]
두충은 독성이 아주 낮다. 달인 제제 15~25g/kg을 토끼의 위에 주입하면 가벼운 억제 작용이 있을 뿐 중독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쥐에게 15~25g/kg을 연속 5일간 먹여도 죽지 않았다. guinea-pig는 10~15g/kg을 복강 주사한 후 3~5일내에 반수가 죽었다. 아급성 시험에서 두중 달인 제제는 rat, guinea-pig, rabbit 및 개의 신장 조직에 대하여 경한 수종 변성을 일으키고 심장, 간장, 비장조직에 대해서는 병변을 일으키지 않았다.

[포제(炮製)]
두중: 거친 껍질을 깍아내고 깨끗이 씻어 물기가 스며들어 눅룩하였을 때 네모나게 자르거나 실처럼 길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먼저 소금 적당량을 끓인 물에 넣어 녹인다. 그런다음 소금을 녹인 물에 네모나게 썰은 두충이나 실처럼 길게 썰은 두충을 넣고 소금물과 함께 충분히 휘저어 스며들게 한 다음 솥에 넣고 약한 불에 약간 얼룩얼룩하게 눌을 정도로 볶아 꺼내어 그늘진 곳에서 말린다(두충 50kg에 식염 1.5kg을 쓴다). 두충은 볶으면 Gutta-pereha가 파괴되므로 유효 성분이 잘 나오게 된다.
1, <뇌공포자론(雷公炮炙論)>: "두충을 쓸 때에는 반드시 거친 껍질을 없애고 수(酥: 크림), 꿀을 발라 구워 쓴다. 500그램을 포제할 경우 수(酥: 크림) 1킬로그램, 꿀 1.5킬로그램을 섞어서 쓴다."
※ 참조: <수(酥)>: "<한국고전용어사전>에서는 '소나 양의 젖으로 만든 것'이라고 하며, 젖에서 얻은 연유나 치즈, 버터, 크림(cream: 우유에서 분리된 연한 황색을 띤 유지방) 등을 의미한다."
2, <본초술구원(本草述鉤元)>: "두충은 술로 볶고 실처럼 길게 썰어 쓴다."

[성미]
맛은 달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1, <신농본초경>: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3, <약성론>: "맛이 쓰다."

[귀경(歸經)]
간(肝),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1, <왕호고(王好古)>: "간경(肝經)의 기분(氣分)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雷公炮製藥性解)>: "수태음(手太陰),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약효와 주치]
<나무껍질>
간신(肝腎)을 보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태아를 안정시킨다. 허리와 등이 시큰시큰 쑤리고 아픈 병증, 발과 무릎이 약한 것, 소변여력(小便餘瀝), 음하습양(陰下濕癢), 태루욕타(胎漏欲墮), 고혈압을 치료한다.
1, <신농본초경>: "허리와 등의 통증을 다스리고 보중익정기(補中益精氣)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강지(强志)하게 한다. 음하습양(陰下濕癢), 소변여력(小便餘瀝)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발바닥이 시큰시큰 쑤리고 아파 땅을 디디지 못하는 것을 다스린다."
3, <약성론>: "신냉(腎冷)으로 인한 요통을 다스리고 요병(腰病)으로 허약하고 몸이 강직되는 것은 풍(風) 때문이다. 허리가 좋지 않은 경우에 쓴다."
4, <일화자제가본초>: "신노(腎勞), 요척련(腰脊攣)을 치료한다. 불에 구워 약용으로 쓴다."
5, <왕호고>: "윤간조(潤肝燥), 보간경풍허(補肝經風虛) 한다."
6, <본초정>: "소수몽유(小水夢遺)를 멎게 하고 자궁을 따뜻하게 하며 태기(胎氣)를 안정시킨다."
7, <옥추약해>: "익간신(益肝腎, 양근골(養筋骨)하고 관절의 습음(濕淫)을 제거한다. 허리와 무릎이 시큰시큰 쑤리고 아픈 병증, 다니라 발에 경련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8, <본초재신>: "근력을 좋게 하고 양도(陽道)를 강하게 한다."
<갓 돋아난 어린잎>
<본초도경>: "이것을 먹으면 풍독각기(風毒脚氣)와 구적풍냉(久積風冷), 장치하혈(腸痔下血)을 치료한다. 말려 가루내어 탕제로 만들어 복용하여도 좋다."

[용법과 용량]
내복: 11~19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술에 담궈 먹거나 환을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배합과 금기(주의사항)]
음(陰)이 허하고 화(火)가 왕성한 자는 신중하게 써야 한다.
1, <신농본초경집주(神農本草經集注)>: "사피(蛇皮), 원삼(元參)과 상오(相惡)한다."
2, <본초경소(本草經疏)>: "신(腎)이 허하고 화(火)가 왕성한 자는 쓰지 말아야 한다. 쓸 때에는 황백(黃柏), 지모(知母)와 같이 쓴다."
3, <득배본초(得配本草)>: "내열(內熱), 정혈조(精血燥)한 자는 쓰지 말아야 한다."
두충.jpg
두충나무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두충(杜沖)
두충과의 갈일큰키나무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의 나무껍질이다. 두중(杜仲)이라고도 한다.
성미: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强筋骨), 안태(安胎)
해설: ① 간장과 신장의 기능 부족으로 나타나는 요통과 무릎이 시리고 연약해지는 증상 등에 근육의 탄력을 강화시키면서 골질(骨質)형성을 촉진시킨다. ② 간신의 기능을 강화시켜 몸이 차서 나타나는 양위(陽萎), 하복부냉감,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 등에 사용하고 방광의 수축력을 높인다. ③ 간신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임신 중의 태동불안, 자궁 출혈 또는 유산을 방지하는 데 유효하다.
성분: gutta-percha 6~10%, 탄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소량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약물 달인 물은 혈관 평활근에 직접적인 확장 작용을 일으켜 혈압을 내리며, ② 항노화 작용이 있고, ③ 혈청콜레스테롤치를 강하시키는데, 두충의 잎은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킨다. ④ 동물의 부신피질 호르몬을 증강시키며 항염증 작용을 보이고, ⑤ 진정, 진통 작용, ⑥ 신체 면역 기능을 조절하여 세포 면역의 억제와 증강 작용을 보인다. ⑦ 출혈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뇨 작용도 나타낸다. ⑧ 항알레르기 작용, ⑨ 자궁 수축 작용이 있고, ⑩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이질균, 대장균, 녹농균, 폐렴균, 디프테리아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임상보고: ① 혈압 강하 작용이 있어서 고혈압에 유효하다. ② 원발성좌골신경통에 치유 반응을 보였고, ③풍습성 관절염, ④ 골다공증에 효력을 나타냈으며, ⑤ 성장촉진에 탁월한 반응을 보였다.
기타: 잎에도 두충과 유사한 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요통, 디스크, 관절염, 하지근육경련 등에 유효하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두충나무에 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두충나무과(Eucommiaceae)
이과의 식물은 잎지는 큰키나무이고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암수딴그루이며 꽃갓은 없고 수꽃에 10개의 수꽃술이 있다. 열매에는 한 개의 씨가 있다. 씨에 눈젖이 많다. 잎이나 나무껍질에 구타페르카가 많아 꺽으면 실처럼 늘어난다.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er)
두충나무 껍질은 고혈압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병에 치료 효과가 좋은 약재일 뿐만 아니라 나무는 벌레도 먹지 않아 질이 좋으므로 가구재로 중요하게 쓰인다.
다른이름: 들중나무, 두중, 사중, 사선목, 목면, 면수피, 사면피
식물: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식물 전체에 고무질이 있어 껍질과 잎을 끊으면 명주실 같은 줄이 생긴다. 잎은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암꽃과 수꽃이 봄철에 따로 핀다.
약으로 쓰기 위하여 심고 있다. 의약품 원료로는 겨울에 온실에서 꺾꽂이하여 모를 키운 후 봄에 밭에 옮겨 심어 가을까지 자라면 잎과 가지를 전부 베어 쓰는 것이 생산성이 높다. 그러나 중부와 남부에서는 밖에서 겨울을 난다.

두충나무가 나지 않는 나라에서는 화살나무과에 속하는 화살나무(Euonymus alatus Siebold: 민간에서 햇잎, 횟잎이라 하여 어린잎을 물에 데쳐 나물로 먹는다)를 동약 두충으로 쓴다. 화살나무의 뿌리 껍질에도 고무질이 들어 있으므로 꺽으면 흰 실이 많이 생긴다. 이 식물의 뿌리와 잎, 줄기 특히 열매에서는 디기톡시게닌을 게닌으로 하는 강심 배당체를 분리하였다.
화살나무의 뿌리껍질을 두충나무 대용으로 쓸 수 있는지는 앞으로 검토되어야 한다고 본다.
나무껍질(두충): 봄부터 여름 사이에 코르크층을 깍아버리고 나무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성분: 잎에는 클로로겐산 C16 H18 O9(2~3%, 녹는점 205℃), 카페산, 아루쿠빈(리난틴 또는 아우쿠보시드) C15 H22 09(녹는점 182~183℃[α]D15-162°, 알코올과 물에 풀리고 에테르, 아세톤, 벤젠이 풀리지 않는다), 고무질이 있다. 배당체로는 로가닌 C17 H26 O10(녹는점 222~223℃, 물, 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에 풀린다)이 있다.

또한 헤르파기드아세타트 C26 H32 O12, 에우콤미올 C9 H16 O4, 아유고시드, 레프토시드,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유기산, 수지, 비타민 C등이 있다.
나무껍질, 가지, 잎, 뿌리에는 고무질이 있다. 이 고무질은 탄력고무(카우추크)가 아니고 구타페르카(C5 H8)n 인데 분자량은 1.4~1.8x105이다. 고무질의 함량은 두꺼운 껍질에 15~20%, 얇은 껍질에 11%, 묵은 가지에 18%, 어린가지(4월 초에 채취)에 5%이다. 이밖에 껍질에는 유기산, 클로로겐산과 비타민 C, 적은 양의 알칼로이드, 7%의 수지가 있다. 또한 2%의 쓴맛물질이 있다. 고무질은 어린잎(4월 초에 채취)에 4~6%, 신선한 잎에 2%, 열매에 12% 있다.
작용: 나무껍질과 잎의 달임약, 알코올 추출액을 집토끼에게 먹이면 뚜렷한 혈압내림작용이 있다. 아트로핀을 주사한 다음에는 약을 먹여도 혈압에는 변화가 없다. 중추신경 계통에 대해서는 적은 양에서 흥분시키고 많은 양에서 억제한다. 이 약은 연수의 핏줄운동 중추신경과 미주신경을 억제시켜 혈압을 내리게 한다.

집토끼의 떼낸 장의 긴장도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높이지만 농도를 높이면 장관이 차츰 이완되며 진폭이 작아지고 운동하지 않는다. 여기에 염화비닐바륨을 넣으면 운동이 시작된다.
이 약의 장관에 대한 작용도 아트로핀과 엇선다. 떼낸 자궁은 운동을 강화시키고 진폭을 늘리며 다음 일과성인 강직성 정지를 일으킨다. 이러한 작용도 아트로핀의 전처리에 의하여 엇서게 된다. 또한 심장 수축을 세게 한다.
토끼와 개에게서 법제한 것, 추출용매에 따르는 혈압 내림 효과를 비교 검토하면 초한 것은 초하지 않은 것보다, 물로 달인 것은 알코올로 우린 것보다 혈압내림작용이 세다.
응용: 동의치료에서는 껍질을 강장, 강정, 진정, 아픔멎이약으로 신허, 허리아픔, 유정 등에 쇠무릎뿌리, 겨우살이와 같이 쓰며, 임신부의 허리아픔과 태동불안에 속단뿌리, 대추와 같이 쓴다.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정기를 보한다고 한다.
고혈압(1~3기)에도 쓴다. 꿀풀, 속서근풀뿌리와 같이 쓰면 좋다.
민간에서도 두충나무껍질을 약한 불로 가루내어 산후 혈압이 높을 때 한번에 5그램씩 하루 2~3번 더운물에 타서 먹는다.
두충나무껍질 달임약(10~20:200):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고혈압(1~3기), 동맥경화증, 신경아픔, 근염, 허리아픔에 쓴다.
두충팅크: 두충나무껍질 45g(70% 알코올 냉침), 두충나무잎 133그램, 알코올 적당량, 전량 1,000그램, 고혈압에 한번에 3~6ml씩 하루 3번 먹는다.
구타페르카를 갈라내어 전기절연재, 이 썩은 데 봉입제로 쓰기도 하지만 합성수지가 생산되면서 적게 쓴다. 껍질을 클로로포름으로 우려내어 정제하면 구타페으카가 얻어진다. 클로로포름에 풀리는 부분은 껍질에 약 6% 들어 있다.
참고: 두충나무잎도 혈압내림작용이 있으므로 쓰는 양만 정확히 정한다면 껍질에 못지 않은 약재가 될 수 있다.
두충나무껍질과 익모초 각각 24kg, 속서근풀뿌리와 꿀풀 각각 14,4kg, 구등 4.5g을 물로 우려서 졸인 것에 녹말을 넣고 싸락(15kg)으로 하여 알약(0.3g) 5만 개를 만든다. 한번에 5알씩 하루 3번 고혈압 치료약으로 먹는다.]

두충나무와 차의 효능

 

 

두충차의 효능
남자들에게 정력을 키우는데 아주 탁월한 효능이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차 중에 하나이다.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을 보(補)하여 주며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만들어 주며 허리가 시큰시큰 한 것을 없애주고 발과 무릎을 강하게 만들며 하초(下焦)에 생기는 습(濕)을 제거하기도하고 혈압을 내리는 효능이 있으며 여자들의 자궁 출혈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요통 · 관절통 · 신경통 · 고혈압 · 부인병 등에 효과가 있으며, 강정강장의 차로 병후회복 · 혈액 순환 · 노화방지 · 신장 기능을 돕는다.

장복하면 간과 담낭을 보하며 몸이 가벼워진다

두충차를 만드는 방법
기본적인 재료가공 : 두충나무 껍질을 쓰는 것인데 4월에서 6월 중순 사이에 껍질을 벗기어서

햇빛에 말려 쓰게 되는데 두충에는 실같은 섬유질이 있어 이것을 제거하고 써야 되므로

얇게 썰어서 술로 촉촉이 적시어 후라이팬에 넣고서 실같은 것이 없어질 때까지 볶아서 쓴다.

맛은 약간 달면서 매운 맛이 있고 기운은 덥다.

1)두충의 잎이나 껍질을 살짝 볶아서 10~15g을 물 500cc에 넣고 하루에 세 번으로 나눠 마신다.

곱게 가루내어 뜨거운 물 1잔에 1~2스푼씩 타서 마신다.

기호에 따라서는 설탕이나 꿀물을 타서 복용하셔도 됩니다.

2)물 2ℓ에 두충 40g과 계피 7g을 넣고서 15분 정도 끓이게 되면 차가 되는데 계피를 넣는 것은

차맛을 더 좋게하기 위하여 넣은 것이다.

두충차를 하루에 얼마정도 먹어야 하나?
일반적으로 1일 3회 정도 마십니다. 그러나 반드시 3회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상태에 따라서 그 이상도 그이하도 될수 있습니다.

 

두충차의 효능

<본초강목> 소변 불량, 불임증 , 비만한 사람, 잘 붓는 사람
항상 몸이 무겁고 허리, 다리가 자주 아프거나 저릴 경우 적용

<신농본초경소> 요척통 치료, 精氣증강 ,발바닥 시큰 쑤시는 것 치료, 腎 보호- 소변잔뇨, 음낭하습

<중약대사전> 간,신을 보하여 근육 골 강화, 安産을 유도하고, 혈압 강하 역할

<한글동의보감> 성질- 平, 溫 ,味- 辛 .甘, 無毒 腎勞로 등뼈 아프고 다리가 시글,

힘줄과 뼈 강건화, 음낭하습, 빈뇨 치료. 腎冷과 급성요통 호전, 소변 불량, 불임증

<일본 사례>

* 고혈압 예방과 진통제로 이용

일본 제약사 자료에 의하면 피노레지놀, 다이글루코사이드성분이 혈관을 확장시키는 성질이 있어 혈압을 낮추는역할을하는데 , 두충에 이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짐 <출처-고바야시 제약>

* 두충은 아디포넥틴이라는 호르몬 양을 증가시켜 내장지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최근 알려짐.<출처-고바야시제약>

* 두충은이뇨 작용을 도와체내정화작용. <출처-고바야시제약>

* 혈중에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트롤의 상승을억제하는데효과.

<출처-두충옆엑기스의 비만작용검토 4년회 일본약학회>

 

두충차를 끓이는법

* 건조한 두충잎 3g정도를 티백용이나 천에 쌓서 물 1500cc에 넣는다.

* 끓은다음 불여 줄여 30분정도 유지한다.

* 끓인 두충차를 식혀서 다른 용기(패트병)에 옮겨 담아 냉장 보관한다.

* 시원하게 드셔도 좋고, 따뜻하게 하여 마셔도 구수합니다.

 

두충차를 먹는 방법

* 위와 같이 끓인 경우는 묽으므로 물 대신 수시로 먹어도 좋습니다.

* 많이 끓여 진한 경우는 3번/일을 적당 간격으로 드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력에좋은 음식 두충차의 효능~!

두충차가 정력에 참 좋다면서 추천해주는것이 였습니다.

처음들어보는 두충차였지만, 친구녀석을 믿고 지금 1달째 꾸준히 먹고 있는데, 정말 좋아짐을 느끼니 신기할 따름입니다.

두충차는 단순히 정력을 높이는게 아니였습니다. 생식기의 기능을 활성화(잔뇨없이 소변을 보는등)하여 자연스럽게 정력에 도움이 되는거라는 것이였습니다.

한방에서는 두충을 강장제로 주로 쓰는데, 신장이 약해서 정기의 쇠퇴로 인한 요통, 무릎이 차고 시린 증상, 몽정, 조루, 소변불리에 놀라울 정도로 뛰어난 효험이 있다. 특히 정력을 보강하여 남녀의 음하습과 가려움증, 소변이 잦고 힘이 없고 나른한데 아주 효과적이다.

 

1. 두충나무의 효능
두충나무는 신경통, 류커티즘, 골다공증, 퇴행성 관절염, 고혈압통, 요통등에 효능이
있다.

2. 두충나무의 식용
두충나무의 어린 잎은 녹차와 같이 달여먹거나 뜯어서 나물로 먹기도 한다.

3. 두충나무의 약용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해주며 근력이 강화되며, 고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강화하는 효능이 있다. 폐결핵으로 기침이 계속나고 열이

날때, 잠자는 중에 식은땀이 나는 증세, 기관지염, 저항력이 약한 어린이 등에도

두충잎이나 껍질을 달여서 복용하면 좋다.

그러나 약효가 약해서 빨리 나타나지 않으므로 오랫동안 먹어야 효과가 있다.

두충주 담그는 법

15년 이상된 나무껍데기를 썰어 말린다.

말린 두충껍질 150g 혹은 생껍질 200g을 소주 1.8리터에 넣고 밀봉한다.

3~6개 우러난 후 찌꺼기를 걸러버리고 냉암소에 보관한다.

하루 1~2회 공복 시 소주잔으로 한잔씩 마신다.

장복하여도 좋으나 치유되는대로 복용을 중단한다.

각기, 강장보호, 관절염, 보신, 신경통, 이뇨에 쓴다.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질환 등에 좋은 지칭개(이호채)의 효능  (0) 2022.03.05
매화나무의 효능  (0) 2022.03.03
꿀풀.하고초의 효능  (0) 2022.03.02
알로에베라의 효능  (0) 2022.02.28
벌나무.산청목의효능  (0) 2022.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