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산야초

사데풀의 효능

Jinsunmi5066 2021. 9. 13. 07:23

사데풀(sonchus brachyotus Dc)

전초는 봄철에, 꽃피기 전에 뿌리째로 파서 깨끗이 씻고 햇볕에 말립니다. 15~30g 정도 달여서 복용하는데 해독 작용을 하고 후두염에 효능이 있습니다.꽃은 여름과 가을에,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립니다. 6~12g 정도 달여서 복용하는데 급성황달형 전염성간염에 약효가 있습니다. <하북중약수책>에는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고 적혀 있다.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허한 것을 보양하고 기침을 멎게 한다.세균성 이질, 후두염, 신체 허약으로 인해 해수, 백대하를 치료한다.“라고 하였습니다. 거마채화(苣蕒菜花)로 불리는 사데꽃은 특히 항종양작용을 합니다. 사데풀의 항암작용에 대해 상민의의 <항암본초>에 보면자궁경부암, 직장암, 항문암에 활용하는 방법이 나와 있고 '일본 민간에서는 사데풀과 유사한 식물,부류의 잎을 자식(煮食), 즉 삶아 먹거나 또는 생즙(生汁)을 내어 먹어서 각종의 암증(癌症)을 치료한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국화과 식물인 사데풀은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해변 및 원야지에 자생합니다. 다른이름으로 거매채(苣蕒菜,), 야고채(野苦(菜), 고매채(苦蕒菜), 고갈등(苦葛藤), 고마자 (苦麻子), 곡심채 (曲心菜), 마계(馬薊), 호계(虎薊),자계(刺薊), 곡마채(曲麻菜), 소계 (小薊), 거실(苣實), 패장초(敗醬草), 참새투리, 석쿠리, 시토리, 사대풀, 사라부루라는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사데풀은 다년생초본이며 높이 30~100cm이고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집니다.경생엽은 잎 사이가 짧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2~18cm너비 1~2.8cm로서밑 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떨어져 있고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청색입니다.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지고 떨어져 달리며

자장자리에 치아상 또는 피침상의 톱니가 있습니다.사데풀의 생김새는 전체적으로 방가지똥과 비슷하지만 방가지똥은 잎에 가시가 있어 더 날카롭고 사데풀은 가시가 없어 잎의 톱니가 비교적 둔하게 보입니다.

8~10월에 꽃이 피고 꽃은 황색이며 원줄기 끝에 산형화서 비슷하게 달리고 화경은
길이 1.2~8cm로서 굵으며 털이 있고 포는 1~2개입니다.총포는 넓은 통형이고 꽃이 필때는 길이 16~20mm, 너비 4~5mm이며 외포편은 길이 4~6mm,중포편은 길이 8~10mm 이고 화관은 길이 21~24mm, 너비2mm로서이 5개로 갈라지며 통부는 길이 13~14mm이고 윗부분에 털이 있습니다.

9월부터열매가 성숙되고 수과는 갈색이며 길이 3.5mm로서 5개의 능선이 있고
관초느모는 길이 13mm로서 윗부분은 백색 밑 부분은 갈색입니다. 어린순을 자르면 하얀 즙액이 나옵니다. 어린순과 뿌리는 나물로 무쳐 먹을 수 있습니다.

 

시골에서는 사데풀을 나물로 먹기 때문에 '사데나물'로 부르기도 합니다. 사데풀은 봄철에 연한 순을 나물로 해서 먹으면 밥맛이 돌게 하고 또 다른 별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한방에서는 전초를 거매채 라 하여 약용하는데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허한 것을 보양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세균성 이질, 후두염, 신체허약으로 인한 해수,

내치탈출(內痔脫出), 백대하를 치료합니다.그외에 보신, 코피, 지혈, 자궁출혈, 피부염,

궤양에 효능이 있습니다. 사데풀의 꽃을 거매채화(苣蕒菜花)라고 하며 함께 약용하는데

간염이나 황달에 효능이 있습니다.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타리의 효능  (0) 2021.09.13
하늘타리의 효능  (0) 2021.09.13
패랭이의 효능  (0) 2021.09.13
패랭이 꽃 (암을 이길수 있는 효능)  (0) 2021.09.13
방아잎(배초향, 곽향)의 효능  (0) 2021.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