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산야초

환삼덩굴

Jinsunmi5066 2020. 1. 29. 07:28

환삼덩굴

다른 표기 언어 japanese-hop 동의어 범상덩굴, 좀환삼덩굴, 언겅퀴

요약 테이블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삼과(Cannabaceae)
학명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북한명칭 한삼덩굴
본초명 갈늑만(葛勒蔓, Ge-Le-Wan), 율초(葎草, Lu-Cao), 천장초(穿腸草, Chuan-Chang-Cao)

1년생 초본의 덩굴식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 가장자리와 풀밭 및 빈터에서 자란다. 덩굴성인 줄기와 잎자루에 밑을 향한 잔가시가 있어 거칠다. 마주나는 잎의 잎몸은 긴 잎자루 끝에 달리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6~12cm 정도의 장상엽으로 5~7개의 열편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거친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 2가화로 연한 녹색의 수꽃은 원추꽃차례에 달리고 암꽃은 짧은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수과는 지름 3~5mm 정도인 난상 원형으로 황갈색이 돌며 윗부분에 잔털이 있다. ‘호프’와 달리 잎이 3~7개로 깊은 장상으로 갈라지고 암꽃의 포는 난원형이며 녹색으로 일부에 자갈색을 띤다. 초지나 사료작물 포장에서 문제잡초가 되어 수량과 가축의 기호성을 감소시킨다. 공업용으로 이용하며 새순을 쌈으로 먹거나 데쳐서 나물로 먹기도 한다. 깻잎김치 담그듯 절임으로 먹기도 하고 말려서 가루를 내 분말로 먹기도 한다.

특성

쌍자엽식물(dicotyledon), 이판화(polypetalous flower), 1년생초본(annual herb), 약간 덩굴성(vine),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감기, 건위, 관격, 나창, 오림, 옹종, 위암, 이뇨, 임파선염, 진정, 청혈해독, 치질, 치핵, 퇴허열, 파상풍, 폐결핵, 폐렴, 폐혈, 하리, 학질

종자

환삼덩굴의 종자

1999년 10월 20일 채종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육과정

암꽃

1989년 9월 8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1993년 8월 5일 촬영, 안산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1994년 7월 15일 촬영, 난지도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1994년 8월 16일 촬영, 중량천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00년 8월 15일 촬영, 여의도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03년 9월 20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암꽃과 수꽃

2003년 9월 23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05년 4월 11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05년 4월 15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0년 8월 1일 촬영, 양재천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0년 10월 8일 촬영, 양재천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1년 4월 6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1년 5월 19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2년 5월 30일 촬영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2년 7월 26일 촬영, 안동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2년 8월 9일 촬영, 상주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2년 8월 10일 촬영, 금강변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2년 9월 9일 촬영, 호탄습지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환삼덩굴

2012년 11월 13일 촬영, 강화도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강병화 집필자 소개

대학원에서 작물재배학을 전공하고 독일에서 잡초방제에 관한 논문으로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고려대학교에 재직하며 재배환경, 잡초방제, 야생식물, 자원식물 등에 관한 강의를 하였다.

출처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수리   (0) 2020.01.29
천문동   (0) 2020.01.29
초오종류(부자, 투구꽃, 놋젓가락나물, 세잎돌쩌귀)  (0) 2020.01.28
투구꽃-세잎돌쩌귀-흰진범 구분  (0) 2020.01.28
▣ 독초 구별법 --  (0) 202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