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산야초

산목련 (신이화)차.담금주의 효능

Jinsunmi5066 2022. 3. 22. 08:38

☆산목련 (신이화)

(함박꽃 나무)

※3월중으로 신이화를 채취하여 이용하여 보시 기 바람니다.

(목련(木蓮)말그대로 나무의 연꽃이다.)

*목련 꽃봉오리를 신이(辛夷)라고 하여 약으로 쓴다.
신이라는 이름은 약간 매운 맛이 난다고하여 붙인 이름이다.

*콧병에는 신이가 최고의 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씨, 뿌리, 나무 껍질, 잎 등을 모두 약으로 쓴다.
맛은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두통, 축농증, 코가 막히는 것, 치통을 낫게한다
오장의 한열 (寒热)과 풍사 (风邪)를 없애고 머리를 맑게하며 얼굴에 난 기미, 주근깨를 치료한다.

*얼굴이 부으면서 생긴 치통과 차나 배를 탄것 처럼 현기증이 나는 증상을 치료한다.
수염과 머리카락을 나게하며 촌충을 죽여 없엔다.

*목련 꽃봉오리는 여러가지 균을 죽이고 혈압 을 낮추며, 소변을 잘 나가게 하고 자궁을 흥분 시키며 자궁 수축을 강하게하는 작용이있다.

*(죽은깨치료효능)꽃이 활짝 피기 전의 꽃망울 과 잔뿌리를 각각 20g씩 물로 달여서 마시고 꽃망울을 채취하여 45도 이상되는 증류주에 담가 우려내어 얼굴에 바르거나 곱게가루를 내어 바셀린이나 식물성 기름에 섞어 얼굴에 하루 한두번씩 바르고 마사지를한다.

*20 ~ 30 일 동안 얼굴에 바르면 기미 주근깨 같은 것들이 없어지고 살결이 고와지며 윤이 난다.

*(축농증)꽃봉오리와 뿌리를 진하게 달인 물을 콧속에 넣을수도 있고 먹을수도있다.
아니면 붓처럼 생긴 꽃봉오리를 콧속에 끼워 두는 방법도있다.

*오래 복용하면 편도선염이나 갑상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등에도 좋은 효험이 있으며 머리가 맑아지고 목소리가 아름다워지며 살결이 백옥 처럼 고와진다.

♡산목련 차 만드는 방법
차는 끓여서 만드는 방법과 직접 우려서 마시는 방법이있다.
꽃 봉우리를 신이 라하며 활짝 피었을 때까지 채취를한다.
(너무 어린 봉우 리나 너무 핀것은 효염이적다.)
맑은물에 잘행구어 연한 소금물에 5분 ~10분 정도 담갔다가 물기를 뺀후 살짝 쪄서 그늘에서 말린다.
한지 위에 말리면좋다.
바짝 말린 봉우리를 후라이 팬에 잘볶는다.

*끓여먹는방법
잘볶은 목련꽃과 유근피와 상백피 (뽕나무 뿌리 껍질) 몇조각을 함께 냄비에넣고 끓인다.
한번 끊으면 연한 불로 물이 반으로 줄어들때 까지 달인다.
다려진 차는 하루 2 ~ 3 회 나누어 마시며 식사 전후와는 관계 없다.
처음에는 농도를 연하게 복용을하고 나중에는 진하게 마신다.

*차로 마시는 방법
잘 볶아둔 목련 꽃잎 2 ~ 3 장을 차잔의 끊는 물 에 넣어 우려 마시는데 향이 강하므로 취향에
따라 양을 가감하여 마신다.
목련은 소염작용이 있어 비염 축농증에 효과가 있으며 두통, 치통에도 향을 즐기면서 약차로서 복용하면 치료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있다 .

*신이화주
꽃과 나무, 뿌리를 병에 같은 비율로 넣고 35도 담금 소주를 부어 준다.
60 ~ 90 일 정도에 체에걸러 술만 냉장고에 두어 밤에 한잔씩 마신다.
담을 없애고 폐에 이롭고 기 (气)를 조화롭게 한다.
♡많이 마시면 몸에 해롭다.

<부 작 용>
*독은 없지만 기가허하고 땀이많은 사람 빈혈 로 인해 두통이 있는사람 음기가 약해서 마른 기침을 하는사람은 복용을 삼가한다.

*목련꽃 봉우리는 방약합편에서 이렇게 설명 하고 있습니다.
성질은 따스하고 맛은 맵다.
코가 막힌 것을 통하게하고 콧물이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냄새를 맡지 못하는 병을 치료 한다.

▲ 제주테크노파크(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백목련과 자주목련 꽃봉오리의 대사체 비교 분석 연구논문이 최근 국제저명학술지 'Molecules'에 게재됐다고 3월 16일 발표했다. 이미지 출처 : 제주테크노파크생물종다양성연구소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는 백목련과 자주목련 꽃봉오리의 생리활성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성분에 따라 다양한 효능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테크노파크(원장 태성길,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백목련과 자주목련 꽃봉오리의 대사체 비교 분석 연구논문이 최근 국제저명학술지 'Molecules'에 게재됐다고 3월 16일 발표했다.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연구진은 대사체학 기법을 이용해 백목련과 자주목련 꽃봉오리의 성분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백목련과 자주목련의 꽃봉오리 모두 같은 약재로 쓰임에도 불구하고 구성하는 성분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규명한 것이다.

백목련(Magnolia heptapeta)과 자주목련(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은 모두 목련과(科) 목련속(屬)으로 분류되며 꽃이 잎보다 먼저 개화하고 탐스러운 향기를 지닌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특히 목련 꽃봉오리는 한방에서 ‘신이화(辛夷花)’라는 명칭으로 진통, 진정, 항균, 소염작용에 특효인 약용식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휘발성 향기 성분,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등이 알려져 있다.

백목련에는 진정작용 효과가 있어 피톤치드 성분으로 알려진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이 자주목련 대비 1.31배, 1.68배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의 생합성 경로에 페놀산과 방향족 아미노산이 관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자주목련의 경우 항산화, 항염, 항암작용이 있는 유효성분인 베타-미르센(β-myrcene)이 백목련 대비 1.73배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농도의 트레오닌과 낮은 농도의 유기산이 베타-미르센의 합성과 관련된 것이 연구 결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연구는 생리활성 물질의 생합성 경로를 탐색을 통해 고부가가치 소재로서의 전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 있는 연구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연구소는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백목련과 자주목련 꽃봉오리의 약재로서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라며 관련 기대를 전했다.

이에 대해 정용환 J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장은 “그동안 제주 생물자원의 가치 발굴을 위해 진행해온 대사체 분석을 바탕으로 효능평가, 기전연구와 함께 농·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여러 분야에서 유망한 제주형 산업화 소재 발굴과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사체학(metabolomics)이란 생물체 내에 존재하는 저분자 화합물의 차이를 전체적으로 분석해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명현상의 원인을 연구하는 빅데이터 학문이다. 이러한 대사체학은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생물체를 대상으로 농업, 식품, 의약품, 환경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기에 현재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산목련(신이화) 효능

산목련꽃을 신이화(辛夷花) 라 하며 신(辛)이라는 이름은 약간 매운 맛이 난다 하여 붙혀진 이름 이다.

봄을 대표하는 꽃중에 특이한 향기가 나고 매운맛의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목련꽃의 꽃봉우리는

신이화라(辛夷花)불리며, 풍사(邪)를 몰아내고 규(竅)를 통하게 하는효능을 가지고있는 약재이다.

목련꽃은 몸 안에 있는 차가운 기운과 풍으로 오는 코막힘, 축농증을 치료하고

콧물이 흐르고 냄새를 맡지못하는 증상, 두통이나 집충력이 떨어지는 증상, 오한,

발열, 전신통을 치료하고 가래가 많이 나오는 기침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수렴작용, 모세혈관 확장,

항염증작용, 혈압강하작용, 진통, 진정작용,피부진균과 포도상구균 억제작용을 한다.

조금만 무리하거나 피곤해도 코가 막히면서 콧물이 나오고 얼굴이 붓는 증상을 치료하는

신이화의 복용방법은 신이화 15~20g을 물 1L에 넣고 끓여 차 처럼 마시면 된다.

콧병에는 신이화가 최고의 약으로 알려져 있다,

신이화의 효능을 살펴 보면" 풍사"를 통하게 하여 막힌 것을 뚫어 주는 역활을 한다,

오장의 한열과 풍사를 없애고 머리를 맑게 하며 얼굴에 난 "기미나 주근깨"를 치료 한다,

얼굴이 부으면서 생긴 "치통이나 현기증"을 치료 한다,

또한 머리 카락을 나게 하며 "촌충"을 죽여 없앤다,

비염, 알레르기 비염, 축농증, 코막힘,콧 속의 염증 등 모든 종류의 콧병에 좋은 효능이 있다,

신이화 (목련꽃)을 잘 말린 것을 따뜻한 물에 우려 수시로 복용을 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티백과 효소"를 같이 복용하면

1주일후부터는 아무리 오래된 고질적인 비염이라도 현저하게 효과를 볼수있음

신이화 담금주

담금주를 할경우 잘말린 신이화를 술과함께 담그면 되는데 담금주에 색은 붉은빛을띠며

술맛이 아주 좋다고한다.

목련꽃은 꽃을 약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꽃봉우리를 사용한다 .

두통, 치통, 복통, 요통등 각종 통증에 도움이 된다

약제사용시

약재로 사용 시에는 봉오리 겉의 잔털이 보송보송한 껍질을 함께 사용하는데

까다롭게 법제(약재의 손질)를 하는 사람은 일일이 모두 벗겨 버립니다.

건조는 햇볕에 하게 되면 정향 성분이 모두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리는게 옳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