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자궁경부암 코암 인두암 후두암 등 각종 암에 효험 <동의학 사전>에서는 뱀딸기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사매(蛇莓) 즉 뱀딸기는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뱀딸기(Duchesnea indica 'Andr.'Focke)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널리 자란다.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전초를 베어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차다. 폐경, 위경, 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기침과 출혈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면역부활작용, 항암작용, 억균작용이 밝혀졌다. 인후종통, 디프테리아, 옹종, 창양, 화상, 습진 등에 쓴다.
또한 기침, 백일해, 부정자궁출혈, 위암, 자궁경부암, 코암, 인두암 등에도 쓴다.
하루 10~30g, 신선한 것은 30~6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내어 뿌린다.”
뱀딸기의 다른 이름은
계관과(鷄冠果), 야양매(野楊莓),사표(蛇藨), 지매(地莓), 잠매(蠶莓), 삼점홍(三點紅),용토주(龍吐珠), 사자미(獅子尾),
정창약(疔瘡藥), 사단과(蛇蛋果), 지금(地錦), 삼필풍(三匹風), 사포초(蛇泡草), 삼피풍(三皮風), 삼조룡(三爪龍),
일점홍(一點紅), 노사포(老蛇泡), 사용초(蛇蓉草), 삼각호(三脚虎), 사파등(蛇波藤),사팔변(蛇八辨), 용형주(龍銜珠),
소초매(小草莓), 지양매(地楊梅), 사불견(蛇不見),금선초(金蟬草), 삼엽표(三葉藨), 노사자점(老蛇刺占),
노사류(老蛇蔂),용구초(龍球草), 사포도(蛇葡萄), 사과등(蛇果籐), 사침두(蛇枕頭) 라고 부른다.
뱀딸기를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나력(경부임파선, 만성종창, 결핵성의 것 및 비결핵성)신선한 뱀딸기 전초 40~80g을
깨끗이 씻어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상해상용중초약]
2, 암종양, 정창 뱀딸기 전초 12~40g을 깨끗이 씻어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상해상용중초약]
3, 작은 면적의 화상 신선한 뱀딸기를 짓찧어 붙인다.
상처 표면에 농이 있을 때에는 빙편(冰片)을 조금 넣는다.[강서초약]
4, 뱀이나 독충에 의한 교상 신산한 뱀딸기 전초를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강서민간초약]
5, 타박상 신선한 뱀딸기 전초를 짓찧어 설감주(舌甘酒)로 주초(酒炒)하여 붙인다. [강서초약]
6, 인후종통 신선한 뱀딸기 전초를 약한 불로 달인 즙을 내복하고 입과 목을 행군다. [민동본초]
7, 말라리아, 황달신선한 뱀딸기 전초를 짓찧어 누에콩알 정도를
요골동맥(橈骨動脈) 부분에 바르고 천으로 싸맨다.[강서민간초약]
8, 이질 신선한 뱀딸기 전초 4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강서, 초약수책]
9, 토혈, 객혈 신선한 뱀딸기 전초 80~120g을 짓찧어 짜낸 즙 한 컵에
소량의 설탕을 넣고 약한 불에 달여서 복용한다. [민동본초]
10, 감기, 더위 먹은데 건조한 뱀딸기 전초 20~30g을 적당량의 물로 달여서 1일 2회 복용한다.[복건민간초약]
11, 유행성 열병, 입안이 헌데신선한 뱀딸기 전초를 짓찧어 즙을 내어 1말을 짜서
5되가 될 때까지 달여서 조금씩 마신다. [상한유요]
12, 농포(膿疱) 뱀딸기 전초를 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하고 또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귀양민간초약]
13, 소아구창 뱀딸기 전초에 고반의 분말을 혼합하여, 먼저 소금물에 고반을 섞은 것으로 환부를 씻은 다음,
약을 살포한다.[귀양민간초약]
14, 대상포진 뱀딸기 전초 적당량, 웅황(雄黃) 5푼, 대산(大蒜) 즉 마늘 1개를 함께 짓찧어 천에
싸서 붙인다. [귀양민간본초]
15, 유옹, 등창, 정창 신선한 뱀딸기 전초를 짓찧어 벌꿀을 가하여 환부에 붙인다.
초기 화농하지 않은 경우에는 민들레 40g을 더하여, 함께 짓찧어 짜낸 즙 1컵을 황주 80g과 함께 약한 불에
달여서 복용하고 찌꺼기는 환부에 붙인다. [민동본초]
16, 수독(水毒) 뱀딸기 뿌리를 찧어서 가루 내어 복용한다. 또 1~2㎖의 즙을 복용하여도 좋다. [보결부후방]
17, 결막염, 각막염 신선한 뱀딸기 뿌리를 3~5포기 씻어서 짓찧는다. 깨끗한 그릇에 넣고 채유 1~2 찻숟가락을 가한다.
1일 1회 쪄서 점안한다. 1일 3~4회, 1회에 2~3방울을 점안한다. 1회 처방으로 5~7일 사용할 수 있다.
[절강중초약항소염경험교류회자료선편]
18, 토혈 뱀딸기 뿌리와 잎을 짓찧어 더운물에 타서 복용한다. [귀주성중의험방비방]
뱀딸기 뿌리를 사매근(蛇莓根) 또는 삼피풍근(三皮風根)이라고 부르며<분류초약성>에서는
"내열(內熱), 조열(潮熱)을 치료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전국의 풀밭이나 길가에 흔하게 자라는 잡초인 뱀딸기가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놀랍기 그지없다.
뱀딸기의 효능
사매, 배암딸기, 홍실뱀딸기, 가락지나물, 지매, 땅딸기, 야양매 등으로 불립니다.
뱀딸기 줄기는 옆으로 자라며 마디마다 뿌리를 내립니다.
잎은 달걀형의 원모양으로 어긋나며 3장씩 달리며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는 맥위에 털이 있습니다.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잎가장자리의 긴 꽃자루에 달리며 열매는 수과로서 6월에 붉은 색으로 익습니다.
뱀딸기는 전초를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서 햇볕에 바싹 말려 차로 복용합니다.
뱀딸기의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찹니다. 종자유(種子油)중의 지방산(脂肪酸)의 주요 성분은 lino 53.1%인데
불감화성물질에는 탄화수소, alcoholsterol이 있고 sterol의 주요성분은 β-sitosterol 총량의 89.5%이고,
그 밖에 tennin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뱀딸기는 열을 내리고 혈을 식히며 부종을 내리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습다.
각종암, 위염, 중풍, 천식, 열병경간, 각혈, 감기, 당뇨병, 동상, 생리통, 설사,
종독, 종창, 타박상, 디프테리아, 천공성 충수염, 피부염, 토혈, 해수,
인후종통, 이질, 화상,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합니다.
[동의학사전]
맛은 달고 시고, 성질은 차며, 간경, 위경, 폐경에 작용한다.
약리 실험에서 항암작용, 면역부활작용, 억균작용이 밝혀졌다.
기침, 백일해, 부정자궁출혈, 위암, 자궁경부암, 코암, 인두암인후종통,
디프테리아, 옹종, 창양, 화상,습진 등에 쓴다.
[생초약성비요]
종기를 삭이고, 통증을 그치게 하며, 어혈을 흩고, 새 살을 나게한다.
[명의별곡]
성질은 차고, 가슴과 배에 열이 계속되는 사람에게 좋고,
종기를 다스려주고, 어혈을 흩뜨려주며, 새살을 돋게 해주며, 면역증강(열매)에 좋은 효과가 있다.
뱀딸기, 사매, 뱀딸기효능과 복용법, 뱀딸기 차(엑기스)
뱀딸기의 효능과 먹는 방법
뱀딸기는 청열양혈, 소종해독, 지해지혈의 효능이 있으며,항암작용, 항균작용, 면역기능 증강작용이 있습니다.
각종암(위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폐암, 비암, 인후암, 흉선암,복수암, 피부암, 혈성암, 방광종양 등에 사용하며,
위염, 당뇨, 생리통, 피부염, 인후염, 구내염, 천공성 충수염, 복막염,
종기, 습진, 화상, 유방염, 타박상, 뱀이나 독충에 물린데, 코피, 토혈,
기침, 감기, 해수, 백일해, 각혈, 디프테리아, 자궁출혈, 이질 등에 사용합니다.
*뱀딸기 증상별 복용법*
항암작용 뱀딸기는 암세포의 형성을 억제시키고 치료하는 효능있어
각종암(위암, 인두암, 자궁암, 폐암, 후두암 등) 치료하는데 많은 도움이됩니다.
뱀딸기 20~30g을 물 1ℓ를 넣고 끓여서 먹습니다.
만성질환 치료 신선한 밸딸기의 잎을 즙으로 먹습니다.
대상포진 치료 뱀딸기 전초를 가루로내어 면으로 된 천에 넣어 환부에 올려줍니다.
종기, 타박상 신선한 뱀딸기를 짖찧어 환부에 바릅니다.
지혈 및 해독작용 타박상, 습진, 화상, 토혈, 객혈에는 뱀딸기 전초 80~120g을
즙으로 짜내 끓여서 먹습니다.
독충이나 뱀에 물려 몸에 독이 번져나갈 때 뱀딸기를 빻아 환부에 바릅니다.
결막염, 각막염뱀딸기의 뿌리를 찧어서 채유 1~2스푼을 섞은 후 쪄낸 것을
하루 1번 정도 점안하도록 합니다.
5~7일 가량 사용하시면 결막염과 각막염이 어느정도 완화됩니다.
아토피 뱀딸기를 달여서먹고, 환부에 바릅니다.
*뱀딸기차 끓이는방법*
1. 뱀딸기 20~30g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말려 줍니다.
2. 깨끗이 씻은 뱀딸기를 물 1ℓ를 넣고 끓입니다.
3.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약불로 줄여서 30분~1시간(물의 양의
처음의 1/2 정도 줄때까지)정도 더 끓입니다.
4. 건더기는 걸러내고 달여진 약초액은 냉장보관 하시면서 드십시요.
※ 하루 2~3회 100~110㎖(종이컵⅔)정도, 따듯하게 먹습니다.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단풀의 효능 (0) | 2022.01.15 |
---|---|
화살나무(귀전우)효능/복용법 (0) | 2022.01.14 |
비트효능과 먹는 방법 (0) | 2022.01.12 |
藥草情報 - 와송(바위솔)의 효능 (0) | 2022.01.12 |
두릅나무.뿌리의 효능 (0) | 202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