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 화 탕(雙和湯)
○ 출전(出典) : 화제국방(和劑局方)
○ 해설(解說)
남녀의 오로육극칠상
五勞 - 心 ‧ 肝 ‧ 脾 ‧ 肺 ‧ 腎의 과로.
六極 - 筋 ‧ 骨 ‧ 血 ‧ 肉 ‧ 精 ‧氣가 극히 허한 허로병의 중증을 육극이라 말함.
七傷 - 陰寒 ‧ 精寒 ‧ 裏急 ‧精淚 ‧ 精少 ‧ 精淸 ‧ 小便頻數 하여 심신이 모두 허해
精‧血‧氣가 부족해져서 이윽고 허손노상(虛損勞傷)으로 발전하여 모든 몸이 병들어 마르고,
사지(四肢)가 권태로우며, 한열(寒熱)이 왕래(往來)하고, 기침이 나고, 인후(咽喉)가 건조하며 움직이면 천식(喘息)이 심하고, 안색(顔色)은 누렇게 시들어 사기(邪氣)에 약간만 접촉하여도 다른 큰 질환으로 발전하기가 쉬운 사람,
또는 찬 기운을 받아 음식이 소화가 되지 않고 복통을 일으켜 토역(吐逆)하거나 설사하는 사람,
또는 뜨거운 볕에 몸이 상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해지며 담연(痰涎)이 가로막아 호흡이 급촉(急促) 하고, 손발이 뜨겁고, 심흉(心胸)에 열(熱)이 나며, 불안함이 나타나든가, 또는 굶어서 희로공경(喜怒恐驚)이 심한 병으로 발전하고, 또는 배가 허창(虛脹)하여 식욕이 없든가 혹은 많이 먹기는 하되
몸은 야위고, 초조불안한 심정에 시달리며, 도한허한(盜汗虛汗)에 시달리는 등 모든 허로손상증(虛勞損傷證)에 조성(燥性)의 약은 맞지 않는 자에게 본방을 투여해서 치료한다.
상복(常服)하면 기(氣)를 영양하여 중기(中氣)를 조절하고, 혈액생성을 촉진하고 정신을 맑게 하여
위(胃)를 부드럽게 하고, 식욕을 돋우며 허손(虛損)을 보익(補益)하여 건강하게 한다.
○ 요약(要約) : 보익제(補益劑)-기혈쌍보제(氣血雙補劑)
- 허로손상(虛勞損傷)으로 기혈(氣血)이 허(虛)해진 때,
- 혈기(血氣)‧신정(腎精)이 모자라 감기에 잘 걸리고 잘 낫지 않고 오래 끌 때,
- 식은땀이 잘 날 때, 몸의 저항력을 높일 목적으로 씀.
○ 처방비율(處方比率)
o 처방“1” : 백작약 7.5g, 당귀‧황기‧천궁‧숙지황 각 3g, 감초 2.25g. 계지 8g,
o 처방“2” : 백작약 10g, 당귀‧황기‧천궁‧숙지황 각 4g, 감초‧육계 각 3g, 생강 3쪽, 대추 2개
※ 사물탕 + 황기‧육계‧감초 + 생강‧대추
※ 전탕(煎湯)하여 복용함.
○ 해설(解說)
o 허로손상(虛勞損傷)은 오장육부(五臟六腑)의 허약(虛弱)‧부족(不足)으로 생긴 증후군임.
약칭하여 허로(虛勞) 또는 노겁(勞劫)이라 함.
오장육부(五臟六腑)가 약해지면 안색이 창백해지고 어지러우며 귀가 울리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목소리에도 힘이 빠지고 권태로우며 기억력이나 집중력이 떨어지고 조금만 움직여도 진땀이 비 오듯
흐름.
또한 잠이 잘 오지 않으며 꿈이 많고 빈혈(貧血)을 일으킴.
시력이 나빠지고 신경쇠약과 월경불순이 나타남.
입맛도 없어지고 대변도 묽고 항상 가스가 찬 것처럼 아랫배가 탱탱해짐.
때로는 기혈(氣血)의 조화가 깨져 출혈성 증후가 나타나기도 함.
이런 경우에 쓰는 약이 ‘쌍화탕(雙和湯)’임.
이름 그대로 ‘쌍(雙)’, 즉 기(氣)와 혈(血)이 모두 부족하거나 부조화(不調和) 또는 음양 (陰陽)의 부족
이나 부조화를 ‘화(和)’, 즉 보충 또는 조화시키는 처방임.
o 중년 부부로 위의 증상이 있으면서 아울러 저항력이 약해져 예전과 달리 지나가는 감기라면 단골로
걸리는가 하면 그것을 전혀 이겨내지 못하여 질질 끌고 낫지 않으며 찬밥을 먹어도 땀을 흘릴 때에도
쌍화탕(雙和湯)만한 것이 없다고 하겠음.
o 이 처방은 원래 ‘황기건중탕(黃芪健重湯)’에서 변화시킨 것이므로 허약한 어린이에게도 좋고,
또 본 방제 속에는 용혈성 빈혈 정도를 숫토끼에게 투여하면 적혈구가 불과 11.9일 만에 회복된다는
놀랄만한 성분도 함유하고 있으므로 빈혈(貧血)이 심한 청소년 또는 산모 에게도 좋음.
그리고 과음 후 성교로 인한 감기에도 쌍화탕(雙和湯)이 대표적인 처방임.
o 복진(腹診)상 명치끝에 단단한 느낌이 없으며 복직근은 약간 긴장된 듯싶지만 복벽이 매우 박약함.
배꼽 중심으로 동계(動悸)가 인정되며, 혀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약간 건조한 편이고
설태(舌苔)는 없는 편임.
수족이 따뜻하거나 혹은 번열(煩熱)이 있으며, 대변은 굳고 소변은 잦은 편임.
피부가 거칠며 분비물이 많음. 즉 땀을 많이 흘림.
입안이 마르고 시장기를 쉽게 느끼고 빈혈도 있음.
○ 처방(處方)의 약리작용(藥理作用)
o 당귀‧작약‧천궁‧지황은 조혈(造血)작용을 함.
o 황기는 인체에 결핍된 아미노산과 미네랄 등 영양을 공급함.
o 육계는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체열을 공급함.
○ 본초(本草)의 약리작용(藥理作用)
o 감초(甘草)
- 계지(桂枝)와 함께 관상동맥의 과도한 수축을 완화하여 심동계, 호흡촉박 증상을 개선함.
- Glycyrrhizine이 NK세포를 활성화하고 인터페론 유리를 촉진하여 항염(抗炎)작용을 함.
- Glycyrrhetic acid가 Phospholipase A2 활성을 억제하고 Prostaglandin생성을 억제하여
진통(鎭痛)작용을 함.
또 기관지평활근 경련을 억제하여 진해(鎭咳)작용을 함.
- LH-1이 면역기억세포를 활성화함.
- 과도한 위액분비를 억제하고 궤양(潰瘍)을 수복함.
o 계지(桂枝)
- 계피의 알데히드는 혈관을 확장함.
- 신장사구체의 혈류량을 증진하여 이뇨(利尿)를 촉진함.
- 자궁혈관 탄력부족에 의한 산후의 출혈과다와 장기간의 월경출혈을 지혈(止血)함.
- 뼈에 대한 영양공급이 불량해서 나타나는 골다공증(骨多孔症)으로 인한 퇴행성 견(肩痛),
어깨관절 주위염에 혈액공급을 증진하고 진통(鎭痛)작용을 함.
- 위장점막의 혈류부족에 의한 소화불량과 한냉통(寒冷痛)에 작용하여 소화를 촉진하고
소화관의 온난감(溫暖感)을 증가시킴.
- O-Methoxy 계피의 알데히드는 인풀루엔자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함.
- 정유는 항보체 작용을 하여 염증을 빨리 진정시킴.
- 진정(鎭靜)‧진통(鎭痛)작용이 있음
- 황색포도상구균, 상한(傷寒)간균, 피부진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음.
o 당귀(當歸)
- 비타민B12 ‧ 엽산 ‧ 철분이 있어서 조혈(造血)작용으로 혈허(血虛)를 개선하고
혈액의 적혈구 수치를 높임.
- 비타민E가 함유되어 있어 비타민E 결핍증에 작용하며 자궁발육을 촉진함.
- 자궁기능 조절작용으로 자궁이 수축되었을 때는 이완시키고 불규칙한 수축을 할 때는
수축력을 강화하여 유산을 방지함.
- 정유는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고 뇌혈류를 증진하며,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함으로써 말초순환 장애를 개선함.
- 진정‧진통(鎭靜‧鎭痛)작용이 있어 신경통, 관절통 등의 통증을 완화시킴.
- 항염(抗炎)작용이 있어서 관절 류머티즘 등 염증을 억제함.
o 숙지황(熟地黃)
-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 조혈(造血)작용을 하나, 소화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함.
- 비타민A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각화(皮膚殼化)를 예방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각질세포를 연화
(軟化)함.
- 또 완만한 사하(瀉下)작용이 있어 하리(下痢)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변비(便秘)를 경감시키기도 함.
- 강심(强心)작용이 있고 소량에서는 혈관을 수축시키지만 대량에서는 혈관을 확장하고,
신장(腎臟)혈관을 확장하여 이뇨를 촉진시킴.
- 건지황(乾地黃)보다 숙지황(熟地黃)이 조혈(造血)‧자윤(滋潤)작용이 강함.
- 혈액의 응고를 촉진하여 지혈(止血)작용을 함.
- 관절의 부종(浮腫), 동통(疼痛)을 경감시킴.
o 작약(芍藥)
- 여러 종류의 당‧점액질‧유기산과 미량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부족으로 인한 도한(盜汗)을
완화하고 수렴(收斂)작용을 함.
-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작약뿌리)은 혈관평활근 경련 억제작용이 있음.
- 위산분비 억제작용이 있음.
- 방광운동능력 강화로 빈뇨(頻尿)를 개선하고 자궁, 신장근육의 운동능력을 강화하여
자궁(子宮)과 신장(腎臟)의 하수(下垂)로 인한 요통(腰痛)을 완화함
-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은 정맥근육의 운동능력을 강화하고
d-Catechin(카테킨-수용성·수렴성의 황색 화합물; 제혁·염색에 씀)이 정맥모세혈관의 혈소판응고를
억제함.
- 관상동맥을 확장하여 혈류를 가속화하여 심장기능을 개선함.
- 골격근과 소화관 경련을 억제하여 복통(腹痛)을 완화함
- 이질간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당간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강함.
소염(消炎)‧해열(解熱) 작용을 함.
-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진정(鎭靜)‧진경(鎭痙)‧진통(鎭痛)작용을 함.
- 면역능력 조절작용이 있고 항염(抗炎)작용을 함.
- 간(肝) 손상을 억제하고 해열(解熱)작용이 있음.
- 혈관의 탄력을 강화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함.
o 천궁(川芎)
- 페룰산(Ferulic acid-식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이 진통(鎭痛)‧진경(鎭痙)작용과 평활근 이완작용이
있어서 장관의 경련이나 임신자궁의 수축, 경련을 억제함.
- 정유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대뇌의 활동을 억제하여 진정작용을 하며 카페인의 흥분 작용에 길항
함.
- 관상동맥,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하지(下肢)와 심근(心筋)의 혈류량을 증가함.
- 보통 1회 용량 3g 이하에서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3g 이상에서는 혈압을 낮춤.
o 황기(黃芪)
- 당류, 엽산(Folic acid), 아미노산(Amino acid), 콜린(Choline-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 등의 풍부한 영양분
함유로 강장(强壯)작용을 하며,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의 배설을 억제하여 도한(盜汗)을 완화함.
- 혈관을 확장하여 외분비선(Eccrine)의 자극을 완화하므로 체액의 과도한 체외배출을 억제하고
신장 기능을 강화하여 이뇨를 증진함.
- 성호르몬(Sex Hormone)과 같은 작용과 중추신경계 흥분작용이 있어 강장제로 사용됨.
- 아세틸콜린(Acetylcholine-혈압 강하제 ; 신경 전달 물질의 한 가지)의 생합성을 증진하여
신경계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에너지대사를 원활히 함.
- 계지(桂枝)와 함께 신사구체혈류량을 강화하여 신장배설을 촉진하고 피부배설을 억제함.
- 계지(桂枝)와 함께 만성신염(慢性腎炎)에 보체의 과잉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을 개선함.
- 작약(芍藥)과 함께 내장근육의 장력을 강화하고 근육을 수축시켜 모든 내장의 하수 (下垂)를 개선함.
- 피부배설이 증강되어 체액의 체외배출 즉 도한(盜汗)이 심할 때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외분비선(Ecc rine)의 자극을 완화하여 체액의 과도한 체외배출을 억제하고 신장(腎臟) 기능을 강화하여
이뇨(利尿)를 증진함.
- 면역능력이 저하되어 만성염증이 계속될 때 항균작용과 면역능력 증강작용으로 만성염증 증상을
개선함.
이때 만약 급성열성염증 증상에 황기(黃芪)를 사용하면 항체가 과잉 증강되어 염증이 심해짐.
- 작약(芍藥)과 함께 내장근육의 장력을 강화하고 근육을 수축시켜 모든 내장의 하수(下垂)를 치료함.
○ 투약(投藥)
o 허로(虛勞)하여 힘이 없고 팔다리가 권태로움.
o 움직이면 숨이 가쁘고 얼굴이 누렇고 헛배가 부르고 식욕이 없음.
o 허한(虛寒)이나 도한(盜汗)이 있음.
○ 응용(應用)
o 면역력이 저하되고 빈혈(貧血)이 있는 사람이 감기에 자주 걸릴 때.
o 빈혈(貧血)이 있으면서 도한(盜汗)이 있을 때.
○ 가감법(加減法)
o 마른기침이 잦을 때 → 황정(黃精)을 가미함.
황정(黃精)은 죽대 둥글레로 일명 선인여량(仙人餘粮)이라 함. 즉 신선들이 양식으로 삼았다는 뜻임.
뿌리를 쪄서 말리면 달고 점액질이 많은 약재가 되는데, 스테로이드 물질, 당분, 사포닌, 강심배당체
등을 함유하고 있어 체력, 정력, 비위장 소화기 기능을 보강하고 혈압을 내리며
간(肝)에 지방이 쌓이는 것을 예방하 등의 효능이 있음.
또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을 예방하며, 아드레날린으로 높아진 혈당을 내리고,
진해(鎭咳), 즉 마른기침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뚜렷함.
그래서 체내의 구조적 물질이 모자라 체력이 떨어지고 식욕이 나지 않고 소화력도 약하며 쉽게 피로하고
진땀을 잘 흘리면서 마른기침마저 잦을 때 효과적인 것이 황정(黃精)임.
o 잠이 오지 않고 불안해질 때 → 교태환(交泰丸)을 합방함.
밤이면 잠이 잘 오지 않아 뒤척이고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면 하루 종일 머리가 무겁고 온몸이 나른하며
의욕이 없어지게 마련이며, 괜한 일에 신경질을 내고 별일도 아닌 일에 가슴이 뛰고 불안해짐.
때로 얼굴이 달아오르면서 땀이 훅 솟구침.
그러다가 언데 그랬냐는 듯이 쉽게 오슬오슬 추워지기도 함.
놀란 것처럼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가슴이 답답해짐.
초조해지고 어깨와 등이 뻣뻣해지며 소변이 자주 마렵고 배변을 해도 시원치 않음.
이런 경우를 자율신경 항진, 중추신경계 흥분, 이화작용의 항진에 의한 증상이라고 함.
이러한 증상을 기막히게 빨리 낫게 하는 처방이 교태환(交泰丸)임.
황련(黃連)과 육계(肉桂)를 3:1 비율로 섞어 가루 내어 꿀 또는 밀가루 반죽으로
4.5g 무게의 알 모양으로 빚어 1일 2-3회 복용하는 것이 교태환(交泰丸)인데
구태여 그렇게 하지 않고 본방 쌍화탕(雙和湯)에 황련(黃連)만 가미하면 됨.
왜냐하면 쌍화탕(雙和湯)에는 육계(肉桂)가 포함 되어 있기 때문임.
o 땀이 많을 때 → 황기(黃芪)의 양을 배로 늘림.
o 빈혈이 심하면 → 당귀(當歸)의 양을 배로 늘림.
o 내상이 겸해 졌을 때 →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을 합방함.
처방명은 쌍금탕(雙金湯)이 됨.
※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 : 정기산(正氣散)의 한 가지,
위장(胃腸)을 범한 감기에 쓰는 탕약(湯藥).
상한음증(傷寒陰症)으로 인한 두통(頭痛), 한열(寒熱) 따위에 쓰는 탕약(湯藥).
감기로 열이 심하고 전신이 아프며 두통이 있을 때 사용하는 처방으로
후박‧진피‧곽향‧반하‧창출 각6g, 감초 3g, 대추 3개, 생강 3쪽으로 이루어 짐.
o 조루증(早漏症)이 심하면 → 오배자(五倍子)를 가미함.
o 식욕감퇴가 있으면 → 곽향(藿香)을 가미함.
o 사지관절(四肢關節)이 모두 쑤시고 아프면 → 방풍(防風)을 가미함.
또는 오적산(五積散)을 합방하고 처방명은 오적교가산(五積交加散)이 됨.
※ 오적산(五積散) : 한‧냉‧습(寒‧冷‧濕)에 손상되어 일어나는 여러 병을 다스리는 처방.
o 머리카락이 자꾸 빠지면 →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을 합방함.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비탕 재료 및 만드는 방법 (0) | 2020.02.08 |
---|---|
팔미지황탕(八味地黃湯) (0) | 2020.02.08 |
감초에 관한 상식 (0) | 2020.02.07 |
공진단 효능 (0) | 2020.02.07 |
한약, 보약 복용시 금기사항 (0) | 2020.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