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능을 촉진...정향나무(토종라일락)의 효능
물푸레나무과 낙엽활엽관목인 정향나무는 산기슭에서 볼 수 있는데, 가지는
회갈색이고 높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넓은 난형 또는 아원형으로 마주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뒷면의
맥 위에는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자주색으로서 5월에 묵은 가지에서 원추
화서로 달리며, 열매는 삭과로서 끝이 둔한 타원형이고 9월경에 성숙한다.
정향나무는 꽃향기가 좋아서 정원수, 향료의 원료로 이용하며,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매우며(辛) 독이 없다.
꽃봉오리에는 정향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꽃에는 oleanolic acid과 같은
triterpenoids, flavon류의 rhamnetin, kaempferol과 eugenin,
eugenitin, isoeugenitin 및 demethyl 화합물인 isoeugenidol이
함유되어 있다.
정향나무는 한방 및 민간에서 뿌리, 수피 등을 비롯한 수목(樹木) 대부분을
약재로 사용하는데, 꽃은 정향(丁香)이라 하여 9월부터 다음해 3월 사이에
, 과실은 모정향(母丁香)이라하여 성숙될 때쯤 따서 햇볕에 말린 것을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곽란, 신기(腎氣-성교할 때의 남자의 정력),
분돈기(奔豚氣-배꼽 아래에서 움직이는 기)와 냉기로 배가 아프고
음낭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성기능을 높이고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반위증(번위증-음식을
먹으면 구역질이 심하게 나며 먹은 것을 토해 내는 위병)을 낫게 하고
술독과 풍독을 없애며 여러 가지 종기를 낫게 한다. 그리고 치감
(齒疳-잇몸이 곪기어 썩는 병)을 낫게 하며, 과실은 수태음과
족양명, 소음경 등의 경맥을 좋게 하는 약재에 사용된다.
또한 정향은 애역(?逆-딸꾹질),구토, 사리(瀉痢-설사), 심복냉통
(心腹冷痛), 현벽(?癖-배꼽 양쪽 옆이나 옆구리에 막대기 또는
덩어리 모양으로 뭉쳐진 것이 만져지며 가끔 통증이 있는 병),
정기(正氣-생명의 원기), 선질(癬疾), 풍열종독(風熱腫毒)를
치료하고, 수피는 수양성 하리(下痢-이질, 똥에 곱이 섞여
나오면서 뒤가 잦고 당기는 병), 치통, 그리고 나무가지는 일절의
냉기, 심복창만(心腹脹滿), 오심(惡心-가슴이 달아 오름), 수곡불화
(水穀不化-음식이 소화되지 않음) 등을 치료한다. 과실은 폭심기통
(暴心氣痛-난폭한 마음과 기운이 고르게 돌지 못하고 한 곳에
머물러서 생기는 병), 위한구역(胃寒嘔逆-위가냉하여 속이 메스꺼워
토하고 싶은 느낌), 풍냉(風冷) 치통, 아선(牙宣-잇몸이 붓고
상해서 피가 나는 병증), 구취, 부인 음냉(陰冷-음부가 차진 것),
소아 산기(疝氣-생식기와 고환이 붓고 아픈 병증)를, 그리고
정향유는 위한통창(胃寒痛脹-위가 붓고 복부가 아픈증상),
마비(麻?), 산통, 구취, 치통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유용한 식물자원이다.
토종라일락의 효능
연보라색 라일락꽃:신기(腎氣= 성교 할 때의 남자의 정력)
분돈기(奔豚氣= 배꼽 아래에서 움지기는 기)와 냉기로
배가 아프고 음낭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2. 연보라색 라일락꽃:꽃은 대부분 연보라색이지만
더 짙은 것도 있으며, 흰색의 변종도 있다.
3. 라연보라색 일락꽃:
약리 작용으로는 위산분비 촉진작용, 진통작용, 항경련작용,
항염증작용, 항균작용, 항상화 작용도 입증 되었다.
4. 연보라색 라일락꽃
5. 연보라색 라일락꽃
6. 연보라색 라일락꽃
7. 연보라색 라일락꽃
8.연보라색 라일락꽃
9.연보라색 라일락꽃
10.연보라색 라일락꽃
11.연보라색 라일락꽃
12.연보라색 라일락꽃
13.연보라색 라일락꽃
14.연보라색 라일락꽃
15.연보라색 라일락꽃 나무
16. 연보라색 라일락꽃 나무
*라일락(Lilac)
1.뜻:친구의 사랑,우애
2.분류:물푸레나무과
3.서식지:양지 바른곳
4.원산지: 유럽 동부와 아시아 온대지역
5.소개:물푸레나무과(―科 Oleaceae) 수수꽃다리속(―屬 Syringa)의 식물.
관목 또는 작은 교목들로서 봄에 향기롭고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유럽 동부와 아시아 온대지역이 원산지이다. 짙은 녹색을 띠는
잎들이 커다란 원추(圓錐)꽃차례로 피는 화려한 꽃의 매력을 더해 준다.
열매는 가죽질로 된 삭과(?果)이다. 수수꽃다리를 영어로는 'syringa'
라고 부르는데, 이전에는 이 이름이 범의귀과(Saxifragaceae)에
속하는 고광나무속(Philadelphus) 식물들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갈매나무과(Rhamnaceae)의 케아노투스속(Ceanothus) 식물들을
여름라일락(summer lilac)이라 하는데, 마전과(Loganiaceae)
에 속하는 식물들도 여름라일락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 남동부가 원산지인 라일락(S. vulgaris)은 전세계의
온대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 꽃은 홑꽃 또는 겹꽃으로 짙은 자색,
연보라색, 푸른색, 붉은색, 분홍색, 흰색, 옅은 회색, 크림빛의
노란색 등 여러 가지 색을 띠는 수백 가지의 변종이 있다. 키는 6m
정도이며 줄기나 뿌리에서 많은 가지를 낸다. 대개 관목이지만
가지를 쳐 주면 키가 작은 교목으로 자란다. 이란에서 중국에
걸쳐 자라는 민꽃다리(S. persica)는 줄기가 아주 약해서 아래로
늘어지며 높이는 2m 정도이다. 꽃은 대부분 연보라색이지만 더
짙은 것도 있으며, 흰색의 변종도 있다.
그밖에 화사한 종들로는 키가 3m 정도이며 꽃이 연보라빛 도는
분홍색인 털개회나무(S. velutina), 분홍색 꽃을 피우며 키가 4m에
달하는 중국산 시링가 레플렉사(S. alexa), 키가 3m이며 향기없는
청자주색 꽃을 피우는 시링가 요시카이아(S. josikaea), 중국이
원산지로 키가 1.5m이며 잎은 작고 싹은 짙은 붉은색이며 옅은
분홍색 꽃이 피는 시링가 미크로필라(S. microphylla) 등이 있다.
시링가 키넨시스(S. chinensis)는 민꽃다리(S. persica)와 라일락의
잡종으로 가지가 두껍다.
한국에는 5종류의 수수꽃다리속 식물들이 자란다. 수수꽃다리
(S. dilatata)는 주로 북한 지방에서 볼 수 있으며, 울릉도에
섬개회나무(S. venosa), 강원도 이북에 꽃개회나무(S. wolfi)가 자란다.
개회나무(S. reticulata var. mandshurica)와 털개회나무(S. velutina)
가 산 속에서 흔히 자라며, 외국에서 들어온 라일락을 뜰에 심거나 가로수로 쓴다.
*정향나무(토종라일락)의 효능 (한방약초,) 정향나무는 맛은 맵고 따뜻하다. 약리 작용으로는 위산분비 촉진작용, 진통작용, 항경련작용, 항염증작용, 항균작용, 항상화 작용도 입증 되었다. 정향나무는 한방 및 민간에서 뿌리, 수피, 등을 비롯한 수목(樹木) 대부분을 약재로 사용 한다. 과실은 모정향(母丁香)이라 하여 성숙 될 때쯤 따서 햇볕에 말린 것을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곽란, 신기(腎氣= 성교 할 때의 남자의 정력) 분돈기(奔豚氣= 배꼽 아래에서 움지기는 기)와 냉기로 배가 아프고 음낭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성 기능을 높이고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반위증(번위증= 음식을 먹으면 구역질이 심하게 나며, 먹은 것을 토해 내는 위병)을 낫게 하고 술독과 풍독을 없애며, 각종 종기를 낫게 한다. 치감(齒疳)= 잇몸이 곪아서 썩는 병)을 낫게 하며, 과실은 수태음 과 족양명, 소음경 등의 경맥을 좋게 하는 약재에 사용 한다. 정향은 애역(?逆= 딸국질), 구토, 사리(瀉痢= 설사), 심복냉통(心腹冷痛), 현벽(?癖)= 배꼽 양쪽 옆이나, 옆구리에 막대기 또는 덩어리 모양으로 뭉쳐진 것이 만져지며, 가끔 통증이 있는 병) 정기(正氣= 생명의 원기), 선질(癬疾), 풍열종독(風熱腫毒)을 치료 하고 수피(樹皮)는 수양성 하리(下痢)= 이질, 똥에 곱이 섞여 나오면서 뒤가 잦고, 당기는 병) 치통, 그리고 나무 가지는, 일절의 냉기, 심복창만(心腹脹滿), 오심(惡心= 가슴이 달아오름), 수곡불화(水穀不化= 음식이 소화되지 않음) 등을 치료 한다. 고실은 폭신기통(暴心氣痛= 난폭한 마음과 기운이 고르게 돌지 못하고 한 곳에 머물러서 생기는 병), 위한구역 (胃寒嘔逆= 위가 냉하여 속이 메스꺼워 토하고 싶은 느낌), 풍냉(風冷), 치통, 아선(牙宣= 잇몸이 붓고 상해서 피가 나는 병증), 구취, 부인 음냉(陰冷= 음부가 차진 것),소아 산기(疝氣= 생식기와 고환이 붓고 아픈 병증), 그리고 정향유는 위한통창(胃寒痛脹 = 위가 붓고 복부가 아픈 증상), 마비(痲痺), 산통, 구취, 치통 등을 치료 하는데 사용되는 유용한 식물 자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