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의 삶(학(鶴)선(仙)동(童)옹(翁)광(狂)고(孤)..
"괴테는 노인의 삶은 상실의 삶이다" 라고
했는데, 이는 늙어가면서 우리는 건강, 돈, 일,
친구, 꿈을 상실하기 때문일 것이다.
"플라톤" 도 늙으면 허수아비가 돼는 것이다
라고 했다. 우리들의 일생은 자신 스스로가
써온 시나리오 따라 자신이 직접 연출하는
자작극이라고나 할까?
우리는 여태껏 어떤 내용의 각본을 창작하여
살아왔을까? 이젠 고쳐쓸 수도 없고
희극이 돼든 비극이 돼든 해피엔딩이건 이젠
자신이 쓴 각본대로 열심히 연출 할 수밖에없다.
우리들 각자가 써 온 시나리오의
이모저모를 간추려 보면,
1. 노학(老鶴) 늙어서 말대로 학(鶴) 처럼
사는 사람으로 이들은 심신이 건강하고
여유가 있어 산천 경계를 돌아다니며
유람하며 산다.
그러면서 검소하고 천박질하질 않으며
많은 벗들과 어울려 노닐고, 베풀 줄 안다.
틈나는 대로 자신을 갈고 닦으며 문예작품이나
학술논문을 펴내기도 한다.
2. 노선(老仙) 늙어가면서 신선처럼 사는
사람으로 이들은 사랑도 미움도 놓아 버렸다.
성냄과 탐욕도 벗어 버리고 선도 악도 털어 버렸다.
따라서 삶에 아무런 걸림이 없는 마음이
홀가분 하다. 건너야 할 피안의 세계도 없고
올라야 할 천당도 없고 빠져버릴 지옥도 없다.
그저 자연을 벗삼아 자연 따라 돌아갈 뿐이다.
3.노동(老童) 늙어도 배우고 공부하는
사람으로 노인대학이며 평생교육원 등에서
못다한 공부를 하고, 컴퓨터와 전문적인
상식도 익히고 수시로 여성(남성) 학우들과
어울려 여행도 하고 운동도 하고 노래와
춤도 추면서 즐겁게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보낸다.
4. 노옹(老翁) 텅빈 집이나 봐주고, 집에서
손주들이나 돌봐주는 노인네다.
어쩌다 동네 노인정에 나가서 화투나
장기를 두는 것이 그나마 개인 생활의 전부이다.
형편만 돼면 따로 나와서 살아야지 하는 생각이
늘 머리 속에만 머무른다.
5. 노광(老狂) 능력은 부족하고 함량 미달에
주변 사람으로부터 존경도 못 받는 처지에
감투 욕심은 많아 온갖 장은 다 맡는다.
돈이 생기는 곳이라면 체면 불구하고
파리처럼 달라붙는다. 권력의 끄나풀이라도
잡아 볼려고 늙은 몸을 이끌고 끊임 없이
여기저기 기웃거린다.
6. 노고(老孤) 말대로 외로운 삶을 보내는
사람이다. 이런 말이 있다.. 20代의 아내는
애완동물 같이 마냥 귀엽기만 하다.
30代 아내는 기호식품과 같고
40代 아내는 어느 듯 없어서는 안 됄
가재도구가 돼버렸다.
50代 아내는 집안의 가보자리를
차지하고. 60代 아내는 지방문화재 라고나
할까? 그런데 70代 아내는 국보급에 올라
존경 받는다. 헌데 그렇게 귀한 보물을
잃었으니 외롭고 쓸쓸 할 수밖에..
7. 노궁(老窮) 아침 한술 뜨고 나면
집을 나와야 한다. 갈 곳이라곤 공원 광장뿐이다.
점심은 무료급식소에서 해결하고 석양이
저물면 내키지 않는 발걸음을 돌려 집을
향한다. 며느리 눈치 슬슬보며, 밥술 좀 떠 넣고
골방에 들어가 TV 보다 말다 하다가
오지 않는 잠을 청한다. 왠지 사는게 괴롭다.
8. 노추(老醜) 어쩌하다 불치의 병을 얻어
다른 사람 도움 없이는 한시도 살 수 없는
못 죽어서 사는 가련한 노인이다. 그리고
불필요한 말참견을 많이 하는 사람. 마냥
친구에게 빌불어 술이나 밥 얻어먹고
다니는 사람.
만나는 사람마다 자기자랑, 자식자랑,
늘어 놓은 사람, 남이 볼땐, 그저 그런데 잘난 체
공치사 하는 사람. 몸과 의복을 깨끗히
하지 않고 외출하는 사람.
매사에 불평과 불만으로 짜증나게 하는
사람,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장소에서
큰소리로 시끄럽게 떠드는 사람. 분수에 넘치는
지나친 욕심을 부리는 사람도 노추(老醜)
의 한 모습이기도 하다.
울님께서는 나이 들었어도 사는 날까지
노학(老鶴), 노선(老仙), 노동(老童) 의 노인으로
살아가야지 않겠는지요!!!...
- 좋은 글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