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막사리 의 효능과 부작용

▶가막사리란 ?
가막사리는 밭둑이나 습지, 물가에 주로 서식합니다.
높이는 20~15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이 없습니다.
가막사리는 도깨비풀, 도깨비바늘, 털 가막사리 라고도 불립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피침형이지만 중앙부의 것은 길이 4~13c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3~5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길이 0.8~2.5cm로서 날개가 약간 있습니다.
정열편은 크고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측열편은 1-2쌍으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옆으로 퍼지고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져서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되거나 3개로 갈라집니다.
꽃은 8-10월에 피며 양성이고 황색이며 지름 25-35mm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꽃대는 길이 4-15cm입니다.
총포조각은 5-10개이고 길이 1.5-4.5cm로서 거꿀피침모양 둔두이며 외포편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길이 9-11mm이며 내포편은 선형입니다.
혀꽃은 없고 통상화는 길이 4-4.5mm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지며 판통은 길이 2mm 정도입니다.
열매는 길이 7~11mm, 나비 2-2.5mm로서 가장자리와 능선 위에 역자가 있고 관모는 완전한 것 2개와 불완전한 것 1-2개가 있으며 길이 3-4mm로서 역자가 있습니다.
다른 물체에 붙어서 종자를 산포합니다

▶가막사리의 효능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 합니다.
기관지에 무척 좋은 식물입니다. 폐에 좋다는 말이 많아서 결핵이나 편도선이 자주 붙는 분들이 드시면 아주 좋습니다.
폐를 맑게 해주고 독을 풀어준다고 하여 이비인후과, 피부과, 호흡기 질환과 심한 설사 증상을 다스리는 약초로 목안이 붓고 아프거나 편도선염, 기관지염, 인후염을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 윤폐, 살균, 소염, 인후염, 이질, 장염, 단독, 버짐 등 치료에 특효가 있습니다.
위궤양과 장염 증상을 개선해주며 혈압과 열을 내려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약한 마비 증상이 있어 치통, 두통, 통풍, 류머티즘, 관절통의 아픔을 마비 시키기도 합니다.
살균효능이 있어서 피부병 치료에도 사용이 되었습니다.
아토피 치료에도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시는걸로 알고 있지만, 특별한 약이 없던 과거에는 옴 치료도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동의치료에서 땀내기약, 열내림 약으로 열성질병, 쓴맛 건위약, 설사 멎이약으로 위장질병, 장염설사, 피똥 등에 씁니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약한 마비작용이 있다고 하여 이 쑤심, 척수신경근염, 산통, 매독, 관절염에도 쓰입니다.
▶가막사리 복용법
말린 약초를 1회 3~6g 씩 달여 복용합니다. 신선한 것은 30~60g을 복용해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즙을 내어 복용 하기도 합니다.
인후가 붓고 아플때에는 말린 뿌리 15g을 달여 하루에 3번 나누어 복용 합니다.
또한 여기에 법부채를 10g 섞어서 달여도 좋습니다.
습진에는 생잎을 짓찧어 즙을 내어서 환부에 바르고, 버짐에는 잎을 가루 내어 식초로 개어 환부에 바릅니다.
가막사리는 봄에 어린 순을 뜯어서 가볍게 데친 후 한동안 우려낸 뒤 조리합니다.
무침이니 튀김 등 입맛에 맞는 대로 진한 양념으로 하며 찌개에 넣거나 조개를 넣은 구거기로 삼아도 좋습니다.
▶가막사리의 부작용
어느거 하나 버릴꺼 없이 전체를 사용이 가능하지만 채취시기에 따라서 그러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꽃이 피었을때 채취하여야 합니다.
그러지 않을 경우에는 전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딱히 큰 부작용은 없지만 약효를 보기 위해서는 한약재의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섭취량과 방법을 정하는것이 좋습니다.
사진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가막사리의 효능
두통,통풍,관절염에 좋은 가막사리

이 풀도 너무 흔한 풀이고, 이 풀을 한번 경험해본 사람이면, 대부분 학을 떼는 풀입니다. 사진을 보면 아시겠죠? '이걸 약으로 쓴다고? 말도 안되!!!' 라고 말할 분들도 많으실 거에요. 개인적으로도 제일 싫어 하는 풀이기도 합니다. 제가 어렸을적엔 '독가시풀'이라고 불렀는데, 한방에서는 '낭파초'라는 이름으로 약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가막사리가 있는 곳에 잘못 들어가면,,, 한동안 모든 일을 멈추고 옷에서 가시가 달린 씨앗을 떼는데 공을 들여야 하는 짜증나는 풀인데, 두통이나 치통 관절통에 효과가 있고 폐를 맑게 해주는 효능까지 있습니다.
가막사리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 Bidens tripartia
분류 : 국화과
분포지역 : 아시아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의 온대에서 열대
서식장소 : 논이나 개울
크기 줄기 : 20~150cm.
논이나 개울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20~150cm로 가지를 치며 전체에 털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고 밑쪽에 난것은 바소 꼴이고, 가운데에 난 것은 긴 타원형의 바소 꼴이며, 톱니가 있으며, 양쪽 조각잎은 1~2쌍으로 긴 타원형의 바소 꼴이다.
한해살이풀로 전국 각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마디마다 2장의 잎이 마주 자리하며 3~5갈래로 깊이 갈라지는데 제일 위에 나는 잎은 갈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갈라진 잎 조각은 계란 꼴에 가까운 피침 꼴이고 가장자리에는 거친 모양의 톱니가 배열되어 있는데 줄기와 가지의 끝에 많은 꽃이 둥글게 뭉쳐서 피어납니다.
뭉친 꽃의 바로 밑에 잎과 같은 생김새의 꽃받침이 사방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둥글게 뭉쳐 있는 꽃의 집단은 지름이 1.5cm쯤이고 빛깔은 노랗고 꽃이 핀 뒤 가시와 같은 생김새의 씨가 생기는데 끝에 갈고리와 같은 털이 있어서 사람의 옷이나 짐승의 털에 붙어 이동되어 다른 곳에서 또 자라게 됩니다.
꽃이 피었을때 채취하여 전체를 약으로 사용합니다.
꽃은 양성화이며 8~10월에 지름25~35mm 노란 꽃이 가지 끝에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꽃대의 길이는 4~15cm이다.
설상화는 없고 4mm정도의 관상화는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7~11mm, 나비 2~2.5mm이고, 가장자리와 능선 위에
거꾸로 난 가시가 있다.
결핵을 치료하는데에 사용하며 어린순은 식용한다.
가막사리의 효능
가막사리는 생약명으로 낭파초(浪把草)라고 하며, 이명은 오파(烏把), 침포초(針包草)라고 한다. 동속 약초는
도깨비 바늘이 있다.
꽃이 필때에는 전초를 채취하여 밝은 그늘에 말렸다가 달여 마시면 피를 맑게하고 폐를 맑게 하며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준다.
민간에서는 마비작용이 있다 하여 치통, 통풍, 관절통, 류머티즘에 쓰여 왔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가막사리는 폐를 맑게 해주는 효능이 있어 목안이 붓고 아픈데, 폐결핵, 편도선염,
기관지염, 인후염 등에 좋습니다. 또한 약간의 마비 효능이 있어 진정작용을 하며, 혈압을 낮추고, 통풍,
치통, 관절통, 습진통에 아주 특효 입니다.
그리고, 해열 효능과 함께 이뇨작용도 있다 합니다.
그리고,,, 살균과 소염의 효능이 있어, 옴과 같은 피부병에도 효능이 있다하여, 아토피 치료에도 기대가 되는
약초 입니다.
약리실험에서 진정작용, 혈압낮춤작용, 이뇨작용, 자궁 수축작용 등이 밝혀졌다.
또한 목안이 붓고 아픈데, 폐결핵, 편도선염, 기관지염, 인후염, 임파선염 등에 효과가 있다.
건위(위를 튼튼하고 편안하게 만들어 주는것)에 좋으며, 위궤양, 장염(위염)등에도 효과가 있다.
이질, 단독, 버짐, 진통, 해열, 습진, 등에도 효과가 있다.
1. 건위(健胃) :
위염, 위궤양 등에 두루 쓰인다.
2. 인후가 붓고 아픈데 : (인후두염)
15g을 달여 하루 3회 나누어 먹는다. 범무채 10g을 섞어 써도 좋다.
3. 습진 :
가막사리 잎을 찧어 즙을 내어 바른다.
4. 버즙 :
잎을 가루내어 식초에 개어 바른다.
5. 임파선염 :
가막사리 온포가 5~6g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6. 광견병(狂犬病) :
전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7. 기관지염(氣管支炎) :
전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6~7회 복용한다.
8. 폐기보호(肺氣保護) :
전초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9. 피부병(皮膚病) :
전초를 생즙을 내거나 달여서 그 물을 여러번 환부에 바른다.
▣ 함유 성분
전초를 꽃 필 때 지상부를 베어 깨끗이 씻은 후 말린다.
성분은 신선한 전초에 50밀리그램 퍼센트까지의 카로틴, 10가지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즉 우테올린-7-O-β-D-
글루코푸라노시드, 부테인, 술푸레틴, 7-O-β-D-글루코푸라노시드, 부테인 등이 있다.
또한 축합형 탄닌질(꽃필 때 6.5퍼센트), 쿠마린인 움벨리페론과 스코폴레틴, 60~70밀리그램 퍼센트의 아스코르부산,
흔적의 정유, 수지, 아민, 쓴맛물질, Υ-락톤 등이 있다.
시기에 따르는 함량을 보면 꽃봉오리 때에 탄닌질은 4~5퍼센트로 가장 높고 꽃피고 열매맺을 때 낮아진다.
줄기의 윗부분(15센티미터)은 아랫부분보다 탄닌질의 함량이 2배나 높다.
탄닌질 중에서 폴리페놀 함량은 46~66퍼센트이며 열매 맺을 때 낮아진다.
그러므로 어린식물의 탄닌질은 주로 폴리페놀 화합물이고 식물이 자라면서 축합되어 축합형 탄닌으로 전화된다.
망간 함량은 꽃필 때 높다. 비타민 C는 748~953밀리그램 퍼센트이며 꽃필 때 제일 높다.
그러므로 꽃봉오리 때부터 꽃피는 첫 시기에 채취하여 특히 줄기 아랫부분은 버리고 윗부분만을 쓰는 것이 좋다.
▣ 활용법 |
|
봄과 가을에 캐어 지상부와 수염뿌리를 다듬고 햇볕에 말려서 보관해 두고 쓰기에 앞서 잘게 썰어 물에 달여 사용한다.
|
▣ 성분과 약성 |
|
가막사리는 60~90cm 정도의 높이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논두렁이나 물가의 습한 땅에서 자란다.줄기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둥글게 뭉쳐서 피어난다. 꽃이 핀 뒤 가시와 같은 생김새의 씨가 생기는데 끝에 갈고리와 같은 털이 있어서 사람의 옷이나 짐승의 털에 붙어서 멀리 이동한다. 9~10월에 꽃이 핀다.
|
|
▣ 담그는법 |
재 료 : 가막사리120g,소주1.8L
① 가막사리 잎, 줄기, 꽃을 깨끗이 물로 씻어 햇볕에 어느정도 말린다음 소주를 부어 밀봉한다.
② 냉암소에서 3개월 정도 저장하여 찌꺼기는 건져낸다.
복용방법 : 하루 2~3회 (소주잔으로 한 잔씩) 공복에 마신다.
효 능 : 건위, 인후염, 임파선염, 편도선염, 폐결핵, 해열, 습진, 이질, 위염, 위궤양
가막사리 복용시 주의할 점

가막사리는 전체를 모두 약으로 사용하지만 채취할 시기는 꽃이 피었을때 채취 하여 사용합니다. 또한 가막사리가 어렸을때 순을 나물로 활용도 가능합니다.
가막사리 복용방법
1. 효소 담그기
가막사리의 경우에는 살균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설탕 보다는 조청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즉, 설탕 1, 조청 0.7, 식초 한방울로 효소를 담아 3개월 이상 잘 발효하여 발효액을 즐기시면 효능을 볼 수 있습니다.
설탕 1 + 조청 0.7 + 식초 한방울
2. 차로 먹기
가막사리가 꽃이 피었을때 채취 하여 잘 말려 건조 시킨 가막사리를 물 1리터에 말린 가막사리 5~10g을 넣어 달여 마시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3. 피부에 바르기
가막사리 말린 것을 가루로 내어 증상이 나타난 곳에 뿌려 맛사지를 해주거나 가막사리 생초를 찧어 증상이 나타난곳에 맛사지 하듯 발라주면 증상이 완화 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4. 나물로 먹기
가막사리의 어린 순을 잘라 나물로 사용하면 됩니다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맞이꽃(월견초)뿌리효능 (0) | 2021.11.12 |
---|---|
시계꽃효능 (0) | 2021.11.12 |
자연산 여정실 . 남정실 효능 (0) | 2021.11.11 |
배풍동효능 (0) | 2021.11.10 |
사철나무의 효능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