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산야초

산야초 식물이름

Jinsunmi5066 2021. 5. 12. 07:36

로젯트 근생엽 이름과 봄나물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어린순으로 겨울을 나는 이년초 (월년초) 로제트와 근생엽
이름알기.

대부분의 로제트와 근생엽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수있는데
먹을수 있는 식물과 먹을수 없는 식물의 이름을 알아보고
이른봄 봄나물을 채취하여 맛있는 나물 요리에 도전해 보세요~^*

#봄맞이(앵초과)

본초명 : 점지매(点地梅, 후롱초(喉曨草,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관상용.

어린순은 봄나물로 먹거나 국으로
끓여 먹는다.

전초를 약용 한다.
항염, 진통작용 등이 있다.

#꽃다지(십자화과)

본초명 : 정력자(葶藶子)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코딱지풀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끔 가지를 친다.
전체에 잔털이 빽빽이 나 있다.

유사종으로 열매에 털이 없는 것을 민꽃다지라고 한다.

어린잎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쓴다.

#꽃받이(지치과)

별명 : 나도꽃마리, 꽃마리
본초명 : 귀점등(鬼鮎燈)
유약반중초(柔弱斑衶草)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1년 또는 2년생 초본.

참꽃바지’와 달리 줄기에 누운 털이 있고 꽃이 교호로 나며 꽃차례 끝이 꼬리 모양으로 말리지 않으며 포엽이 크다.

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는다.

#꽃마리(지치과)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
식용. 약용.

꽃차례가 말려 있어 꽃마리라고 한다.

꽃따지 또는 꽃말이, 잣냉이라고도 한다.
어린순을 따서 나물로 먹는다.

꽃말은 ‘나를 잊지 마세요’ 또는 ‘나의 행복’이다.

#냉이(십자화과)

본초명 : 제채(薺菜)
두해살이풀.
식용. 약용.
독성여부 : 없다.

제(薺)·제채라고도 하며, 지방에 따라서는 나상구·나생이·나숭개·나시·나잉개·애이라고도 한다.

어린잎과 뿌리를 나물로 먹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 어린잎은 죽에 넣어 먹는다.
씨를 제(薺)라고 한다.

#개갓냉이(십자화가)

본초명 : 한채(蔊菜)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쇠냉이·졸속속이풀이라고도 한다. 식용·약용.

어린잎은 나물로 먹거나 김치를 담가 먹는다.

#좁쌀냉이(십자화과)

별명 : 선황새냉이, 민좁쌀냉이
북한명칭 : 좁쌀황새냉이
두해살이풀.

식용. 어린잎은 나물로 먹는다.

#황새냉이(십자화과)

본초명 : 만곡쇄미제(彎曲碎米薺)
쇄미제(碎米薺)
두해살이풀.

이른 봄에 새싹과 꽃봉오리가 달렸을 때 채취해 데쳐서 물에 담가두었다가 나물이나 무침, 튀김으로 먹는다.

#속속이풀(속속이풀)

본초명 : 풍화채(風花菜,
두해살이풀.
식용. 약용.

어린순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식용한다.

#망초(국화과)

소비봉(小飛蓬)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북한명칭 : 잔꽃풀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식용·약용.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큰망초(국화과)

북한명칭 : 잔꽃풀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본초명 : 기주일지호(祁州一枝蒿) 망초(亡草) 비봉(飛蓬)사설초(蛇舌草)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
봄에 연한 잎을 삶아 쌈을 싸 먹거나 국으로 먹는다. 겨울에 잎과 꽃을 튀겨 먹기도 하고 겨울잎차로 마시기도 한다.

#개망초(국화과)

일년봉(一年蓬)
두해살이풀.
식용. 약용.
독성여부 : 없다.

망국초·왜풀·넓은잎잔꽃풀·개암풀.
계란 후라이드를 닮아 계란꽃 이라고도 한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인 귀화식물이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봄망초(국화과)

별명 : 대구망초
두해살이풀 .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다.

꽃은 ‘개망초’보다 이른 5~6월에 흰색이나 연분홍색 꽃이핀다.
두상화는 개화 전에 밑을 향해 드리워지는 특징이 있다.

대구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대구망초’ 라고 하기도 한다.

봄에 연한 잎을 삶아 쌈을 싸 먹거나 국으로 먹는다.
겨울에 잎과 꽃을 튀겨먹기도 하고 겨울잎차로 마시기도 한다.

#주걱개망초(국화과)

북아메리카가 원산인 귀화식물.
식용·약용.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서양민들레(국화과)

식용. 약용.
어린잎과 뿌리를 나물이나 김치, 셀러드로 먹는다.

유럽원산의 귀화식물이다.
토종민들레와 서양민들레의 가장 확실한 구분법은 총포로 구별한다.

총포란 꽃대의 끝에서 꽃의 밑동을 싸고 있는 비늘 모양의 조각을 말하는데,

이 총포가 똑바로 서 있는 건 토종민들레, 뒤로 젖혀져 있는 것은 서양민들레다.

#흰민들레(국화과)

본초명 : 포공영(浦公英)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관상용.

동속약초 : 민들레. 산민들레. 서양민들레의 뿌리. 온포기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뿌리를 나물로 먹는다.

#지칭개(국화과)

별명 : 고마채(苦馬菜), 나미채
본조명 : 이호채(泥胡菜)
두해살이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유사종으로 흰 꽃이 피는 것을 흰지칭개라 한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데처서 쓴맛을 찬물에 우려내어 나물로 먹는다.

#씀바귀((국화과)

별명 : 활혈초(活血草), 은혈단(隱血丹)
본초명 : 황과채(黃瓜菜)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고채(苦菜)·유동(遊冬)·쓴나물·쓴귀물·씀배나물·씸배나물·싸랑부리·씀바기 등 여러 별칭을 가지고 있다.

유사종
흰 꽃이 피는 것을 흰씀바귀,
혀꽃이 8~10개이며 황색인 것을 꽃씀바귀라 한다.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쓴맛이 나는 흰 즙이 나온다. 토끼에게 먹이면 병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뿌리와 어린순을 데쳐서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 뒤에 무치거나 볶아 먹는다.
또한 잎을 따다 쌈을 싸 먹어도 좋다.

#방가지똥(국화과)

별명 : 청채(靑菜), 천향채(天香菜)

본초명 : 고거채(苦苣菜)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목초용.

엉겅퀴와 비슷하나 잎에 가시가 없다.
뿌리를 고거채근(苦苣菜根)이라 한다.
어린순은 데쳐서 쓴맛을 찬물에 우려내어 나물로 먹는다.
줄기와 잎은 가축의 사료로 훌륭하다.

#큰방가지똥(국화과)

본초명 : 고거채(苦苣菜) 속단국(續斷菊)

1년 또는 2년생 초본.
약용. 식용. 목초용.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
어린순은 데쳐서 쓴맛을 찬물에 우려내어 나물로 먹는다.

큰가지똥 방가지똥 비교.
모야모 황금낭화(창원)님 협찬.

#노랑선씀바귀(국화과)

별명 : 노런선씀바귀
본초명 : 사엽고채(絲葉苦菜), 산고매(山苦買), 산고채(山苦菜)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흰꽃이 피는것을 '선씀바귀'
노란색의 꽃이 피는 것을 ‘노랑선씀바귀’라고 하며 길가의 잔디밭에서 많이 발생한다.

농가에서 작물로 재배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뿌리를 시장에 출하하고 있다.

잎과 어린순을 생으로 먹거나 데쳐서 간장이나 된장, 고추장에 무쳐 먹는다. 뿌리째 캐서 무치거나 김치를 담기도 한다.

#사데풀(국화과)

별명 : 거매채(苣買菜), 거채(巨菜)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석쿠리·시투리라고도 한다.
방가지똥과 비슷하지만 사데풀의 잎은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을 자르면 하얀 유즙이 나온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고들빼기(국화과)

별명 : 소고거(小苦苣), 칠탁연(七托蓮)

생약명 : 고채(苦菜)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식용. 약용.

고채(苦菜) 씬나물이라고도 한다. 고채는 고도(苦筡)라고도 하며 이것이 고독바기가 되고 다시 고들빼기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대궁을 자르면 나오는 흰 즙이 젖과 같다 하여 젖나물이라고도 한다.

연한 잎과 뿌리를 나물로 먹고 김치를 담가 먹기도 한다.

#좀씀바귀(국화과)

별명 : 동굴잎씀바귀, 둥근잎씀바귀
본초명 : 고거(苦苣) 고채(苦菜)
약용. 식용.

잎과 어린순을 생으로 먹거나 데쳐서 간장이나 된장, 고추장에 무쳐 먹는다. 뿌리째 캐서 무치거나 김치를 담기도 한다.

#소리쟁이(마디풀과)

별명 : 야대황(野大黃)
여러해살이풀.
생약명 : 양제(羊蹄)
독성여부 : 없다.
약용. 식용. 목초용

독채(禿菜). 양제. 양제초. 소루쟁이. 긴잎소리쟁이. 송구지라고도 한다.

열매가 익으면 바람에 흔들려 소리가 난다 하여 소리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뿌리를 양제근(羊蹄根), 잎을 양제엽(羊蹄葉), 씨를 양제실(羊蹄實)이라 한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독성은 없으나 약간의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한 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하고 뿌리에는 초산이 들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돌소리쟁이(마디풀과)

별명 : 개대황.
본초명 : 금불환(金不換)
독성여부 : 없다.
여러해살이풀.
식용. 약용. 목초용.

구아대륙원산의 귀화식물.

어린이잎은 식용한다.
독성은 없으나 약간의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한 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하고 뿌리에는 초산이 들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질경이(질경이과)

별령 : 우유(牛遺), 당도(當道)
생약명 : 차전자(車前子)
여러해살이풀.
식용. 약용.
독성여부 : 없다.
많이 먹어도 무방하다.

길빵귀. 길장구. 배부장이. 베짜개. 배합조개. 부이(芣苢). 차과로초(車過路草). 차전초(車前草)라고도 한다.
생명력이 매우 강해 차 바퀴나 사람의 발에 짓밟혀도 다시 살아난다 하여 질긴 목숨이라는 뜻에서 질경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전해진다.

차전초는 수레바퀴 자국 속에서도 강인하게 번식한다 하여 붙은 이름이며, 〈본초강목〉에서는 이 풀이 소 발자국에서 나기 때문에 차전채(車前菜)라 이름하였다.
또 조개를 닮았다 하여 배합조개. 뱀조개씨로 불리며, 개구리가 까무러쳤을 때 질경이 잎을 덮어 두면 다시 살아나 도망쳤기 때문에 개구리잎이라는 이름도 있다.

어린잎과 뿌리는 봄에 나물로 먹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

온포기를 차전초, 씨를 차전자(車前子)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질경이는 백초중에 으뜸이라고 할만큼 예로부터 만병통치약으로 불릴 정도로 활용 범위가 넓고 약효도 뛰어난 식물이다.

#쑥부쟁이(국화과)

별명 : 쑥부장이, 권영초
본초명 : 마란(馬蘭) 산백국(山白菊)
전변국(田邊菊)
여러해살이풀.
식용. 약용.
독성여부 : 없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재배하기도 하고,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봄여름에 잎과 줄기를 삶아 말려두고 묵나물로 먹는다.
국으로 끓여 먹기도 하고 데쳐서 무쳐 먹고 쑥부쟁이밥을 해서 먹기도 한다.

#미국쑥부쟁이(국화과)

별명 : 중도국화, 털쑥부쟁이
여러해살이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2012년 환경부지정 생태교란 유해식물로 지정되었다.

#큰금계국(국화과)

본초명금계국(金鷄菊)
여러해살이풀.
약용. 관상용. 밀원식물.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황색의 꽃은 6-8월에 피고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북아메리카 원산인 다년초이다.

#벌개미취(국화과)

별명 : 고려개미취.
북한명 : 별개미취.
관상용, 식용.
여러해살이풀.

개미취의 일종으로 벌판에 피는 개미취라고 해서 벌개미취라고 한다.

대표종인 개미취는 깊은 산속 습지에 서식하는 것이 다르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는다.
우리나라에만 자라는 한국 특산종이다.

#원추천인국(국화과)

별명 : 루드베키아, 수잔루드베키아
2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

미국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7~8월에 피는 두상화는 지름이 6∼12cm 정도로 황색이거나 윗부분이 황색, 밑부분이 자갈색이고 꽃 색깔의 변이가 심하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샤스타데이지(국화과)

별명 : 여름구절초
원산지 : 미국, 유럽
여러해살이풀.
관상용.

#꽃양귀비(양귀비과)

별명 : 개양귀비.
북한명칭 : 애기아편꽃
본초명 : 금피화(錦被花) 여춘화(麗春花) 우미인초(虞美人草)
약용. 관상용.

다년생인 것들도 있지만 보통은 일년생 또는 이년생.

양귀비는 당나라 현종의 황후이며 최고의 미인이었던 양귀비에 비길 만큼 꽃이 아름답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양귀비는 마약인 아편의 원료로 법으로 엄격히 재배를 글지 하고 있지만,

개양귀비에는 마약성분인 모르핀, 파파베린, 코데인 등이 미량이어서 자유롭게 재배할 수 있다.

#끈끈이대나물(석죽과)

별명 : 세레네, 씨레네.
본초명 : 고설륜(高雪輪)
1년 또는 2년생 초본
관상용. 약용. 식용.

유럽이 원산지이며 관상식물로 들어온 귀화식물
어린잎은 식용한다.

#우단동자(석죽과)

별명 : 우단동자꽃.
영명 : 더스티밀러(Dusty Miller)
여러해살이풀.
유럽. 서아시아원산의 관상용.

#큰개불알풀(현삼과)

별명 : 큰봄까치꽃, 큰지금
북한명칭 : 왕지금꼬리풀
본초명 : 아랍백파파납(阿拉伯婆婆納)
파사파파납(波斯婆婆納)
2년생 초본.
약용. 식용. 관상용. 밀원식물.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
어린순은 식용한다.

유사종 비교 사진.
모야모 황금낭화(창원)님 협찬.

#광대나물(꿀풀과)

별명 : 코딱지풀, 코딱지나물
북한명칭 : 작은잎꽃수염풀
본초명 : 등룡초(燈龍草) 보개초(寶蓋草) 접골초(接骨草)
2년생 초본
약용. 식용. 관상용. 밀원식물.

‘자주광대나물’과 달리 포엽에 자루가 없고 꽃받침에 털이 밀생한다.

봄 · 초여름 연한 잎을 데쳐서 무치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꽃을 말려 차로 마시기도 한다.

유사종 비교.
모야모 황금낭화(창원)님 협찬.

#바위취(범의귀과)

별명 : 불이초(佛耳草), 천하엽(天荷葉)
생약명 : 호이초(虎耳草)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 약간 있다.

등이초(橙耳草). 범의귀·석하엽(石荷葉). 호이초(虎耳草)라고도 한다.

관상용. 약용. 식용.
6~7월에 어린순을 따서 쌈을 싸 먹기도 하며, 쪄서 나물로 먹기도 한다.

#배암차즈기(꿀풀과)

별명 : 배암배추, 뱀배추. 곰보배추.
북한명 : 칭뱀차조기
본초명 : 격동청(隔冬靑). 설견초(雪見草). 야지황(野地黃). 여지초(輿枝草), 천명정(天明精). 풍안초(風眼草)

2년생 초본
약용. 식용. 관상용.

꽃 모양이 마치 뱀이 입을 벌린 듯한
꽃이 마치 뱀이 입을 벌리고 있는 모습처럼 보여 배암차즈기라고 한다.
그러나 잎이 볼록볼록 꼭 곰보 같아서 ‘곰보배추’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농약과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물 관리 만으로 대량 재배가 가능하고
천연 항생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앞으로 기대가 되는 식물이다.

#개쑥갓(국화과)

생약명 : 대백정초(大白頂草)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약용. 식용.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잎의 모양이 쑥갓과 비슷하며 들에서 함부로 자란다고 하여 개쑥갓이라하며,
들쑥갓이라고도 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유립점나도나물(석죽과)

별명 : 양점나도나물.
두해살이풀.
북한명칭 : 끈끈이점나도나물.
본초명 : 구서권이(球序卷耳), 권이(卷耳)
약용. 식용.

봄에 어린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무쳐 먹는다. 된장국을 끓여 먹기도 하고 부추와 조갯살을 넣고 전을 부쳐 먹기도 한다.

유사종 비교.
모야모 황금낭화(창원)님 협찬.

#익모초(꿀풀과)

별명 : 고저초(苦低草), 익명(益明)
생약명 : 익모초(益母草)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약용.

육모초. 임모초. 익명초. 암눈비앗. 야천마(野天麻). 저마. 하고. 토질한. 충울. 개방아라고도 한다.

여성 질환에 좋고 눈을 밝게 한다 하여 익모(益母) 또는 익명(益明)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중대가리풀(국화과)

별명 : 계양초(鷄陽草), 산성초(散星草)
생약명 : 석호채(石胡菜)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약용. 식용.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개소시랑개비(장미과)

별명 : 큰양지꽃, 수소시랑개비
북한명칭 : 깃쇠스랑개비
본초명 : 복위릉채(伏委陵菜), 치자연(雉子筵)
독성여부 : 없다.
약용. 식용.

어린순과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된장국을 끓여 먹는다.

#주름잎(현삼과)

생약명 : 통천초(通泉草)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약용. 식용. 관상용. 밀원식물.

잎에 주름이 지는 특징이 있어 주름잎이라고 하며 주름잎풀. 고추풀. 선담배풀. 통천초. 일본통천초라고도 한다.

연한 부분이나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달맞이꽃(바늘꽃과)

생약명 : 월하향(月下香)키빈터, 들, 둑길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약용. 식용. 관상용.

일명 야래향(夜來香)이라고도 한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

봄에 근생엽은 무침이나 초무침, 조림으로 먹고 꽃잎은 말려서 차로 만들어 마신다.
꽃은 튀김이나 데쳐서 초무침이나 국으로 먹는다.

#황금낮달맞이(바늘꽃과)

관상용.

달맞이꽃 원예종으로 달맞이꽃은 저녁에 피어서 해뜰 무렵에 시들지만
황금낮달맞이꽃은 해뜰 무렵에 피어 해질 무렵에 오므라듭니다.

달맞이꽃이 피는 시기는 7월
황금낮달맞이꽃의 개화시기 5~6월.

#뱀딸기(장미과)

별명 : 용토주(龍吐珠), 지매(地莓)
생약명 : 사매(蛇莓)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 약간 있다.
약용. 식용. 관상용.

배암딸기·사매·지매·잠매(蠶莓)라고도 한다.

뱀딸기는 뱀이 먹는 딸기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사람이 먹는다고 해롭지는 않으나 그다지 맛이 없다.

전초를 사과초(蛇果草) 또는 정창초(疔瘡草)라고 한다.

어린순은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해서 녹즙으로 먹는다.

유사종 비교.
모야모 황금낭화(창원)님 협찬.

#매듭풀(콩과)

별명 : 조선계안초(朝鮮鷄眼草), 공모초(公母草)
생약명 : 계안초(鷄眼草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 없다.
사료용. 퇴비. 약용.

계안초·매돕풀이라고도 한다. 사료용·퇴비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옹한다.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의 효능  (0) 2021.05.13
아카시아꽃 효능과 꽃 활용  (0) 2021.05.13
방가지똥(고거체)왕고들빼기의 효능  (0) 2021.05.12
암에 좋은 방가지똥 (고거체)효능  (0) 2021.05.12
구기자나무의 효능  (0) 2021.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