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산야초

환삼덩굴

Jinsunmi5066 2020. 12. 10. 07:25

환삼덩굴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흑초(黑草), 내매초(來莓草)

툴바 메뉴

요약 테이블학명분포지역자생지역번식약효 부위생약명키과생활사채취기간취급요령특징독성여부1회 사용량주의사항

Humulus japonicus
전국 각지
산기슭, 들, 길가, 밭둑, 빈터
잎·뿌리
율초(葎草)
길이 2∼3m
삼과
한해살이 덩굴풀
여름∼가을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차며, 달고 쓰다.
없다.
잎·뿌리 6∼10g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목차접기

  1. 열매
  2. 특징 및 사용 방법
  3. 효능

마주나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5~12cm인 커다란 잎이 긴 잎자루 끝에 달려 손바닥처럼 5∼7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양면에 거친 털이 촘촘히 나며 뒷면에 황색 샘점이 있다.

7∼8월에 잔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암수딴그루의 단성화로 달려 핀다. 황록색인 수꽃은 길이 15~25cm의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리는데 꽃받침 조각과 수술은 각각 5개씩이다. 녹색인 암꽃은 짧은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리는데 꽃턱잎은 꽃이 핀 다음에 커지고 뒷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손바닥 모양의 맥이 몇 개 있다.

열매

9∼10월에 길이와 나비가 각각 4~5mm인 둥근 달걀꼴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가운데가 부풀어 렌즈처럼 되고 황갈색을 띠며 위쪽에 잔털이 있다.

환삼덩굴 열매

ⓒ 학술편수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범삼덩굴·율초·한삼덩굴·한삼·깔깔이풀이라고도 한다. 원줄기와 잎자루에 밑을 향한 갈고리 모양의 잔가시가 있어 거칠며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간다.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 공업용·약용으로 이용된다. 꽃을 율초화(葎草花), 뿌리를 율초근(葎草根)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줄기의 껍질은 섬유의 원료가 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효능

주로 비뇨기·이비인후과·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혈, 감기, 건위, 관격, 농가진, 방광결석, 복통, 설사, 소변불통, 소화불량, 암(위암), 옹종, 임파선염, 치질, 폐결핵, 학질

각주

 

각주 레이어 닫기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혁세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삼덩굴의 효능  (0) 2020.12.10
환삼덩굴 효능 먹는 방법  (0) 2020.12.10
가시엉겅퀴 효능 및 먹는법  (0) 2020.12.09
엉겅퀴  (0) 2020.12.09
방아잎(배초향, 곽향)의 효능  (0) 2020.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