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해박 |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산해박은 박주가리과 백미꽃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백미꽃속은 전 세계에 약 1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0종이 분포되어 있다.
길가에서 야생으로 자란다. 나무 밑이나 깊은 숲 속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굵은 수염뿌리가 방석처럼 퍼져 있으며 줄기는 60~70cm 높이로 자란다. 줄기에 마주나는 좁은 피침형 잎은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린다. 5~7월에 줄기 끝이나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자란 꽃대 끝의 취산꽃차례에 황갈색 꽃이 피는데 꽃자루가 길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각각 5개로 갈라진다. 개화기는 5~7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이다.
산해박은 조금만 먹어도 그 효능이 탁월하고 뛰어나기 때문에 산해박의 이름을 약의 왕이란 뜻의 ‘약왕(藥王)’, ‘영웅초(英雄草)’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2. 복용법: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한 환을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시 짓찧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3. 효능: 진통하고 해수를 멎게 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위통, 치통, 풍습 동통, 월경통, 만성 기관지염, 복수, 수종, 이질, 장염, 타박상, 습진, 담마진(두드러기),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주로 고독(蠱毒: 주혈흡충, 양충:恙蟲, 아메바, 박테리아 등에 의한 악성 질환), 전염병, 사악기(邪惡氣), 온학(溫瘧: 학질=역병=온역=말라리아 등)을 치료한다." 또 광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곽란을 치료한다." 치통을 치료할 수 있다." 홍붕(紅崩: 자궁이상출혈), 백대하를 치료한다."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고 뱀독을 푼다." 주의사항으로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주의해서 복용해야 한다. 산해박 Summary 굵은 수염뿌리가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늘며 딱딱하고 높이가 40∼100cm이며 마디 사이가 길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6∼12cm의 바소꼴 또는 줄 모양이며 끝이 매우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고 뒤로 약간 말린다. 잎 뒷면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고, 잎자루는 길이가 1∼3mm이다. 꽃은 8∼9월에 황색이 띤 갈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여러 개가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세모진 바소꼴이다.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세모진 좁은 달걀 모양이며, 부화관의 갈라진 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곧게 서며 수술대보다 짧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골돌이고 길이 6∼8cm의 좁은 바소꼴이며 털이 없다. 종자는 좁은 달걀 모양이고 좁은 날개가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흰색의 관모가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서장경(徐長卿)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혈압과 고지혈증을 내리고 진통·진정·항균 효과가 있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산해박의 효능 인한 복수/이질/복부팽만/대상포진/두드러기/습진/각종 창증/만성기관지염/장염/피로감/ 강장작용/이명증/현훈/독사에 물린 상처 등. <네이버백과사전 발췌> 산해박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 신경쇠약, 두통, 불면증, 건망증, 피로감, 불안감 꿀로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10-15g씩 하루 2번 먹는다. 불안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신경쇠약증 환자 300명을 위의 방법으로 치료한 결과 유효율이 94.1%였다. [고려의학 제1권 496면] ■ 요통, 위한기통, 간경변에 의한 복수의 치료 [중초약사방토법전비전집(中草藥士方土法戰備專輯)] ■ 복부 팽만의 치료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 치통의 치료 500ml로 바짝 졸인다. 또는 뿌리로 가루약을 만든다. 통증이 있을 때 먼저 약물로 1~2분 입을 헹군 다음 30ml 달인 물을 복용한다. 가루약을 복용할 경우에는 한 번에 0.4~3.75g씩 1일 2회 복용한다. [전전선편(全展選編), 구강질병(口腔疾病)] ■ 월경통의 치료 술 150g에 담가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 정신분열(제곡:啼哭, 비상:悲傷, 황홀:恍惚)의 치료 ■ 피부 소양(搔癢: 가려움증)의 치료 달여서 먹을 때 너무 오래 달이면 정유 성분이 날아가 버리므로 20분 이상 달이지 않는 것이 좋다. 명현 반응이 있어 몸이 너무 허약한 사람은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산해박은 줄기가 곧게 서고 잎이나 줄기도 가늘어 여위어 보인다. 뿌리도 캐어 보면 그다지 많지 않다. 발견하기도 쉽지 않다. |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대 효능및 재배방법 (0) | 2020.06.24 |
---|---|
접시꽃 효능 (0) | 2020.06.24 |
눈개승마(삼나물) 재배방법 (0) | 2020.06.23 |
봄나물 효능 및 요리방법 (0) | 2020.06.23 |
속단의 효능 (0) | 2020.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