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하고 좋은 인간관계 . ◎
행복하고 좋은 인간관계
어떤 맹인이 스승에게 밤 늦도록 가르침을
받다가 집을 나서자 스승은 맹인에게
등불을 들려 주면서 조심해서 가라고 당부했습니다.
맹인은 어이가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맹인에게 등불이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스승에게 물었습니다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2%282292%29%2Ejpg)
그러자 스승은 "자네는 보지 못하지만, 다른 사람이
자네가 든 등불을 보고 피해 갈 것이 아닌가?" 하고
일러 주었습니다.
그래서 맹인은 스승의 깊은 마음에 감복하면서
등불을 들고 자기 집으로 향했습니다. 한참 길을
가다가 맹인은 어떤 사람과 심하게 충돌하였습니다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3%281783%29%2Ejpg)
맹인의 손에는 등은 들려 있었지만 불이 꺼져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관계 안에서 존재하고 살아갑니다.
우리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 윗 사람과 아랫 사람의
관계, 형제자매와의 관계, 이웃과 이웃과의 관계 안에서
살아 가고 있습니다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4%281559%29%2Ejpg)
따라서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유지하지 못할 때
우리는 소외를 맛 보고 외로움을 느끼며 때로는
불화를일으키고 불행을 자초합니다.
이야기 속에서 스승은 타인을 먼저 생각함으로써
자신을 지키는 지혜의 등불을 맹인에게 들려 주었습니다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5%281355%29%2Ejpg)
그러나 맹인은 그 등불을 보존하지 못했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에서 충돌을 일으켰습니다. 그리고 맹인
과 충돌한 사람은 비록 눈은 뜨고 있었지만 무질서한
인관관계 속에서 등불을 마련하는 여유와 지혜가
모자랐던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6%281201%29%2Ejpg)
행복한 인간관계, 즉 바람직한 인간관계란
인격적인 관계라야 하며 나보다 남을 먼저생각할 때
이루어 지는 것입니다.
선인장처럼 자기보호를 위한 가시를 곤두세우고
타인의 삶을 지켜 보기만 한다면 우리는 사람들의.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7%281024%29%2Ejpg)
사회 속에서 언제까지나 이방인으로 머물게 될 것이며
더군다나 서로를 감싸 안는 따스한 관계를 유지할 수가
없습니다.
원만한 인간관계, 바람직한 인간관계는 마음에서
우러 나오는 상호존중에 그 바탕을 두기 때문입니다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8%28879%29%2Ejpg)
따라서, 우리는 자신보다는 타인을 위한 등불을 들고
살아가므로써 바람직한 인간관계 안에서 우리의 삶을
정립해야 하지않나 생각해 봅니다.
= 좋은 글 =<받은메일 옮김>
![](http://bbs.catholic.or.kr/attbox/bbs/include/readImg.asp?gubun=100&maingroup=2&filenm=9%28770%29%2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