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산화효소란?
1. 산소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물질로 생명을 이어 가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분명한 사실이다. 들이 마셨을 경우에는 죽음에 이를 정도의 독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또 몸안에서 균형을 갖지 못하고 떠돌아 다니면서 오히려 우리 몸을 병들게 하고 죽음에까지 이르게 하는 산소가 있다. 이것이 바로 노화의 원인으로 주목받는 ‘활성산소(free radical)'이다.
2. 활성산소는 인체내 침투한 병원균을 살균하는 등 긍정적인 작용도 하지만 과도하게 발생시 문제가 된다. 지방의 대사에 의존하는데, 탄수화물은 세포 속에 산소가 충분할 때 훨씬 많은 에너지를 생산하며 특히 지방은 세포 속에서 산화되어야만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간은 세포 생산을 위한 체내 산소대사의 과정에서 부산물로서 유해산소(활성산소)가 생겨난다.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항산화효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방법이 있다. 신체의 노화현상을 지연시킨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항산화효소를 많이 함유한 음식을 자주 섭취하면 되리라 생각됩니다. 1. 과일 소비량이 증가하여 체내에 활성산소가 증가 하더라도 활성산소의 증가량 이상으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효소의 분비가 촉진되어 장기적인 체력훈련은 세포의 노화방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관하여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다가 갑자기 격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항산화효소의 분비량에 변화가 없지만 개인의 운동능령에 맞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장기간 동안 실시하면 항산화효소의 분비가 촉진된다는 것이다. 높아지지만 개인에게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꾸준히 하면 면역능력이 향상되어 그 흔한 감기에도 쉽게 걸리지 않게 된다는 사실과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 해야한다. 참가할경우 이상과 같은 역작용으로 더욱 노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우리 달림이들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식품
항산화효소가 뛰어난 보리새싹
1. 밀은 서양의 주식이며 보리는 동양에서 주로 이용하는 곡류이지만 쌀이 주식인 우리나라는 생활이 풍부해 지면서 보리밥 조차 평상시 먹기 힘들고 가끔 별미로 먹는 상황이 되었는데, 옛날 보리고개가 있던 시절에는 먹을 곡식이 없어 보리를 먹으며 보리새순(새싹)을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기도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보리고개 시절에는 없어서 못 먹던 보리새순이 최근 들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뛰어난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보리새순(맥류약엽,麥類若葉) 녹즙은 일본의 의사이며 약사인 요시히데 하기와라(萩原義秀)박사에 의해 보리 새순이 성인병 등 질병 예방면에서 가장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발견하여 일본에서는 청즙협회가 만들어질 정도로 클로렐라와 함께 가장 인기 있는 건강식품으로 자리 매김을 하였다.
우유의 55배 이상, 시금치의 18배 이상 되는 칼륨과 우유의 11배가 넘는 칼슘이 들어 있고, 철분도 시금치의 5배 가까이 들어 있으며, 비타민 C의 경우 보리새싹 100g중 338.8㎎으로 시금치의 3배, 사과의 60배에 해당한다고 한다. 이외에도 마그네슘, 구리, 망간, 아연 등 많은 종류의 미네랄이 들어있어 영양학적으로 보기 드문 천연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를 분해하는 항산화효소(SOD : Superoxide Dismutase)를 다량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 C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성인병 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하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에게 특히 유익하다고 한다.
이러한 음식으로 인하여 신체가 산성화되면 병에 대한 저항력도 떨어지고 신체 기능도 저하돼 건강을 해치기 쉽다. 그러나 하기와라 박사의 발표에 의하면 보리새순의 알칼리 함유량이 100g중 66.4㎎으로 시금치 39.6㎎, 토마토 5.6㎎, 샐러리 8.4㎎, 바나나 7.9㎎, 양배추 2.7㎎와 같은 다른 식품의 알칼리 함유량보다 훨씬 뛰어나다고 한다. 날 것으로 먹는 사람을 주변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최근 보리새순이 항산화효소인 SOD가 풍부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일본의 맥류약엽(보리새순) 청즙을 수입하여 먹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없고, 해충이 번식을 하기 전에 수확하기 때문에 살충제 등의 오염을 예방할 수 있어 자연 그대로 즙을 내거나 날 것으로 먹기에는 어느 녹즙 재료보다 뛰어나다고 한다 (출처 : '항산화효소(SOD)가 뛰어난 보리새순' - 네이버 지식iN)
보리새싹이 병든 몸을 고친다 세기 자연요법가로 세계적인 명성을 날린 앤 위그모어(Ann Wigmore) 박사는 본디 리투아니아 출신으로 건강한 편이었지만 전쟁이 터져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건강이 극도로 악화되었다. 식단이 자연식에서콜라, 도너츠, 설탕, 햄버거 등으로 바뀐 것이 그원인이었다. 위그모어는 미국에 정착한지1년도 채 안 되어 4개의 이를 뽑아야 했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자동차 사고를 당해 병원으로부터 다리를 절단해야 한다는 통보를 받았다. 밀순으로 썩어가는 다리를 살려 이때 위그모어는 수술을 거부하고, 자연요법을 시작했다. 마당에서 햇볕을 쬐면서 식물의 푸른잎을 먹는 것이 그의 방법이다. 그러나 겨울이 되어 채소 구하기가 힘들자 실내에서 새싹을 길러 먹기로 했다. 그러던 어느날 새끼 고양이 한 마리가 여러 풀을 하나씩 냄새를 맡더니 밀순을 골라 씹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바로 ‘그거다. 동물은 본능적으로 무엇이 좋은 것인지 아는 법이다’하고 무릅을 치면서 당장에 밀의 새싹을 길러 먹기 시작했다. 위그모어는 밀새싹을 먹은 뒤로 원기를 회복했고 다리의 상처가 아물어갔다. 그는 건강을 완전히 회복한 뒤 병원을 다시 찾아가 검사를 했다. 검사 결과 뼈가 완전히 접합한 것이 나타났다. 그때부터 위그모어는 본격적으로 밀새싹을 연구하고 보급하기 시작했다. 1958년에 보스턴에 히포크라테스 건강센타를 설립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밀새싹 생식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이 건강센터에는 존레논의 부인인 오노 요코 여사를 비롯한 많은 사회명사들이 ?아와 건강을 회복했고, 그 덕분에 위그모어의 밀새싹요법은 세계적인 유명세를 탔다. 위그모어의 밀새싹요법은 당뇨병, 고혈압, 비만, 위염, 위궤양, 췌장 및 간질환, 천식, 녹내장, 습진, 피부질환, 변비, 치질, 대장염, 관절염, 빈혈, 구취, 여성질환 등 수없이 많은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했다고 한다. 의그모어 박사는 1993년 불의의 화재사고로 84세의 생애를 마감하였다. 이 사고가 아니였다면 100세 이상의 장수를 누렸을 것으로 추측된다. 수은 중독으로 몸이 망가진 하기와라 박사 서양에서 밀새싹으로 효능이 발견되었을 무렵, 일본에서는 요시히데 하기와라 박사(의사겸 약사)에 의해 보리새싹의 효능이 규명되었다. 구마모토 대학 약학부를 졸업한 그는 고향에서 약국을 개업하였다. 약국을 하면서 유기수은제로 만든 무좀약이 불티나게 팔려 떼돈을 번 그는 오사카로 옮겨 야마시로 제약회사를 설립했고, 그의 회사는 일본 최대의 제약회사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타이이타이병(미나마타시의 한 공장이 흘려보낸 유기수은에 오염된 어패류를 먹고 주민들이 중추신경이 마비되고 사망하게 된 유명한 공해병)의 여파로 유기수은제의 판매가 금지되면서 회사는 파산 직전에 이르렀고, 건강도 심각할 정도로 악화되었다. 그는 잠을 겨우 3시간씩 잠을 자면서 연구에 몰두한 데다, 개발과정에서 유기수은에 많이 노출되어 중독 증상을 보이고 있었다. 피부는 거칠어지고 코에는 붉은 뾰루지가 돋아났다. 치조 농루로 이를 뽑아야 했고 38세의 나이에 머리카락에는 서리가 내렸다. 그는 약사답게 비타민제를 포함한 온갖 영양제와 호르몬제를 복용하였으나 아무런 효과를 보지 못했다. 결국 야마시로 제약회사는 1964년에 부도가 나고 말았다. 보리새싹에는 생리활성물질이 듬뿍! 하기와라 박사는 자연의학으로 관심을 돌렸다. 오랜 연구 끝에 식물의 생즙이야말로 최상의 건강식임을 알아냈다. 그러던 어느날 그는 한 축산 농가를 방문해 호밀의 싹을 소에게 먹이면 우유 생산이 늘어나고 소가 젖을 낼 수 있는 기간도 5~6년이나 늘어난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 뒤 하기와라 박사는 온갖 풀의 성분연구에 착수해 10년에 걸쳐 300여종 이상의 채소와 곡류 새싹을 분석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보리새싹은 생리활성 성분이 가장 풍부하다. 보리새싹에는 칼륨이 우유보다 55배 이상, 시금치보다 18배 이상 들어 있고, 칼슘은 우유의 11배가 넘으며, 철분 또한 시금치보다 5배나 더 많다. 또한 보리는 섭씨 15℃ 이하에서 새싹으로 자라기 때문에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서식할 수 없다.” 지금까지의 실험을 통해 밝혀진 바에 의하면, 보리새싹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성장을 돕고, 면역 기능을 강화하며,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한다. 또한 스테미너를 강화하고, 발암인자를 억제하며, 소화성 궤양과 피부질환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위그모어, 하기와라 등 걸출한 자연의학자들은 연구동기는 달랐지만 결론은 같았다. 푸른빛을 띤 식물은 인간의 몸에 이로운데, 특히 식물의 새싹은 성장이 다된 식물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비타민과 영양소가 풍부하다는 것이다. 식물 중에서도 밀과 보리의 새싹이 가장 왕성한 생명력을 자랑한다고 한다. 왜 요즘 자연식 동호인들이 굳이 새싹을 틔워 먹는지 그 이유가 분명하다. 다시 말해 식물의 새싹에는 무언가 특별한 힘이 있다.
|
'건강.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산딸기 오디 사과 천연발효 식초의 효능 ~ (0) | 2016.04.11 |
---|---|
[스크랩] 천연식초의 효능 알아보기 (0) | 2016.04.11 |
[스크랩] ◆이땅의 약초효능 총정리◆ (0) | 2016.04.08 |
[스크랩] 5대 항암 약초는...|◈─……약초건강효능 (0) | 2016.04.08 |
[스크랩] 봄나물의 종류. 채취시기 봄나물 요리법 (0) | 2016.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