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비름
쇠비름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오행초, 五行草, 장명현, 長命莧, 도둑풀, 말비름, 마치채, 馬齒菜, 산산채, 酸酸菜, 마치현, 馬齒莧
툴바 메뉴
요약 테이블학명분포지역자생지역번식약효 부위생약명키과생활사채취기간취급요령특징독성여부1회 사용량주의사항
Portulaca oleracea |
전국 각지 |
길가·밭·빈터 |
분주, 씨 |
온포기 |
마치현(馬齒莧) |
30cm 정도 |
쇠비름과 |
한해살이풀 |
5~8월 |
약간 쪄서 햇볕에 말려 쓴다. |
차며, 시다. |
없다. |
온포기 8~10g |
당뇨병에는 6개월 이상 복용한다. |
목차접기
- 잎
- 꽃
- 열매
- 특징 및 사용 방법
- 효능
잎
마주나거나 어긋나는데 가지 끝에서는 돌려난 것처럼 보인다. 길이 2cm 정도의 거꿀달걀꼴로서 구두주걱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은 두텁고 다소 육질이다. *잎자루는 없다.
꽃
6월부터 가을까지 황색의 오판화가 가지 끝에 3~5개씩 모여 달려 핀다. 꽃자루는 없으며 양성화이다. 아침에 피었다가 한낮에 오므라들며 그늘지거나 비오는 날에는 꽃봉오리를 닫는다. 꽃받침 조각은 2개이고 꽃잎은 5개이다. 7~1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대는 5개이다. 씨방은 중위이다.
열매
6~9월에 타원형의 개과가 꽃받침에 싸여 달리는데 도토리 모양을 닮았다. 열매가 익으면 가로로 갈라져 뚜껑처럼 열리고 검은 씨가 많이 나온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오행초·돼지풀·도둑풀·말비름·마치채(馬齒菜)·산산채(酸酸菜)·장명채(長命菜)·마치현이라고도 한다. 뿌리는 흰색, 줄기는 붉은색, 잎은 푸른색, 꽃은 노란색, 씨앗은 검은색으로 5가지 색을 가지고 있어 오행초라 부른다. 또한 오래 먹으면 장수하고 늙어도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장명채라는 이름이 붙었다. 줄기는 육질이고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이 매끈하다. 줄기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땅 위를 기어 비스듬히 옆으로 퍼지면서 자란다. 뿌리는 희지만 손으로 훑거나 돌에 짓이기면 붉게 변한다. 일명 육자엽채(肉子葉菜)라고 한다. 사료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쓴다. 옛날에는 채소로 밭에 가꾸기도 하였다. 약으로 쓸 때는 증기에 약간 쪄서 햇볕에 말려 두었다가 탕 또는 환제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효능
주로 신진대사·부인과·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관절염, 구충(촌충), 냉병, 농혈리, 다뇨증, 단독, 당뇨병, 대장염, 대하증, 방광염, 변비, 변혈증, 부종, 사마귀, 산후변혈, 선창, 설사, 소변불리, 소변불통, 소화불량, 수족궐랭, 수혈대용, 습진, 식도염, 악창, 열독증, 옹종, 요도염, 요혈, 월경불순(월경과다), 위염, 음극사양, 음창, 이뇨, 이완출혈, 이질, 임파선염, 저혈압, 적백리, 적취, 종창, 중독, 창종, 치질, 칠창, 투진, 편도선염, 폐열, 풍열, 피부미용(거칠어진 피부-고운 살결을 원할 때), 피부병, 피부염, 해열, 행혈, 혈림
소아질환: 감적, 경풍
각주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