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산야초

밀싹, 우수한 기능성 물질로 간 건강 개선에 효능

Jinsunmi5066 2020. 10. 12. 07:23

 

 

2020107(조간)부터 보도될 수 있도록 협조 바랍니다.

* 인터넷, 방송, 통신은 10611시부터 보도 가능

배포일시

2020.10. 6.(4)

담당부서

작물기초기반과

밀연구팀

담당과장

박기도 과장

(063-238-5300)

박태일 팀장

(063-238-5450)

담 당 자

김현영 연구사

(063-238-5334)

김경훈 연구사

(063-238-5457)

 

 

밀싹, 우수한 기능성 물질로 건강 개선에 효능

- 간세포 항산화 성분 활성산소↓, 밀싹용으로 새금강 적합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밀싹에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핵심 기능성 물질이 있음을 과학적으로 연구해 밝히고, 비알코올성 간 기능 손상을 개선하는 효능을 확인했다.

○ 연구진이 밀싹 건조물을 분석한 결과, 항산화 및 생리활성 능력이 뛰어난 이소오리엔틴1) 과 플라본배당체 등의 폴리페놀류가 100g당 최대 약 1,360mg 들어 있었다.

운동력 및 지구력 증진 효능이 있는 폴리코사놀 일종의 옥타코사놀2) 450mg 함유돼 있었다.

 

‘비알코올성 간 기능 개선 효능 평가’ 실험에서는 인체 유래 간세포에 산화적스트레스(TBHP)3) 를 유발하고 밀싹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간세포 생존력과 항산화 성분(글루타치온)은 증가하고, 대표적인 활성산소(ROS)4) 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밀싹 추출물을 50ppm(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대조군(무처리)비해 간세포 내 항산화 성분인 글루타치온5) 함량은 약 50% 상 증가했으며 활성산소(ROS)40% 이상 감소했다.

- 모든 처리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없었다.

 

밀싹용 품종으로는 잎 생장 속도가 빠르고 수확량이 많으며 기능성물질 함량이 우수한 ‘새금강’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 ‘새금강’은 다른 품종(‘조경’ 등) 대비 유용성분은 35%, 수확량은 20% 이상 많음

밀싹의 기능성 물질 함량은 시설재배 할 경우 싹이 나고 912일이 지난 뒤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노지재배 시에는 심은 뒤 20일 전후로 싹 길이가 1520cm일 때 기능성 물질 함량이 가장 높았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연구 결과를 특허출원6) 하고, SCI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 또한,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해 녹즙, 분말 등 가공품을 공동개발하고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김상남 원장은 “이번 밀싹 연구결과로 간 건강에 탁월한 건강기능식품 소재개발이 기대된다.”라며,

“앞으로 밀싹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평가를 통해 국산 식량작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실용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참고자료] 밀싹 추출물의 신규 및 주요 기능성 물질 등

 

보도자료 관련 문의나 취재는

농촌진흥청 작물기초기반과 김현영 농업연구사(063-238-5334)에게 연락바랍니다.

 

<참고자료>

참고-1

 

밀싹 추출물의 주요 기능성 물질

* 밀싹 추출물의 핵심 폴리페놀은 이소오리엔틴 및 이소사프토사이드(플라본배당체)로 구명하였으며, 이 성분들은 밀 종자보다 밀싹에서 약 50배 이상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음

* 밀싹 추출물의 핵심 폴리코사놀은 옥타코사놀로 구명하였으며, 이 성분들은 밀 종자보다 밀싹에서 약 30배 이상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음

 

참고-2

 

밀싹 추출물의 비알코올성 건강 효능 작용기작 구명

 

 

 

 

 

밀싹 추출물의 산화적스트레스(TBHP)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과

밀싹 추출물의 산화적스트레스(TBHP)에 대한 활성산소(ROS) 생성 억제 효과

 

 

 

 

밀싹 추출물 처리에 따른 글루타치온 함량

 

 

* 인체 유래 간세포 이용 밀싹 추출물의 활성을 평가한 결과 산화적스트레스에 의한 밀싹 추출물 처리 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고, ROS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항산화 성분인 글루타치온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참고-3

 

국내산 밀싹 활용‘새금강’밀의 품질 특성

* 새금강 품종이 다른 품종과 비교하였을 때 폴리코사놀 함량이 높았으며(조경<새금강), 재배 기간별 유용물질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911일 재배한 밀싹의 폴리코사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1)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 새싹밀에 특이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계열의 기능성 물질

2) 옥타코사놀(octacosanol] ): 탄소수 28개의 천연 포화고급 지방족 알코올의 일종으로 폴리코사놀류에 속한다. 운동력 및 지구력 증진 효능이 있는 것으로 건강기능성 물질로 고시된 기능성 물질

3) 산화적스트레스(TBHP; Tert-Butyl hydroperoxide): 세포내 산화작용을 특이적으로 일으키는 물질

4)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 체내 생성되는 것으로 산화력이 강한 산소. 활성산소는 체내의 정상 세포를 공격하여 노화나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5) 글루타치온(Glutathione): 세포의 노화 및 손상을 일으키는 활성산소(Radical)를 제거하는 인체 세포 내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

6) 특허출원: ‘새싹 밀 유래 간 기능 개선 효능 조성물(10-2019-0166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