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산야초

애기똥풀의 효능

Jinsunmi5066 2020. 5. 26. 07:15

애기똥풀 효능

 

 

▶ 항암작용(위암, 식도암, 간암, 담도암, 피부암), 진통작용, 진해작용, 이뇨작용, 해독작용, 억균작용, 백일해, 간염, 황달, 웨궤양, 종기, 뱀이나 벌레에 물린데, 위통, 버짐, 풍습성사지마비동통, 사마귀, 만성기관지염, 황달, 무좀, 옻오른데, 급만성위장염, 위십이지장궤양, 담낭염으로 복부동통, 이질, 황달형간염, 피부궤양, 결핵, 옴이나 버짐, 풍습성(風濕性) 사지마비, 동통, 피부가 가려운데, 부종, 옴, 헌데, 사교창, 기침, 기관지염을 다스리는 백굴채

양귀비과의 애기똥풀은 전세계에 2종이며 우리나라에는 1개의 변종이 자라고 있다. 마을 부근에서 흔히 볼수 있는 두해살이 월년초이다. 줄기를 자르면 노란 주황빛의 즙이 나오는데 그 빛깔이 마치 아기가 똥을 싼 색과 같다고 하여 '애기똥풀’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인가에 가까운곳에서도 잘 자라며 약간 그늘지고 습한곳을 좋아한다. 꽃잎은 정확히 4장이며 열매는 가느다란 삭과의 기둥모양이 하늘을 보고 서있다. 그 모습이 마치 바닷가에 자라는 함초와 비슷하게 생겼다. 까치다리, 젖풀, 씨아똥으로 부르기도 한다.

애기똥풀의 뿌리를 백굴채근(白屈菜根)이라고 하여 약으로 사용한다.

애기똥풀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백굴채[白屈菜: 구황본초(救荒本草)], 지황련[地黃連, 우금화:牛金花: 식물명휘(植物名彙)], 토황련[土黃連: 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 팔보긴[八步緊, 단장초:斷腸草, 산서과:山西瓜: 요녕경제식물지(遼寧經濟植物誌)], 웅황초[雄黃草: 섬서중약지(陝西中藥誌)], 산황련[山黃連: 요녕상용중초약수책(遼寧常用中草藥手冊)], 가황련[假黃連: 동북상용중초약수책(東北常用中草藥手冊)], 소야인혈초[小野人血草: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까치다리, 젖풀, 씨아똥, 애기똥풀 등으로 부른다.

[채취]


<지상부>

5~7월의 개화기에 지상 부분을 채취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어 말린다.

<뿌리>

여름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쓴다.

[성미]

<지상부>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이 있다.

<뿌리>

맛은 쓰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다.

[약효와 주치]

<지상부>

진통하고 해수를 멈추며 이뇨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위장의 동통, 황달, 수종, 개선창종(疥癬瘡腫), 뱀, 벌레에 물린 것을 치료한다.

<뿌리>

어혈을 없애고 부종을 내리며 지혈, 지통하는 효능이 있다. 노상어혈(勞傷瘀血), 월경불순, 월경통, 소화성 궤양병, 뱀에 물린 상처 등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지상부>

내복: 0.5~2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즙액을 바른다.

<뿌리>

내복: 1~3돈을 달여서 복용한다.


애기똥풀에 대해 안덕균의《CD-ROM 한국의 약초》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백굴채(白屈菜)

[기원]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애기똥풀 Chelidonium majas var. asiaticum(Hara) Ohwi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쓰고 매우며, 약성은 따뜻하다. 독이 있다.

[효능주치]

진통지해(鎭痛止咳), 이뇨해독(利尿解毒)한다.

[임상응용]

1. 급만성위장염, 위십이지장궤양, 담낭염으로 복부동통, 이질이 있는 것을 완화시킨다.

2. 황달형간염, 피부궤양, 결핵, 옴이나 버짐 등에 쓰이고, 풍습성(風濕性) 사지마비, 동통을 치료한다.

[임상연구]

1. 백일해에 호전반응을 보였고, 만성기관지염에 감초(甘草)를 넣고 달여서 복용하고 현저한 효과를 나타냈다.

2. 사마귀에 신선한 즙액을 붙여서 치료한다. 지유(地楡)와 같이 사용하여 위장평활근경련으로 인한 동통을 풀어준다.

[약리]

평활근의 경련을 억제시키므로 경련을 풀어주고, 기타 alkaloid는 장관연동 및 타액 분비촉진을 일으키며, 항종양작용은 유사분열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그람양성균, 결핵균, 피부진균억제작용이 있다.

[화학성분]

chelidonine, protopine, stylopine, allocryptopine, chelirubin, sanguinarine, chelerythrine, coptisine, stylopin β-methohydroxide, berberine, corysamine, sparteine, hydroxysanguinarine, hydroxychelidonine, homochelidonine, chelidoniol, choline, methylamine, histamine, tyrami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애기똥풀인 백굴채에 대해서 <한국항암본초>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백굴채(白屈菜: Herba Chelidonii)

[성분]


전초에 0.97-1.87%의 Alkaloid를 함유한다. 알칼로이드(Alkaloid): Chelidonine, Chelerythrine, Protopine, Sanguinarine, Methoxychelidonine, α-. β-, r-Homochelidonine, Spartenine, Oxychelidonine, Oxysanguinarine, Coptisine, 이상의 알칼로이드들은 Chelidon산, 사과 산, 레몬 산, 호박 산과 염으로 결합된다. 이외에도 전초에는 Allocryptopine, Berberine, Choline, Histament, Tyramine, Saponine, Flavonol, Vitamin A와 C, Carotine 등이 있다. 유즙에는 Chelidonine, Chelerythrine, Protopine, 수지 및 지유가 있다.

[일반약리]


1, Chelidonin은 각종 평활근(平滑筋)을 억제하며 해경작용이 있다.

2, Chelidonine은 Morphine와 비슷한 진통작용이 있다. 백굴채 주사액은 mouse에 대하여 진정작용이 있다.

3, Chelidonine 주사액을 mouse의 복강내에 주입하니 중추신경계통과 항 Histament 활성이 보여지며 진해(鎭咳), 평천(平喘), 거담(祛痰) 작용이 있었다.

4, 백굴채 조제에 폐렴균, 유감간균, 결핵균, 황색포도구균 및 기타 gram 양성균, 피부선균, 유감 virus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었다.

[항암약리]


1, 백굴채에 들어 있는 Chelidonine은 유사분열을 중지시키는 독작용이 있다. 체외에서 백굴채 5mg/ml 제량의 경우에는 배양한 Eeca-109(식도암세포-109)에 대하여 하루 그의 50%를 죽일 수 있었다.

2, 백굴채 달인 약재는 mouse 백혈구의 식균능력을 강하게 한다.

3, Chelidonine은 mouse의 Sarcoma-180, Ehrlich 종류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독성이 가열하고 부작용이 크나 백굴채 40% 메탄올 추출액의 항암작용은 Chelidonine보다 좋다. Protopine도 항암작용이 있다.

[항암임상응용]


1, 식도암, 위암에는 정향, 현호색(玄胡索), 전갈(全蝎), 오공(蜈蚣: 지네)등을 배합한다.

2, 간암, 담도암에는 인진(茵蔯), 산치자(山梔子), 반지련(半枝蓮: 채송화), 차전자(車前子: 질경이씨)등을 배합한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 사전>에서는 백굴채를 이렇게 적고 있다.

[백굴채(白屈菜) //젖풀// [본초]

아편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젖풀(Chelidonium majus L.)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낮은 산기슭이나 산골짜기, 길섶에서 자란다. 여름철 꽃이 필 때 전초를 베어 햇볕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이 있다. 통증과 기침을 멈추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해독한다. 약리실험에서 달임약과 즙액이 살균작용, 이담작용, 항암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위통, 황달, 부종, 옴, 헌데, 사교창 등에 쓴다. 위암, 피부암 등에도 쓴다. 하루 2~6그램을 달여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때는 생것을 짓찧어 붙인다.]

주의사항
으로 애기똥풀을 너무 많이 쓰면 부작용으로 경련, 점막의 염증, 요혈, 변혈, 눈동자의 수축, 마비, 혼수 상태, 호흡마비가 올 수 있다. 이때에는 위를 씻어내고 설사약을 먹어서 빨리 독성분이 몸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야 한다.

애기똥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옻 오른 데, 피부가 가려운 데

애기똥풀 생즙 5ml, 박하 생즙 9ml를 90% 알코올 3ml에 섞어서 국소에 바른다.

임상자료:
옻피부염 환자 38명을 위의 방법으로 치료한 결과 모두 일주일 안에 나았다. 가려움을 타는 느낌은 치료 2~3일 사이에 멎었고 부종, 물집, 고름집, 진물 등 증상은 늦어도 일주일 안에 없어졌다. [고려의학 제 2권 164면]

2, 무좀

애기똥풀(또는 마른 애기똥풀) 100g에 끓인물 1리터를 붓고 20분 정도 우려낸다. 다음 이 애기똥풀액을 대야에 붓고 더운물을 타서 15~20분 동안 놓아둔다. 이 물로 무좀이 생긴 발을 10번 정도 찜질하면 낫는다. [
건강상식문답 478면]

3, 수종, 황달

애기똥풀, 민들레, 자리공, 취초근(臭草根), 인진(茵陳)을 달여서 복용한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4, 장, 위의 동통

애기똥풀, 정향(丁香), 오적골(烏賊骨), 절패모(浙貝母), 담남성(膽南星), 동과인(冬瓜仁)을 달여서 먹는다. [사천중약지(四川中藥誌]

5, 창종

신선한 애기똥풀을 짓찧어 환부에 바른다. [
요녕상용중초약수책(遼寧常用中草藥手冊)

6, 위통, 설사복통, 기침

애기똥풀 0.5~1돈을 달여서 먹는다. [동북상용중초약수책(東北常用中草藥手冊)]

7, 눈에서 생기는 피부염, 독충에게 물린 상처, 개선(疥癬)

애기똥풀을 짓찧어 바른다. 또는 엑스를 만들어 환부에 바른다. [동북상용중초약수책(東北常用中草藥手冊)]

8, 백일해
(임상보고)
애기똥풀의 전초로 100% 시럽을 만들어 6개월 미만의 소아는 1회 5~8ml, 6개월~1세의 어린이는 8~10ml, 1~3세의 어린이는 10~15ml, 3~6세의 어린이는 15~20ml, 6세 이상의 어린이는 20~30ml를 1일 3회 식전에 복용시킨다. 단순형이면 8일간 연속하여 복용하고 혼합형이면 12일간 복용한다. 500례를 치료한 결과 완치 355례, 호전 116례로 유효율이 94.2%였다. 단순형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혼합형은 항균약물을 함께 쓰는 것이 좋다. [중약대사전]

9, 만성 기관지염
(임상보고)
애기똥풀의 전초 1근, 생감초(生甘草) 1냥에 물을 붓고 3회 달인다. 약액을 혼합 재농축하여 100ml에 생약이 약 4돈이 함유되도록 한다. 1일 3회, 1회 30ml씩 복용한다. 34례를 치료한 결과, 단기간에 억제된 것이 7례, 현효가 15례였다. 또 엑스정제(1정에 0.5g의 엑스 함유)를 만들어 써도 좋다. 1회 4정으로 1일 3회 복용한다. 치료 효과는 탕제와 같다. 성숙한 애기똥풀이 효과가 더욱 좋고 이와 반대인 것은 효과가 적으며 부작용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중약대사전]

10, 청년성(靑年性)
편평우췌(扁平疣赘)(임상보고)
신선한 전초의 즙액을 면봉에 묻혀서 환부를 문지른다. 1일 3회, 1회 5~15분 동안 실시하여 완치될 때까지 한다. 18례를 치료한 결과 완치 4례, 현효 3례, 유효 4례, 결과가 뚜렷하지 않은 것이 5례였다. 약을 사용한 후, 반수의 환자에게 정도는 다르지만 자극 증상이 나타났다. 예컨대 동통, 가려움 등이다. [중약대사전]

11, 진통, 진경제(鎭痙劑)로 사용한다.
(임상보고)
애기똥풀과 지유(
地楡: 오이풀뿌리) 같은 양을 마른 엑스 가루약으로 만들어, 1일 3회, 1회에 1~2g씩 먹는다. 위장 평활근의 경련으로 일어나는 동통에 대하여 완화 작용이 있다. [중약대사전]

12, 노상(勞傷:
허로(虛勞)로 몸이 약해진 상태)
애기똥풀의 뿌리 1돈을 씹어 먹는데 끓여서 식힌 물로 삼킨다.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13, 월경 불순, 월경통

애기똥풀 뿌리 1돈을 첨주(甛酒: 식혜)로 달여서 먹는다. [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

14, 기관지천식

애기똥풀 뿌리 7냥, 고반(古礬) 3냥을 함께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1일 3회, 1회에 1돈씩 먹는다. [심양약학원(瀋陽藥學院), 중초약험방제재배선편(中草藥驗方制栽培選編)]


우리 주위에 흔하게 널려 있는 애기똥풀이 잡초로 알고 귀찮게 보는 경향이 있지만 놀라운 치유력을 조물주가 백굴채에 넣어주신 것이다.

사람이 무지해서 냄새나고 꺽으면 똥빛깔이 난다고 하여 천대하고 무시할 것이 아니라 사람과 더불어 사는 애기똥풀의 신비를 배우고 유익을 얻고 고마움을 나타내야 할 것이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우리땅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글/ 약초연구가 & 동아대 대체의학 외래교수 전동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