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털깔때기버섯(자국눈억새버섯)
흰털깔때기버섯(자국눈억새버섯)
※ 내가 산 느타리로 알고 채취하고 있는 버섯임
구분 | 내 용 |
소개 | 0 목 : 주름버섯목(Agaricales) 0 과 : 송이과(Tricholomataceae) 0 속 : 깔때기버섯속(Clitocybe) 0 학명 : Clitocybe sp. 0 국명 : 흰털깔때기버섯 0 속명 : 자국눈억새버섯 0 참고 : 이 버섯에 대하여 만가닥버섯 혹은 탈버섯이라고 하지 않는다. |
시기 | 1년생 버섯으로서, 7월 ~ 9월 중에 채취할 수 있다. |
장소 (아래 자료 참조) | 0 분포 : 전국적이다. 0 해발 : 상관이 없다. 0 방향 : 북쪽, 북서쪽 및 북동쪽 등의 습한 곳이다. 그러나 양지에서도 발견이 잘 된다. 0 서식처 : 기슭 및 골짜기에 있는 활엽수림의 낙엽더미이다. |
군락 | 줄을 지어서 군생으로 성장한다. 간혹 무리(다발)을 형성하기도 한다. |
크기 | 0 가로 : 12cm 내외 0 세로 : 12cm 내외 0 높이 : 8cm 내외 |
모습 (아래 자료 참조)
| 0 형태 : 구형에서 편평형으로 된다. 0 표면 : 흰색에서 담회색으로 변하며, 매우 짧은 침이 무수하게 있다가 점차적으로 탈락한다. 0 밑면 : 흰색에서 담회색으로 되며, 높이가 낮은 주름살이 다소 좁게 나있다. 0 자루 : 백색이며, 속은 비어있다. |
성질 | 갈라진다. |
향기 | 밀가루 냄새가 난다. |
맛 | 맛은 보통이다. |
독성 | 미량의 독성분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끓는 물에 1분 정도 우려낸 후에 그 물을 버리고 조리하여야 한다. 당연히 생식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아울러 적절하게 먹어야 한다. |
혼동 독버섯 등 (아래 자료 참조) | 사실상의 독버섯인 흰주름만가닥버섯과 혼동될 수 있으니 서로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아울러 정체불명의 한 버섯이 있으니 역시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
병행 | 0 약용버섯 : 진흙버섯류, 말굽버섯류, 구름송편버섯(운지) 등 0 식용버섯 : 젖버섯류, 달걀버섯류, 뽕나무버섯 등 |
이용 | 요리 |
■ 발생장소 : 산기슭 및 골짜기에 있는 활엽수림의 낙엽더미이다.
■ 모습 (7월 ~ 9월 중에 채취)
(생태 모습)
(청소년기)
(청년기)
■ 혼동 독버섯 등
0 흰주름만가닥버섯 ; Lyophyllum connatum
비교 |
흰털깔때기버섯
(식용버섯)
| 흰주름만가닥버섯
(준독버섯) |
모습 |
|
|
형태 | - 갓 표면에 짧은 침이 있다. - 높이가 낮은 주름살이 빽빽하게 있다.
| - 갓 표면에 침이 없다. - 높이가 제법 높은 짧은, 다소 짧은, 자루까지 붙은 긴, 3가지 형태의 주름살이 다소 넓게 있다. |
0 정체불명버섯
비교 | 흰털깔때기버섯
(식용버섯)
| 정체불명버섯
(?) | ||||||||||||||||
모습 |
| |||||||||||||||||
형태 | - 갓 표면에 짧은 침이 있다. - 높이가 낮은 주름살이 빽빽하게 있다. - 갓 밑면이 흰색이다.
| - 갓 표면에 침이 없다. - 높이가 낮은 주름살이 속이 보이질 않을 정도로 빽빽하게 있는데 갓 주변부 끝까지 나 있지를 않고 중간에서 멈춘다. - 갓 밑면이 회백색이다. | ||||||||||||||||
시기 | 7월 ~ 9월 중 |
| ||||||||||||||||
장소 |
산기슭 및 골짜기에 있는 활엽수림의 낙엽더미 |
| ||||||||||||||||
크기 |
|
|
|
|
|
|
|
|
|
|
|
|
|
|
|
|
|
|
흰털깔때기버섯
요놈은 두꺼운 낙엽에 살아요.
살짝 데쳐서 볶음, 탕, 전, 잡채로 ..